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장사약해(長沙藥解) 86

[長沙藥解_卷四_05] 151. 인뇨(人尿) ~ 159. 사상자(蛇床子)

人尿인뇨 味鹹, 氣臊, 性寒, 入手少陰心經.인뇨는 함미, 누린내, 찬 성질, 수소음심경에 들어간다. 清心瀉火, 退熱除煩.인뇨는 심을 맑게 하며 화를 사하며 열을 물러나게 하며 심번을 제거한다. 《傷寒》白通加猪膽汁湯(方在猪膽汁.)用之, 治少陰病, 下利, 厥逆無脈, 乾嘔煩者.상한론 백통가저담즙탕(처방은 저담즙에 있다)에 사용해 소음병, 하리, 궐역으로 맥이 없고 건구, 심번하면 치료한다. 以手足少陰, 水火同居, 少陰經病, 水火不交, 癸水下旺, 丁火上炎, 是以煩生.수족소음, 수와 화가 동거하며 소음경병은 물과 불이 교제하지 않으면 계수가 아래로 왕성하고 정화가 위로 염상하면 심번이 생성한다. 猪膽汁清相火而止嘔, 人尿清君火而除煩也.저담즙은 상화를 맑게 하며 구토를 멎게 하며 인뇨는 군화를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

[長沙藥解_卷四_04] 141. 초석(硝石) ~ 150. 난발(亂髮)

硝石초석 味鹹, 苦, 性寒, 入足太陽膀胱, 足太陰脾經.초석은 함미, 고미, 한성으로 족태양방광경, 족태음비경에 들어간다. 清己土而退熱, 利壬水而瀉濕.초석은 기토를 맑게 하며 열을 물러나게 하며 임수를 잘 나가게 하며 습을 사한다. 《金匱》硝礬散, (硝石, 礬石等分. 爲散, 大麥粥汁合服方寸匕. 病從大小便去, 大便黑, 小便黃.)금궤요략 초반산은 초석, 반석 같은 분량으로 가루내어 보리죽으로 사방 1촌 수저로 복용한다, 병은 대변과 소변으로 제거되니 대변은 검은색, 소변은 황색이다. 治女勞黑疸, 日晡發熱, 而反惡寒, 足下熱, 膀胱急, 少腹滿, 其腹如水狀, 身盡黃, 額上黑, 因作黑疸, 大便黑, 時溏.초반산은 여로흑달, 일포에 발열하고 반대로 오한하며, 발아래가 뜨겁고, 방광이 급하고, 소복이 그득하며, 물이 있..

[長沙藥解_卷四_03] 131. 적소두(赤小豆) ~ 140. 융염(戎鹽)

赤小豆적소두 味甘, 入手太陽小腸, 足太陽膀胱經.적소두는 감미로 수태양소장경, 족태양방광경에 들어간다. 利水而瀉濕熱, 止血而消癰腫.적소두는 물을 잘 나가게 하며 습열을 사하며 지혈하고 옹종을 소멸한다. 《金匱》赤小豆當歸散, (赤小豆三升, 當歸十兩. 爲散, 漿水服方寸匕, 日三服.)금궤요략 적소두당귀산은 적소두 3되, 당귀 600g을 가루내어 장수로 사방 1촌의 수저로 하루에 세 번 복용한다. 治狐惑膿成, 脈數心煩, 默默欲臥, 目赤眥青, 汗出能食.적소두당귀산은 호혹으로 농이 생성하고 삭맥에 심번, 묵묵히 누우려고 하며 눈 충혈과 눈자위는 청색, 땀이 나고 먹을 수 있음을 치료한다. 以濕旺木鬱, 鬱而生熱, 濕熱淫蒸, 肉腐膿化.적소두당귀산은 습이 왕성하고 목이 울체하고 울체하면 열이 발생하며 습열이 훈증하며 살이..

[長沙藥解_卷四_02] 121. 저령(猪苓) ~ 130. 택칠(澤漆)

猪苓저령 味甘, 氣平, 入足少陰腎, 足太陽膀胱經.저령은 감미, 평기로 족소음신경, 족태양방광경에 들어간다. 利水燥土, 瀉飲消痰, 開汗孔而瀉濕, 清膀胱而通淋, 帶濁可斷, 鼓脹能消.저령은 수를 잘 나가게 하며 토를 건조하게 하며 음을 사하며 담을 소멸하며 땀구멍을 열고 습을 사하며 방광을 맑게 하며 임증을 통하게 하며 대탁을 끊고, 고창도 소멸할수 있다. 《傷寒》猪苓湯, (猪苓一兩, 茯苓一兩, 澤瀉一兩, 滑石一兩, 阿膠一兩.)상한론 저령탕은 저령 40g, 복령 40g, 택사 40g, 활석 40g, 아교 40g이다. 治陽明傷寒, 脈浮發熱, 渴欲飲水, 小便不利者.양명병 상한에 부맥 발열로 갈증으로 물을 마시려고 하며 소변이 불리함을 치료한다. 陽明之證, 有燥有濕, 陽明旺而太陰虛, 則燥勝其濕, 太陰旺而陽明虛, 則..

[長沙藥解_卷四_01] 120. 복령(茯苓)

卷四장사약해 4권 茯苓복령 味甘, 氣平, 入足陽明胃, 足太陰脾, 足少陰腎, 足太陽膀胱經.복령은 감미, 평기로 족양명위경, 족태음비경, 족소음신경, 족태양방광경에 들어간다. 利水燥土, 瀉飲消痰, 善安悸動, 最豁鬱滿.복령은 수를 잘 나가게 하며 토를 건조하게 하며 음을 사하며 담을 소멸하며 잘 동계를 편안하게 하며 울체한 그득함을 잘 통하게 해준다. 除汗下之煩躁, 止水飲之燥渴, 淋癃泄痢之神品, 崩漏遺帶之妙藥, 氣鼓*與水脹皆靈, 反胃共噎膈俱效.발한하고 공하한 번조를 제거하고, 수음의 건조 갈증을 멎게 하며, 소변융림과 설사, 이질을 치료하는데 신기한 약품으로 붕루, 유대의 오묘한 약으로 기고와 수창에 모두 신령하며 반위와 열격에 모두 복령이 효과가 있다. * 氣鼓, 氣臌 : 脹滿의 하나. 칠정(七情)으로 기가..

[長沙藥解_卷三_04] 111. 자삼(紫參) ~ 119. 선복화(旋覆花)

紫參자삼 味苦, 微寒, 入手太陰肺, 手陽明大腸經.자삼은 고미, 약간 한기, 수태음폐경, 수양명대장경에 들어간다. 消胸中之痞結, 止肺家之疼痛.자삼은 흉중의 속 답답한 결제를 소멸하고 폐환자 통증을 멎게 한다. 《金匱》紫參湯, (紫參半斤, 甘草三兩.)治下利肺痛.금궤요략의 자삼탕은 자삼 300g, 감초 120g으로 하리, 폐통을 치료한다. 以肺與大腸相爲表裏, 腸陷而利作, 則肺逆而痛生.폐와 대장이 상호 표리가 되니 장이 하함하면 하리가 생기니 폐가 상역하면 통증이 생긴다. 而肺腸之失位, 原於中氣之不運, 蓋己土不升則庚金陷, 戊土不降則辛金逆.폐와 대장이 지위를 잃으면 중기의 운행하지 않음에 근원하니 대개 기토는 상승하지 않으면 경금이 하함하며 무토는 하강하지 않아 신금이 상역한다. 甘草補中而培土, 紫參清金而破凝, ..

[長沙藥解_卷三_03] 101. 과루근(栝蔞根) ~ 110. 백미(白薇)

栝蔞根과루근 味甘, 微苦, 微寒, 入手太陰肺經.과루근은 감미, 약간 고미, 약간 찬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肺生津, 止渴潤燥, 舒痙病之攣急, 解渴家之淋癃.과루근은 폐를 맑게 하며 진을 생성하고 갈증을 멎고 건조를 윤태갛게 하며 경련병의 경련급함을 펴주고 갈증의 소변임륭을 풀어준다. 《金匱》栝蔞桂枝湯, (栝蔞根三兩, 桂枝三兩, 芍藥三兩, 甘草二兩, 大棗十二枚, 生薑三兩.)금궤요략 과루계지탕 과루근 120g, 계지 120g, 작약 120 g, 감초 80g, 대추 12매, 생강 120g이다. 治太陽痙病*, 其證備, 身體强, 𠘧𠘧然, 脈沈遲者.과루계지탕은 태양경병의 증상이 갖추어져 신체가 뻣뻣하며, 뒷목이 뻣뻣하고, 침지맥을 치료한다. * 痙病 : 목덜미와 등이 뻣뻣해지면서 팔다리에 경련이 일어나서 몸..

[長沙藥解_卷三_02] 91. 관동화(款冬花) ~ 100. 소엽(蘇葉)

款冬花관동화 味辛, 氣溫, 入手太陰肺經.관동화 신미, 온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降衝逆而止嗽喘, 開痹塞而利咽喉.관동화는 충역을 하강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마비, 막힘을 열고 인후를 이롭게 한다. 《金匱》射干麻黃湯(方在射干.)用之治咳而上氣, 喉中如水雞聲, 以其開痹而止喘也.금궤요략 사간마황탕(처방은 사간에 있다) 기침과 상기, 물닭소리가 후두에 남의 치료에 사용하니 후비를 열어 숨참을 중지하게 한다. 款冬降逆破壅, 寧嗽止喘, 疏利咽喉, 洗滌心肺, 而兼長潤燥.관동화는 상역을 하강하고 막힘을 깨며 기침을 편안하게 하며 숨참을 중지하게 하며 인후를 성글고 이롭게 하니 심폐를 세척하며 건조를 윤택하게 함에 장기가 있다. 肺逆則氣滯而津凝, 故生煩躁, 肺氣清降, 濁瘀蕩掃, 津液化生, 煩躁自止.폐의 상역과 기의 정채..

[長沙藥解_卷三_01] 83. 황기(黃耆) ~ 90. 자완(紫菀)

卷三장사약해 3권 黃耆황기 味甘, 氣平, 入足陽明胃, 手太陰肺經.황기는 감미, 평기로 족양명위경,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入肺胃而補氣, 走經絡而益營, 醫黃汗血痹之證, 療皮水風濕之疾, 歷節腫痛最效, 虛勞裏急更良, 善達皮腠, 專通肌表.황기는 폐와 위에 들어가 기를 보하고 경락을 주행하여 영혈을 더하고 황색 땀과 혈비 증상을 치료하며 피수와 풍습질병을 치료하며 역절통 부종에 가장 효과가 있어 허로로 리가 급함에 가장 좋으며 잘 피주에 도달해 오로지 살갗과 표를 통하게 해준다. 《金匱》黃耆芍藥桂酒湯, (黃耆五兩, 芍藥三兩, 桂枝三兩, 苦酒一升.)금궤요략 황기작약계주탕은 황기 200g, 작약 120g, 계지 120g, 고주 1되이다. 治黃汗身腫, 發熱汗出而渴, 汗沾衣, 色黃如柏汁, 脈自沈者.황기작약계주탕은 황색땀..

[長沙藥解_卷二_44] 81. 연단(鉛丹) ~ 82. 연분(鉛粉)

鉛丹연단 味辛, 入足少陽膽, 足厥陰肝經.연단은 심미, 족소양담경과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降攝神魂, 鎭安驚悸.연단은 신과 혼을 내리고 조섭시키고 경계를 다스려 편안하게 한다. 《傷寒》柴胡加龍骨牡蠣湯(方在龍骨.)用之治少陽傷寒, 胸滿煩驚, 以其降逆而斂魂也.상한론 시호가용골모려탕(처방은 용골에 있다)는 소양병 상한으로 흉만 심번과 놀람을 치료하니 상역을 하강하고 혼을 수렴해준다. 鉛丹沈重降斂, 寧神魂而安驚悸.연단은 가라앉아 무겁고 하강하고 수렴해 정신과 혼을 편안히 하고 경계를 편안하게 한다. 其諸主治, 療瘡瘍, 去翳膜.연단 주치는 창양을 치료하며 예막을 제거한다. 鉛粉연분 味辛, 入足厥陰肝經.연분은 신미,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善止泄利, 能殺蛔蟲.연분은 잘 설리를 멎게 하며 회충을 죽인다. 《傷寒》猪膚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