[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蔓草_001] 146. 필징가(蓽澄茄) ~ 150. 사삼(沙蔘)
146. 필징가(蓽澄茄) 【Keyword】 필징가
-
147. 호초(胡椒) 【Keyword】 호초
① 積氣疝氣上攻加 茴香 吳茱萸 胡椒 玄胡索 全蝎之類 【上統 45. 소건중탕(小建中湯)】
② 腹痛加 胡椒 【上統 74. 오덕환(五德丸)】
① 적기와 산기가 상공하면 회향·오수유·호초·현호색·전갈 따위를 가한다. 【上統 45. 소건중탕(小建中湯)】
② 복통에는 호초를 가한다. 【上統 74. 오덕환(五德丸)】
148. 서여(薯蕷) 【Keyword】 산약
① 遺尿加 山藥 五味子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② 去芪朮 加熟地山藥名[補陰益氣煎]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③ 左末 熟水四盞 調煉蜜四兩煮 山藥末四兩 作糊和丸梧子大 米飮下五七十丸 【上統 43.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④ 便滑 去歸 加山藥 【上統 51.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⑤ 泄加 山藥 白扁豆 肉豆蔲 【上統 120. 백출산(白朮散)】
⑥ 左末 酒煮 山藥糊丸 梧子大 臨臥 鹽湯下 七十丸 【中統 103. 축천환(縮泉丸)】
⑦ 痰壅 加牛膝·車前子去山藥 【辨證增補方 95. 가감지황탕(加減地黃湯)】
⑧ 兩耳內外生瘡 脚如鶴膝 頭縫不合 齒根腐爛口臭【腎疳】也.去蓬朮·砂仁青皮·陳皮·木香 五靈脂 加熟地黃·白茯苓·山藥·山茱萸(各三錢)·牡丹皮·澤瀉(各二錢) 【辨證增補方 346. 집성단(集聖丹)】
⑨ 血虛發熱 將成虛勞加 牧丹 玉竹 麥門冬 山藥 白茯苓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① 유뇨에는 산약과 오미자를 가한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② 황기와 백출을 빼고 숙지황과 산약을 가한 것은 [보음익기전]이라고 한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③ 이 약미들의 분말을 숙수 四잔으로 이긴 것과 꿀 四 냥을 버무려 삶아서 산약말 四 냥으로 풀을 쑤어 오자대로 환을 지어 五十~七十 알씩 미음으로 복용한다. 【上統 43.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④ 대변이 활하면 당귀를 빼고 산약을 넣는다. 【上統 51.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
⑤ 설사에는 산약·백편두·육두구를 가한다. 【上統 120. 백출산(白朮散)】
⑥ 다음 약미들을 작말해서 술에 끓여 산약호로 오자대의 환을 지어 취침 전에 염탕으로 七十환씩 복용한다. 【中統 103. 축천환(縮泉丸)】
⑦ 담옹에는 우슬·차전자를 가하고 산약을 뺀다. 【辨證增補方 95. 가감지황탕(加減地黃湯)】
⑧ 양 귀의 내외가 헐고,다리가 가늘어지고,두봉이 불합하고,잇몸이 헐어 냄새가 나는 것은 신감이니, 봉출·사인·청피·진피·목향·오령지를 빼고,숙지황·백복령·산약·산수유(각 二·二五g)·목단피·택사(각七·五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346. 집성단(集聖丹)】
⑨ 혈허발열하여 허로가 될 증상에는 목단 옥죽 맥문동 산약 백복령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149. 토사(兎絲) 【Keyword】 토사
① 左末 以浸兎絲酒煮糊丸梧子大 棗湯下 七九十丸 【上統 37.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② 腎虛晨泄加 兎絲子(三錢) 破古紙(二錢) 五味子(一錢) 【辨證增補方 852. 육미탕가감법(六味湯加減法)】
③ 腎虛精滑加 蓮肉(三錢) 兎絲子(二錢) 【辨證增補方 852. 육미탕가감법(六味湯加減法)】
① 이 약미들을 가루로 하여 토사주에 침했다가 삶아서 오자대로 호환해서 대추탕으로 七十~九十 알씩 먹는다. 【上統 37.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② 신허신설에는 토사자(一一·二五g) 파고지(七·五g) 오미자(三·七五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2. 육미탕가감법(六味湯加減法)】
③ 신허정활에는 연육(一一·二五g) 토사자(七·五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2. 육미탕가감법(六味湯加減法)】
150. 사삼(沙蔘) 【Keyword】 사삼
① 肺熱換沙蔘 加桑白皮 麥門冬 【中統 26. 삼소음(蔘蘇飲)】
② 有熱 換沙蔘 加生地 芩 連之類 【中統 93.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③ 眼赤 腫痛 生瞖 合 [四物湯](上統六十八)代入沙蔘 加杞菊 青箱子 木賊之類 【中統 112. 소풍산(消風散)】
④ 火欝 倍當歸 加肉桂 沙蔘 五味子 石菖蒲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⑤ 孕婦咳嗽加沙蔘(二錢五分) 桑白皮(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⑥ 孕婦咳嗽加 五味子 桑白皮 沙蔘 麥門冬(各一錢) 橘皮 杏仁(各五分) 甘草(三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① 폐열에는 인삼 대신 사삼으로 바꾸고 상백피·맥문동을 가한다. 【中統 26. 삼소음(蔘蘇飲)】
② 열이 있으면 인삼을 사삼으로 바꾸고, 생지황·황금·황련따위를 가한다. 【中統 93.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③ 안적 종통·생예에는 [사물탕]을 합방하고, 사삼을 인삼 대신 넣고, 구기자·감국·청상자·목적 따위를 가한다. 【中統 112. 소풍산(消風散)】
④ 화울에는 당귀를 배로 하고, 육계 사삼 오미자 석창포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⑤ 잉부의 해수에는 사삼(九·三七g) 상백피(一·八七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⑥ 잉부해수에는 오미자 상백피 사삼 맥문동(각 三·七五g) 귤피 행인(각 一·八七g) 감초(一·一二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