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활투(活套)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山草_021] 21. 단삼(丹蔘) ~ 25. 황련(黃連)

한의사 강세황 2024. 8. 13. 00:59

21. 단삼(丹蔘) Keyword단삼

治諸風 無芍藥 磁石 有丹蔘五兩 獨活 牛膝 各一兩半 杏仁十四枚 麥門冬 二兩 上統 1. 신력탕(腎瀝湯)

衂血吐血 加生地黃·赤芍·丹蔘(各一錢半) 辨證增補方 3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婦人經水適來適斷 加當歸·丹蔘 辨證增補方 3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瘕疝 丹蔘·白茯苓(各一錢五分)煎湯下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心熱加 丹蔘·生地黃(各一錢) 黃連(三分) 辨證增補方 767. 오위탕(五痿湯)

血熱加 丹蔘 牧丹 益母草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腹中痞滿加 熟地黃 丹蔘 陳皮 香附子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제풍을 다스리는 데는 작약·자석을 빼고, 단삼 다섯 냥, 독활·우슬 각 한 냥반, 행인十四 ·맥문동 두 냥을 넣는다. 上統 1. 신력탕(腎瀝湯)

육혈·토혈에는 생지황·적작약·단삼(·六二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3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월경불순에는 당귀·단삼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32.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가산에는 단삼·백복령(·六二g)의 전탕으로 삼킨다.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심열에는 단삼·생지황(·七五g) 황련(·一二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767. 오위탕(五痿湯)

혈열에는 단삼 목단 익모초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복중이 비만하면 숙지황 단삼 진피 향부자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22. 자초(紫草) Keyword자초

或加紫稍·破古紙(各四兩) 辨證增補方 93. 무기환(戊己丸)

 

자초·파고지(一五g)를 가하기도 한다. 辨證增補方 93. 무기환(戊己丸)

 

23. 백급(白芨) Keyword백급

左爲末 白芨餠和如針大 揷瘡口 下統 145. 신성병(神聖餠)

 

다음 약미들을 작말하여 백급병에 이겨서 바늘처럼 가늘게 만들어 창구에 꽂는다. 下統 145. 신성병(神聖餠)

 

24. 삼칠근(三七根)

-

 

25. 황련(黃連) Keyword황련

虛火上升加 黃連少許 爲引 上統 2. 지황음자(地黃飲子)

或蔘熟桂附之類 隨宜加減 少加黃連爲引 上統 17.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虛痢加 檳榔 吳茱萸 黃連 桂心之類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食鬱加 枳實 黃連 上統 20.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虛痢下重加 檳榔 木香 黃連 或加吳茱萸 腹痛加 桂心 有熱加 大黃微 利之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無熱去 上統 36.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黃連 黃栢 煎服 上統 解毒門 5. 파두독(巴豆毒)

暑厥加 香薷白扁豆 黃連 中統 4.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痢疾加 神麯 枳殼 川黃連 各一錢 唐木香五分 檳榔末一錢 調服 血痢加 桃仁 尿不利加 猪苓 澤瀉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加香薷二錢 黃連一錢 名[消暑敗毒散] 中統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㿀疹腫毒 荊防 玄蔘黃芩黃連 惡實 山査 金銀花隨宜可加 中統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暑霍合[回生散]加 神麯 檳榔 枳實 蘇葉 吳茱萸 木瓜之類 氣虛加 人蔘 暑熱甚加 黃連 嘔加 白豆蔲 丁香 瀉加 豬澤 口渴加 乾葛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黃連一錢 名[清暑六和湯]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有熱 換沙蔘 加生地 芩 之類 中統 93.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臟熱加 黃連 中統 102. 온장환(温臟丸)

熱加 黃連 中統 107. 삼백탕(三白湯)

加 黃芩 黃連 [清熱導痰湯] 下統 3. 도담탕(導痰湯)

加 遠志 菖蒲 黃連 黃芩 朱砂 名[寧神導痰湯] 下統 3. 도담탕(導痰湯)

滯痢加枳殼 檳榔 黃連 各一錢 木香五分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熱鬱加 黃連 連翹 下統 38. 육울탕(六鬱湯)

食鬱加 檳榔一錢 木香五分 荷葉如掌大 無熱去 芩 下統 39. 보화환(保和丸)

[回春]加 黃芩 黃連 當歸 下統 60.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熱甚加 芩 麥門冬 下統 78. 도적산(導赤散)

無熱去 黃連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左二味 以好酒 浸三日 各揀焙末 醋糊丸梧子大

赤痢黃連丸三十粒 甘草湯下

白痢茱萸丸三十粒 乾薑湯下

赤白痢各取三十粒 甘草乾薑湯下 下統 92. 수련환(茱連丸)

暑加 香薷 白扁豆 黃連 尿澁加 猪 澤 燈心之類 下統 93.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熱加 黃連 下統 96.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熱痰脈滑實加 黃芩 黃連 下統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或加 草決明 石決明 木賊 青箱子 甘菊 黃連之類 下統 109.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熱加 黃連 大黃 下統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白痢 去芩 加乾薑 下統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偏頭痛 加黃連·牛旁子 辨證增補方 77.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

譫語 加黃連 辨證增補方 80. 활역청량산(活疫淸凉散)

火炎 加黃連 白芍 辨證增補方 87. 황아탕(黃芽湯)

濕熱 加黃連·連翹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熱甚 加黃連·黃芩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濕熱 加黃連·枳實(各一兩) 辨證增補方 219. 척담환(滌痰丸)

熱 加黃連·前胡 辨證增補方 299. 소창음(消脹飲)

左方 後四味黃連等須察其人寒熱而用之 辨證增補方 362. 이십사미패독산(二十四味敗毒散)

心熱加 丹蔘·生地黃(各一錢) 黃連(三分) 辨證增補方 767. 오위탕(五痿湯)

肚熱加 黃連 肝燥加 阿膠 辨證增補方 849. 복령석지탕(茯苓石脂湯)

便前下血加 阿膠(一錢) 黃芩 黃連(各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淋疾 龜頭紅腫加 黃連 連翹(各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便血 無論前後加 黃芪 砂仁 杏仁(各一錢) 黃芩 黃連(各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痢疾加 白芍藥 黃連 地楡 澤瀉 辨證增補方 854. 이진탕가감법(二陳湯加減法)

 

허화가 상승한 데는 황련을 조금 가하여 인경하게 한다. 上統 2. 지황음자(地黃飲子)

혹 인삼·숙지황·육계·부자 따위를 가감할 수 있다. 황련을 조금 가하여 인경한다. 上統 17.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허리에는 빈랑 오수유·황련·계심 따위를 가한다.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식울에는 지실과 황련을 가한다. 上統 20.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

허리로 하중하면 빈랑·목향·황련을 가하며, 혹 오수유를 가하기도 한다. 복통에는 계심을 가하고, 열이 있을 때는 대황을 가하면 약간 유리하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열이 없으면 황련과 황백을 뺀다. 上統 36.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황련과 황백을 달여 먹는다. 上統 解毒門 5. 파두독(巴豆毒)

서궐에는 향유·백편두·황련을 가한다. 中統 4.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이질에는 신곡·지각·황련 전과 당목향 , 빈랑말 전을 가하여 조복하고 혈리에는 도인을 가하고, 요불리에는 저령·택사를 가한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향유 황련 전을 가한 것을 [소서패독산]이라고 한다. 中統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반진종독에는 형방·현삼·황금·황련·악실(우방자산사·금은화를 증세에 따라 적당히 가한다. 中統 19.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서곽에는 [회생산]을 합방하여 신곡·빈랑·지실·소엽·오수유·목통 따위를 가하고, 기허에는 인삼을 가하고, 서열이 심하면 황련을 가하고, 구역에는 백두구·정향을 가하고, 설사에는 저령·택사를 가하고, 구갈에는 건갈을 가한다.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황련 전을 가한 것을 [청서육화탕]이라고 한다.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열이 있으면 인삼을 사삼으로 바꾸고, 생지황·황금·황련따위를 가한다. 中統 93.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

장이 열하면 황련을 가한다. 中統 102. 온장환(温臟丸)

열에는 황련을 가한다. 中統 107. 삼백탕(三白湯)

황금과 황련을 가한 것을 [청열도담탕]이라고 한다. 下統 3. 도담탕(導痰湯)

원지·창포·황련·황금·주사를 가한 것을 [영신도담탕]이라고 하며, 下統 3. 도담탕(導痰湯)

체리에는 지각·빈랑·황련 ,목향 푼을 가한다.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열울에는 황련·연교를 가한다. 下統 38. 육울탕(六鬱湯)

식울에는 빈랑 ,목향 ,하엽 손바닥 만한 것을 가하고, 열이 없으면 황금과 황련을 뺀다. 下統 39. 보화환(保和丸)

[회춘방]에는 황금·황련·당귀를 가한다. 下統 60.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열이 심하면 황금·황련·맥문동을 가한다. 下統 78. 도적산(導赤散)

열이 없으면 황련을 뺀다.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다음 두 약미를 좋은 술에 일간 담갔다가 각각 불에 쬐어 말려 작말하여 초호로 오자대의 환을 지어 둔다. 적리에는 [황련] 三十 알을 감초탕으로 삼키고, 백리에는 [수유환] 三十 알을 건강탕으로 삼키고, 적백리에는 그 두가지의 환을 각각 三十 알씩, 도합 六十 알을 취하여 감초건강탕으로 삼킨다. 下統 92. 수련환(茱連丸)

서기(暑氣)에는 향유·백편두·황련을 가하고, 소변이 삽하면 저령·택사·등심 따위를 가한다. 下統 93. 황금작약탕(黃芩芍藥湯)

열이 있으면 황련을 가한다. 下統 96.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열담에 맥이 활실하면 황금과 황련을 가한다. 下統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혹은 초결명·석결명·목적·청상자·감국·황련 따위를 가하기도 한다. 下統 109.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열이 나면 황련과 대황을 가한다. 下統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자리에는 황금·황련을 빼고 건강을 가한다. 下統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편두통에는 황련·우방자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77.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

섬어에는 황련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0. 활역청량산(活疫淸凉散)

화염(虛火上炎, 上半身熱)에는 황련·백작약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7. 황아탕(黃芽湯)

습열에는 황련·연교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열이 심하면 황련·황금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습열에는 황련·지실(三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219. 척담환(滌痰丸)

열이 있으면 황련·전호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299. 소창음(消脹飲)

위의 처방의 후미(後尾)에 있는 황련 미는 반드시 그 사람의 한열상태를 살피고 나서 쓸 일이다. 辨證增補方 362. 이십사미패독산(二十四味敗毒散)

심열에는 단삼·생지황(·七五g) 황련(·一二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767. 오위탕(五痿湯)

두열하면 황련을 가하고, 간조하면 아교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49. 복령석지탕(茯苓石脂湯)

변전하혈에는 아교(·七五g) 황금 황련(·八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임질로 귀두가 홍종한 데는 황련 연교(·八七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변혈에는 변전 변후를 막론하고 황기 사인 행인(·七五g) 황금 황련(·八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이질에는 백작약 황련 지유 택사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4. 이진탕가감법(二陳湯加減法)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