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編 臨床藥對論_131_XII. 瀉下通便類] 1. 대황(大黃) + 망초(芒硝)
1. 대황(大黃) + 망초(芒硝)
1) 單味功用
大黃又名川軍. 味苦, 性寒. 入脾, 胃, 大腸, 肝, 心包經. 本品大苦大寒, 其性沉而不浮, 其用走而不守, 其力猛而下行, 它旣能蕩滌胃腸實熱, 淸除燥結, 積滯, 爲苦寒攻下之要藥. 用于治療溫熱病的中期或極期, 出現的熱積便秘, 胸腹脹悶, 高熱不退, 神昏譫語, 口乾口渴, 舌苔老黃等實熱之症, 又治寒積便秘(寒邪影響腸胃, 致使排便不暢, 糞便積結在裏, 即所謂陰寒結聚), 熱瀉下痢(類似急性腸炎, 細菌性痢疾等), 又能淸熱解毒, 凉血止血, 利膽退黃, 用于治療熱毒瘡瘍, 燙傷, 火傷, 吐血, 衄血, 風火赤眼, 咽喉腫痛等實火上炎之證, 濕熱黃疸(類似急性膽囊炎, 急性病毒性肝炎, 新生兒溶血症等), 還能活血化瘀, 用于治療產後瘀血腹痛, 血瘀經閉, 以及跌打損傷, 瘀阻作痛者. 另外, 還能治療胃痛泛酸, 胃部煩熱等症.
芒硝味苦, 辛, 鹹, 性大寒. 入胃, 大腸, 三焦經. 本品辛可潤燥, 成能軟堅, 苦可下泄, 大寒能除熱, 它旣能潤燥通便, 蕩滌三焦腸胃之實熱積滯, 用于治療內熱熾盛而引起的痞(上腹部硬悶), 滿(腹部脹滿), 燥(糞燥且堅), 實(熱積便秘)等症, 還可治療急性腸梗阻(主要是動力性腸梗阻). 芒硝外用, 尙有淸熱消炎, 消腫止痛之功, 可用于治療腹中痞塊(類似化膿性闌尾炎), 皮膚瘡腫, 以及咽喉腫痛, 目赤腫痛.
2) 伍用功能
大黃苦寒蕩滌通下, 瀉火凉血, 攻積導滯, 逐瘀通經, 利膽退黃; 芒硝鹹寒軟堅, 潤燥通便, 淸熱瀉火, 蕩滌內熱實積, 停痰宿食. 二藥伍用, 相互促進, 瀉熱導滯, 攻下破積, 通便除滿之力增强.
대황은 苦寒氣味俱厚하여 蕩滌通下, 瀉火凉血, 攻積導滯, 逐瘀通經, 利膽退黃하고 망초는 鹹寒軟堅하여 潤燥通便, 淸熱瀉火, 蕩滌內熱實積한다. 配用하면 相互促進하여 消炎散結, 邪熱導滯, 攻下破積, 通便除滿의 능력이 强大하다.
3) 主治
(1) 胃腸實熱積滯, 大便秘結, 積食不下, 腹痛痞滿等症;
胃腸實熱積滯로 인한 大便秘結, 積食不下, 腹痛痞滿 등의 증상
(2) 熱結便秘, 壯熱, 神昏, 譫語, 苔黃等症;
熱結便秘, 壯熱, 神昏, 譫語, 苔黃 등의 증상
(3) 習慣性便秘.
習慣性便秘
急性腎機能衰竭
4) 商用量
大黃 3~10克. 後下煎服.
芒硝 10~15克. 也可兌入藥汁內, 或開水溶化後分服.
대황 10~15g 後下煎服, 망초 3~10g
5) 經驗
大黃, 芒硝伍用, 出自《傷寒論》大承氣湯. 主治熱盛便秘, 腹脹滿, 煩躁譫語, 口乾, 舌苔焦黃起刺, 脈沉實有力等症.
柯琴云: “仲景欲使芒硝先化燥屎, 大黃繼通地道.” 《醫宗金鑑》謂, “經曰: 熱淫于內, 治以鹹寒; 火淫于內, 治以苦寒. 君大黃之苦寒, 臣芒硝之鹹寒, 二味開擧, 攻熱瀉火之力備矣.”
据現代醫學文獻報道, 芒硝中的主要成分爲硫酸鈉, 它在腸中不易被吸收, 在腸中形成高滲鹽溶液, 使腸道保持大量的水分, 從而使腸內容物變稀, 容積增大, 刺激腸粘膜感受器, 反射性地引起腸蠕動亢進而致瀉. 大黃能刺激大腸, 增加其推進性蠕動而促進排便. 二藥伍用, 軟堅瀉熱, 通便的力量增强.
如何正确使用硝, 黃之類, 古人有訓, 淸代張璐云: “或問乾結之甚, 硝黃亦可暫用否, 曰: 承氣湯用硝黃, 乃傷寒邪熱入裏, 胃液乾枯, 腎水涸竭, 故宜急下以救陰津爲務. 若老人, 體虛人, 及病後腎水木虧, 以致燥結, 再用硝黃下之, 是虛其虛, 目下取快一時, 來日复秘愈甚, 欲再下之, 雖鐵石不能通矣.”
另外, 明代醫家張介賓以大黃, 芒硝各等份, 爲末調涂, 治赤鼻久不瘥, 名曰二神散.
상기 配俉는 <傷寒論> 大承氣湯에서 나왔다. 熱性便秘, 腹脹滿, 煩燥譫語, 口乾, 舌苔焦黃起刺, 脈沈實有力 등의 증상을 治한다.
柯琴이 이르기를 “仲景이 망초로 먼저 化燥屎하고 이어서 대황으로 通地道하려 했다.”고 하였고, <醫宗金鑑>에 이르기를 “熱淫이 內에 있으면 鹹寒으로 治하고 火淫이 內에 있으면 苦寒으로 治한다. 대황은 君으로 苦寒하고 망초는 臣으로서 鹹寒하니 二味를 동시에 이용하여 攻熱瀉火의 공이 이루어진다.”라고 하였다.
현대의학문헌보도에 의하면 망초의 중요성분은 황산나트륨으로 腸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고, 高滲鹽溶液을 형성하여 腸道에 대량의 수분을 유지, 腸內容物을 稀釋, 容積을 증대시키고 腸粘膜을 자극하여 반사적으로 腸운동을 항진시켜 通便力量을 증강시킨다고 한다.
劉云海의 보도에 의하면 대황, 망초 각3g씩 온수에 섞어 매일 한차례 灌腸시키면 수 시간내 稀水便이 3차례정도 발생하고, 體內腎毒性物質을 제거시키어 活血解毒하고 腎機能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어떻게 대황, 망초류를 정확히 사용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古人들의 교훈을 살펴보면 淸代 張璐가 이르기를 “承氣湯은 망초와 대황을 이용하여, 傷寒邪熱이 入裏하여 胃液乾枯, 腎水枯渴한데 急下시키어 陰津을 救하는데 마땅하다. 만약 老人, 虛人, 病後腎水本虧의 燥結에 대황, 망초를 이용하면 그 虛가 심해진다. 빠르게 잠시 효과를 보지만 다시 증상이 심해지게 되니, 이때는 철이나 돌도 不通하게 된다.”고 하였다.
그 외에 明代 장개빈은 대황, 망초를 各等分, 細末하여 赤鼻가 오래되어 낫지 않는 증에 外用으로 이용했는데 二神散이라 했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