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활투(活套)

[辨證論治 方藥合編_辨證增補方_027] 131. 정간환(定癎丸) ~ 135. 이동탕(二冬湯)

한의사 강세황 2024. 5. 2. 14:36

131. 정간환(定癎丸)

治五癎

오간을 다스린다.

 

用法 左爲末 用竹瀝薑汁(一杯) 再用甘草(四兩) 熬膏和藥爲丸彈子大 每服一丸 五癎分引下

犬癎 杏仁(五枚)煎湯化下

羊癎 薄荷(三分)煎湯化下

馬癎 麥門冬(二錢)煎湯化下

牛癎 大棗(二個)煎湯化下

猪癎 黑豆(三錢)煎水下

或加人蔘(三錢)尤好

 

용법 다음 약미들의 분말을 죽력강즙()과 감초(一五g)의 오고로 화약하여 탄자대의 환을 지어 환씩 복용하되 다음과 같이 오간에 분별하여 삼킨다.

견간에는 행인() 전탕에 타서 먹는다.

양간에는 박하(·一二g) 전탕에 타서 먹는다.

마간에는 맥문동(·g) 전탕에 타서 먹는다.

우간에는 대추() 전탕에 타서 먹는다.

저간에는 흑두(·二五g) 전수로 먹는다.

혹 인삼(·二五g)을 가하면 더욱 좋다.

 

132. 각병연수단(却病延壽丹)

治痰厥 頭痛 眩暈 甚至發癎

담궐로 두통·현훈이 심하면 발간까지 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左爲粗末 水浸 朝夕換水 春五 夏三 秋五 冬七日 取出晒乾 爲細末 另以人蔘·白豆蔻(各三兩)熬膏 爲丸梧子大 薑湯下 四五十丸 食遠日再

 

용법 다음 약미들의 조말을 만들어,조석으로 물을 갈면서 봄에는 일간, 여름에는 일간, 가을에는 일간,겨울에는 일간 수침하였다가 꺼내어 볕에 말려서 세말을 만들어 따로이 인삼·백두구(一一二·g)의 오고로 오자대의 환을 지어 강탕으로 ~환씩 식원에 하루 두 번 삼킨다.

 

133. 하기탕(下氣湯)

治肺氣積聚 心胸痞滿

폐기가 적취되어 심흉이 비만하는 증을 다스린다.

 

用法 水煎服

용법 수전복한다.

 

134. 아교산(阿膠散)

治尿血 心熱 口燥 舌乾

요혈·심열·구조·설건의 병증을 다스린다.

 

用法 水煎服

용법 수전복한다.

 

135. 이동탕(二冬湯)

治上消(消渴三種中一)

상소(소갈, 즉 당뇨병 3 가지 중의 하나)를 다스린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