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오수유(吳茱萸) 【Keyword】 오수유
① 一方 加 吳茱萸 肉桂 當歸 陳皮 厚朴 【上統 9.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② 泄瀉 去歸 加吳茱萸 破古紙 肉豆蔲 附子 【上統 11. 이음전(理陰煎)】
③ 虛痢加 檳榔 吳茱萸 黃連 桂心之類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④ 虛痢下重加 檳榔 木香 黃連 或加吳茱萸 腹痛加 桂心 有熱加 大黃微 利之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⑤ 積氣疝氣上攻加 茴香 吳茱萸 胡椒 玄胡索 全蝎之類 【上統 45. 소건중탕(小建中湯)】
⑥ 血虛經水不調加 香附子 益母草 吳茱萸 肉桂 人蔘之類 【上統 68. 사물탕(四物湯)】
⑦ 寒甚加 吳茱萸 乾薑 附子 【上統 90. 난간전(煖肝煎)】
⑧ 冷加 吳茱萸五六分 【上統 91.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⑨ 陰陽俱虛 倍蔘 加熟地黃三五錢 或加 桂 附 吳茱萸 【上統 100. 복원양영탕(復元養榮湯)】
⑩ 大人小兒 泄瀉 氣脫倍蔘三五七錢 加肉豆蔲 破古紙 金櫻子 吳茱萸之類 【上統 120. 백출산(白朮散)】
⑪ 吳茱萸 嚼付 【上統 諸傷門 21. 어골재육(魚骨在肉)】
⑫ 暑霍合[回生散]加 神麯 檳榔 枳實 蘇葉 吳茱萸 木瓜之類 氣虛加 人蔘 暑熱甚加 黃連 嘔加 白豆蔲 丁香 瀉加 豬澤 口渴加 乾葛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⑬ 腹痛加 桂心 吳茱萸 【中統 96.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⑭ 虛寒 加吳茱萸·乾薑·肉桂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⑮ 喜熱畏寒 欲得熱手重按 加肉桂·吳茱萸 【辨證增補方 160. 시호소간산(柴胡疎肝散)】
⑯ 寒疝 本方內 加吳茱萸·桂心(各五錢). 寒甚 加附子(五錢)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⑰ 白濁 加山梔子(五錢)·萆薢(一兩)·吳茱萸(三錢)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① 일방에는 오수유·육계·당귀·진피·후박 등을 가미하기도 한다. 【上統 9.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② 설사에는 당귀를 빼고, 오수유·파고지·육두구·부자를 가한다. 【上統 11. 이음전(理陰煎)】
③ 허리에는 빈랑 오수유·황련·계심 따위를 가한다.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④ 허리로 하중하면 빈랑·목향·황련을 가하며, 혹 오수유를 가하기도 한다. 복통에는 계심을 가하고, 열이 있을 때는 대황을 가하면 약간 유리하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⑤ 적기와 산기가 상공하면 회향·오수유·호초·현호색·전갈 따위를 가한다. 【上統 45. 소건중탕(小建中湯)】
⑥ 혈허로 경수가 부조하면 향부자·익모초·오수유·육계·인삼 따위를 가한다. 【上統 68. 사물탕(四物湯)】
⑦ 한이 심하면 오수유·건강·부자를 가한다. 【上統 90. 난간전(煖肝煎)】
⑧ 냉에는 오수유 五~六 푼을 가한다. 【上統 91.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⑨ 음양이 구허하면 인삼을 배로 하고 숙지황 三~五전을 가한다. 혹은 육계·부자·오수유를 가한다. 【上統 100. 복원양영탕(復元養榮湯)】
⑩ 대인이나 소아가 설사로 기탈하면 인삼을 三·五·七 전으로 증량하고, 육두구·파고지·금앵자·오수유 따위를 가한다. 【上統 120. 백출산(白朮散)】
⑪ 오수유를 씹어 붙인다. 【上統 諸傷門 21. 어골재육(魚骨在肉)】
⑫ 서곽에는 [회생산]을 합방하여 신곡·빈랑·지실·소엽·오수유·목통 따위를 가하고, 기허에는 인삼을 가하고, 서열이 심하면 황련을 가하고, 구역에는 백두구·정향을 가하고, 설사에는 저령·택사를 가하고, 구갈에는 건갈을 가한다.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⑬ 복통이 나면 계심과 오수유를 가한다. 【中統 96.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⑭ 허한에는 오수유·건강·육계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111. 화중환(和中丸)】
⑮ 더운 것을 좋아하고 찬 것을 싫어하며 더운 손으로 주물러 주기를 바라는 증세에는 육계·오수유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160. 시호소간산(柴胡疎肝散)】
⑯ 한산에는 본방에다가 오수유·계심(각 一八·七五g)을 가하고, 한이 심하면 부자(一八·七五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⑰ 백탁에는 산치자 (一八·七五g)·비해(三七·五g)·오수유 (二·二五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163. 가미귤핵환(加味橘核丸)】
202. 빈랑(檳榔) 【Keyword】 빈랑
① 虛痢加 檳榔 吳茱萸 黃連 桂心之類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② 氣虛尿澁加 檳榔 木香 或加 車前子 澤瀉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③ 虛痢下重加 檳榔 木香 黃連 或加吳茱萸 腹痛加 桂心 有熱加 大黃微 利之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④ 左煎水 熔化阿膠二錢服 加檳榔調服 亦可 【上統 80. 교밀탕(膠蜜湯)】
⑤ 食厥加 山査 神麯 檳榔 枳實 【中統 4.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⑥ 挫閃及瘀血腫痛 去麻 加茴香 木香 檳榔 桃仁 紅花 【中統 13. 오적산(五積散)】
⑦ 外感挾滯加 山査 神麯 檳榔 【中統 13. 오적산(五積散)】
⑧ 食傷挾滯加 山査肉 神麯 檳榔 枳實 砂仁 【中統 14.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⑨ 陳皮 厚朴 半夏 俗方俱以一錢用 滯加 山査二錢 神麯檳榔各一錢 枳實七分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⑩ 痢疾加 神麯 枳殼 川黃連 各一錢 唐木香五分 檳榔末一錢 調服 血痢加 桃仁 尿不利加 猪苓 澤瀉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⑪ 瘧疾加柴胡二錢 黃芩 檳榔 各一錢倍草果 老瘧二兩重 露薑汁調服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⑫ 蛔積加山査肉 檳榔 使君子 花椒之類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⑬ 兼滯加 神麯 檳榔 枳實 木瓜之類 【中統 20. 향갈탕(香葛湯)】
⑭ 食瘧合[平胃散] 或合[養胃湯]暑加 香薷 白扁豆 兼痢又加 檳榔 黃芩 兼泄又加 澤瀉 豬苓 【中統 25. 소시호탕(小柴胡湯)】
⑮ 挾滯加 山査肉 神麯 檳榔 枳實 草果之類 【中統 34. 이향산(二香散)】
⑯ 暑霍合[回生散]加 神麯 檳榔 枳實 蘇葉 吳茱萸 木瓜之類 氣虛加 人蔘 暑熱甚加 黃連 嘔加 白豆蔲 丁香 瀉加 豬澤 口渴加 乾葛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⑰ 暑瘧加 柴胡一二三錢 黃芩 檳榔 草果 各一錢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⑱ 暑痢 去蔘縮 加檳榔 枳殼 木香之類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⑲ 暑霍加 神麯 檳榔 枳實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⑳ 挾滯加 陳皮 檳榔 神麯 【中統 37. 축비음(縮脾飲)】
㉑ 食滯加 山査 神麯 檳榔 枳實 【中統 44. 회생산(回生散)】
㉒ 挾食加 檳榔 草果 神麯之類 【中統 69. 시진탕(柴陳湯)】
㉓ 挾滯加 山査 神麯 檳榔 草果 烏梅 【中統 71. 평진탕(平陳湯)】
㉔ 食滯加 陳皮 神麯 檳榔 木香 【中統 107. 삼백탕(三白湯)】
㉕ 挾滯加査 麯 檳榔 【中統 130. 수념산(手拈散)】
㉖ 食滯胷痛 去麻 加神麯檳榔 【中統 132.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㉗ 挾滯加 山査 神麯 檳榔 枳實 【中統 143. 후박온중탕(厚朴温中湯)】
㉘ 動蛔加 山査 檳榔 使君子 烏梅 花椒 【中統 143. 후박온중탕(厚朴温中湯)】
㉙ 熱結膓胃 便秘 檳榔 郁李仁末 調服 【下統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㉚ 食滯加 山査 神麯 麥芽 檳榔 枳實 蘿葍子 砂仁 草果之類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㉛ 滯痢加枳殼 檳榔 黃連 各一錢 木香五分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㉜ 氣鬱加 木香 檳榔 蘇葉 【下統 38. 육울탕(六鬱湯)】
㉝ 食鬱加 檳榔一錢 木香五分 荷葉如掌大 無熱去 芩連 【下統 39. 보화환(保和丸)】
㉞ 挾滯加 山査 神麯 檳榔 【下統 76. 연진탕(楝陳湯)】
㉟ 挾滯加 神麯 檳榔 砂仁 【下統 86. 위령탕(胃苓湯)】
㊱ 有滯加 陳皮 神麯 檳榔 枳殼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㊲ 成痢加 檳榔 枳殼 木香 燈心 車前子之類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㊳ 加黃芩檳榔尤妙 【下統 95. 창름탕(倉廩湯)】
㊴ 後重 檳榔 木香 或黑丑末 調服 【下統 100. 강다탕(薑茶湯)】
㊵ 檳榔細末五分調服 【下統 103. 통유탕(通幽湯)】
㊶ 左 除檳榔桃仁皂角仁餘藥水煎 去滓 入三味 再煎空心熱服 以美饍壓之 【下統 141.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㊷ 左將黑丑·大黃·檳榔爲末 另以苦楝皮·皂角熬膏爲丸菉豆大後 以雷丸·木香末爲衣 每三四十丸 五更時 砂糖水呑下 【辨證增補方 112. 추충환(追虫丸)】
㊸ 【脊疳】虫食脊膂所致 發熱黃瘦 積中生熱煩渴下痢 拍背如鼓鳴 脊骨如鉅齒十脂生瘡 頻嚙指甲【安虫丸】 即本方 去蓬朮·砂仁·青皮·陳皮·當歸·川芎 加苦楝根·貫仲·蕪荑·檳榔(各二錢) 餘詳察「幼幼集成」本方加減條下 【辨證增補方 346. 집성단(集聖丹)】
㊹ 氣上冲心 脇肋刺痛加 苦練根 玄胡索(各一錢)檳榔 木香(各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㊺ 脇下牽引痛加 檳榔 靑皮(各五分)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㊻ 浮腫加 大腹皮 白芍藥(各一錢) 檳榔 木香(各五分)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① 허리에는 빈랑 오수유·황련·계심 따위를 가한다. 【上統 19. 전씨이공산(錢氏異功散)】
② 기가 허해서 요삽이 되면 빈랑·목향을 가하고, 혹 차전자·택사를 가하기도 한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③ 허리로 하중하면 빈랑·목향·황련을 가하며, 혹 오수유를 가하기도 한다. 복통에는 계심을 가하고, 열이 있을 때는 대황을 가하면 약간 유리하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④ 다음 전수에 아교 二 전을 용화해서 복용한다. 또 빈랑을 가해서 조복해도 좋다. 【上統 80. 교밀탕(膠蜜湯)】
⑤ 식궐에는 산사·신곡·빈랑·지실을 가한다. 【中統 4. 성향정기산(星香正氣散)】
⑥ 좌섬 및 어혈종통에는 마황을 빼고 회향·목향·빈랑·도인·홍화를 가한다. 【中統 13. 오적산(五積散)】
⑦ 외감협체에는 산사·신곡·빈랑을 가한다. 【中統 13. 오적산(五積散)】
⑧ 식상협체에는 산사육·신곡·빈랑·지실·사인을 가한다. 【中統 14.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⑨ 협체에는 산사 二 전, 신곡·빈랑 각 一 전,지실 七 푼을 가한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⑩ 이질에는 신곡·지각·천황련 각 一 전과 당목향 五푼, 빈랑말 一 전을 가하여 조복하고 혈리에는 도인을 가하고, 요불리에는 저령·택사를 가한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⑪ 학질엔 시호 二 전, 황금·빈랑 각 一 전을 가하고, 초과를 배로 한다. 노학에는 二 냥쭝의 생강즙에 조복한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⑫ 회적에는 산사육·빈랑·사군자·화초 따위를 가한다. 【中統 16.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⑬ 체를 겸한 데는 신곡·빈랑·지실·목과 따위를 가한다. 【中統 20. 향갈탕(香葛湯)】
⑭ 식학에는 [평위산]을 합방하든가 혹은 [양위탕]을 합방한다.서에는 향유·백편두를 가하고, 이질이 겸발되면 또 빈랑과 황금을 가하고, 설사가 겹치면 택사와 저령을 또 가한다. 【中統 25. 소시호탕(小柴胡湯)】
⑮ 협체하면 산사육·신곡·빈랑·지실·초과 따위를 가한다. 【中統 34. 이향산(二香散)】
⑯ 서곽에는 [회생산]을 합방하여 신곡·빈랑·지실·소엽·오수유·목통 따위를 가하고, 기허에는 인삼을 가하고, 서열이 심하면 황련을 가하고, 구역에는 백두구·정향을 가하고, 설사에는 저령·택사를 가하고, 구갈에는 건갈을 가한다. 【中統 35. 향유산(香薷散)】
⑰ 서학에는 시호 一二三 전과 황금·빈랑·초과 각一전을 가한다.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⑱ 서리에는 인삼과 축사를 빼고 빈랑·지각·목향 따위를 가한다.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⑲ 서곽에는 신곡·빈랑·지실을 가한다. 【中統 36. 육화탕(六和湯)】
⑳ 협체에는 진피·빈랑·신곡을 가한다. 【中統 37. 축비음(縮脾飲)】
㉑ 식체에는 산사·신곡·빈랑·지실을 가한다. 【中統 44. 회생산(回生散)】
㉒ 협식에는 빈랑·초과·신곡따위를 가한다. 【中統 69. 시진탕(柴陳湯)】
㉓ 협체에는 산사·신곡·빈랑·초과·오매를 가한다. 【中統 71. 평진탕(平陳湯)】
㉔ 식체에는 진피·신곡·빈랑·목향을 가한다. 【中統 107. 삼백탕(三白湯)】
㉕ 협체에는 산사·신곡·빈랑을 가한다. 【中統 130. 수념산(手拈散)】
㉖ 식체흉통에는 마황을 빼고, 신곡·빈랑을 가한다. 【中統 132.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㉗ 협체에는 산사·신곡·빈랑·지실을 가한다. 【中統 143. 후박온중탕(厚朴温中湯)】
㉘ 회가 동하면 산사·빈랑·사군자·오매·화초를 가한다. 【中統 143. 후박온중탕(厚朴温中湯)】
㉙ 위장이 열결해서 변비가 되면 빈랑·욱리인말을 타서 복용한다. 【下統 13.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㉚ 식체에는 산사·신곡·맥아·빈랑·지실·나복자·사인·초과 따위를 가한다.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㉛ 체리에는 지각·빈랑·황련 각 一 전,목향 五 푼을 가한다. 【下統 22. 평위산(平胃散)】
㉜ 기울에는 목향·빈랑·소엽을 가한다. 【下統 38. 육울탕(六鬱湯)】
㉝ 식울에는 빈랑 一 전,목향 五 푼,하엽 손바닥 만한 것을 가하고, 열이 없으면 황금과 황련을 뺀다. 【下統 39. 보화환(保和丸)】
㉞ 협체가 있으면 산사·신곡·빈랑을 가한다. 【下統 76. 연진탕(楝陳湯)】
㉟ 협체에는 신곡·빈랑·사인을 가한다. 【下統 86. 위령탕(胃苓湯)】
㊱ 체기가 있으면 진피·신곡·빈랑·지각을 가한다.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㊲ 이질이 되었으면 빈랑·지각·목향·등심·차전자 따위를 가한다. 【下統 87. 유령탕(薷苓湯)】
㊳ 황금과 빈랑을 가하면 더욱 좋다. 【下統 95. 창름탕(倉廩湯)】
㊴ 이급 후중하면 빈랑·목향,혹은 흑축말을 타서 복용한다. 【下統 100. 강다탕(薑茶湯)】
㊵ 빈랑의 세말 五 푼을 타서 먹는다. 【下統 103. 통유탕(通幽湯)】
㊶ 다음 약미 중에서 빈랑·도인·조각인 三 미를 제외한 나머지 七 미를 수전해서 건더기를 버리고,앞서 제외했던 三 미를 넣고 다시 달여서 공심에 뜨겁게 해서 먹는다. 좋은 반찬을 먹어서 내복한 약을 누르는 것이 좋다. 【下統 141.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㊷ 먼저 흑축·대황·빈랑의 분말을 만든 것을 별도 고련피·조각의 오고로 녹두대의 환을 지어 뇌환·목향말로 옷을 입혀 三~四十 환씩 새벽에 설탕물로 삼킨다. 【辨證增補方 112. 추충환(追虫丸)】
㊸ 척감은 충이 등뼈를 침식하는 탓인데, 발열황수·적중생열·번갈하리하며,등을 두드리면 북소리처럼 울리고,척골이 톱니 같고, 十지에 생창하고,손톱을 깨문다. 이에는 「안충환」,즉 본방에서 봉출·사인·청피·진피·당귀·천궁을 빼고,고련근·관중·무이·빈랑(각 七·五g)을 가한 것을 쓴다. 여타는 「유유집성」 본방의 가감 조항을 상세히 고찰하라. 【辨證增補方 346. 집성단(集聖丹)】
㊹ 기상충심 협륵자통에는 고련근 현호색(각三·七五g) 빈랑 목향(각 一·八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㊺ 협하의 견인통에는 빈랑 청피(각 一·八七g)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㊻ 부종에는 대복피 백작약(각 三·七五g) 빈랑 목향(각 一·八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203. 대복피(大腹皮) 【Keyword】 대복피
① 胎至七八月加大腹皮 至九月又加蘇葉 【上統 110. 가미팔진탕(加味八珍湯)】
② 臨產加 大腹皮 砂仁 蘇葉 【上統 111. 불수산(佛手散)】
③ 腫加 大腹皮 【下統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④ 胎不安加 大腹皮 砂仁 【下統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⑤ 尿澁加 大腹皮 車前子 【下統 163. 이비탕(理脾湯)】
⑥ 脚氣加 黃芪 大腹皮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⑦ 浮腫加 大腹皮 白芍藥(各一錢) 檳榔 木香(各五分)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① 임신한 지 七~八개월 되면 대복피를 가하고, 九 개월이 되면 또 소엽을 가한다. 【上統 110. 가미팔진탕(加味八珍湯)】
② 임산에는 대복피·사인·소엽을 가한다. 【上統 111. 불수산(佛手散)】
③ 붓는 데는 대복피를 가한다. 【下統 134.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④ 태가 불안하면 대복피·사인을 가한다. 【下統 159.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⑤ 요삽하면 대복피와 차전자를 가한다. 【下統 163. 이비탕(理脾湯)】
⑥ 각기에는 황기 대복피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⑦ 부종에는 대복피 백작약(각 三·七五g) 빈랑 목향(각 一·八七g)을 가한다. 【辨證增補方 855. 평위산가감법(平胃散加減法)】
204. 지구(枳椇) 【Keyword】 지구
-
205. 비파엽(枇杷葉) 【Keyword】 비파엽
-
206. 오약(烏藥) 【Keyword】 오약
① 渾身麻氣虛加 木瓜 烏藥 香附子 青皮 防風 川芎 少加桂枝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② 氣鬱加 沉香 烏藥 【上統 55. 장원탕(壯原湯)】
③ (入門) 去烏藥加芍藥 名[散血消腫湯]治血脹煩燥漱口 【中統 61.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④ 疼痛加 木香 烏藥 香附子 【下統 25. 대화중음(大和中飲)】
⑤ 痰滯經絡加 南星 半夏 烏藥 白芥子 各一錢 酒二匙 調服 【下統 133. 서경탕(舒經湯)】
⑥ 四 同烏藥二兩 米泔浸 【下統 153.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⑦ 小兒感冒加 烏藥 防風 升麻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① 전신이 마비되는 기허에는 목과·오약·향부자·청피·방풍·천궁을 가하고, 계지도 조금 가한다. 【上統 22.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② 기울에는 침향과 오약을 가한다. 【上統 55. 장원탕(壯原湯)】
③ [입문]에서는 오약을 빼고 작약을 가한 것을 [산혈소종탕]이라고 하며, 혈창·번조·수구를 다스리는 데 쓴다. 【中統 61.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
④ 동통에는 목향·오약·향부자를 가한다. 【下統 25. 대화중음(大和中飲)】
⑤ 경락이 담체되었으면 남성·반하·오약·백개자 각 一 전을 가하고 술 二 숟가락을 타서 먹는다. 【下統 133. 서경탕(舒經湯)】
⑥ 제四포는 오약 二냥과 함께 미감침하고, 【下統 153. 칠제향부환(七製香附丸)】
⑦ 소아감기에는 오약 방풍 승마를 가한다. 【辨證增補方 851. 사물탕가감법(四物湯加減法)】
207. 유향(乳香) 【Keyword】 유향 乳
① 左剉 香油二斤 浸藥一宿 熬至色焦 濾去滓 將油再熬 入黃丹十二兩 陸續 下槐柳枝 不住 手攪 滴水成珠入乳香沒藥末各四錢 攪均 收貯 一方加 蘇合香二錢 【上統 雜方門 2. 만병무우고(萬病無憂膏)】
② 左 除雲母焰硝血蝎沒藥乳香麝香黃丹鹽花 餘材浸油中七日 文火煎 候白芷附子焦黃色 以布絞去滓 再熬 下黃丹等八味末 以柳木箆 不住手攪 滴水成珠爲度 入磁器內彈水銀在上 每用刮去水銀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③ 左十四味 浸油三 宿慢火熬 以柳枝攪 以白芷焦黃色爲度 濾去滓 入黃丹再熬 滴水成珠 乃入乳沒蠟 熔化攪均收貯盛器 埋土七日 取出用 【上統 雜方門 4. 만응고(萬應膏)】
④ 左 油浸一宿 熬至焦色 濾去滓 入黃丹再熬 滴水成珠 次入熊膽麝香乳香 攪均磁器收貯 【上統 雜方門 5. 소담고(消痰膏)】
⑤ 痛甚 乳香末三分 調服 【中統 117.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⑥ 痛不可忍加 全蝎 乳香末 各三分 調服 【下統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⑦ 痛甚加 乳香三五分 調服 【下統 135. 빈소산(檳蘇散)】
⑧ 入乳香末少許 空心服 【下統 150.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⑨ 左爲末 另將 乾金(四兩)白鹽和均 別掛鐵板 鐵上先布白鹽少許 以乾金作陶 安上布藥末 以好沙鉢 覆藥上外以鹽固封 鐵下加炭火 半日文火 半日武火 至十五時 乃至二十時 翌朝 取沙鉢內上附藥用之作丸時 加丹藥(一錢) 乳香·沒藥末(各一錢)牛黃·麝香(各二分) 眞珠(五分) 爲細末以棗肉 爲丸菉豆大 食遠 日再服 温水下 一二三丸 丸數隨力加減 服至幾日 如有口疳氣 服藥停止 口疳快差後 更服如初 【辨證增補方 173. 오행단(五行丹)】
① 다음 약미들을 썰어서 향유 二 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아서, 색이 검게 되거든 걸러서 찌꺼기를 버리고 기름으로 다시 볶다가 황단十二냥을 넣고, 그 다음 계속해서 괴지와 유지를 넣고 그치지 않고 손으로 저어서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되거든 유향과 몰약 분말을 각 四 전씩 넣고 고루 저어서 거두어 둔다. 또 한가지의 처방은 소합향 二 전을 가한다. 【上統 雜方門 2. 만병무우고(萬病無憂膏)】
② 운모·염초·혈갈·몰약·유향·사향·황단·염화를 제외한 나머지 약미들을 유중에 七 일간 담갔다가 은은한 불에 달여 백지와 부자가 황색으로 눋거든 헝겊으로 싸서 건덕지를 버리고 다시 볶는데, 황단 등 八 미의 분말을 넣고 유목비로 자꾸 저어서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될 정도로 하여 자기에 넣고, 고약 위에 나온 수은을 걷어낸다. 쓸 때마다 수은은 긁어 버린다.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③ 다음 十九약미 중 황단·향유·유향·몰약·황랍을 제외한 十四미를 향유에 三 주야 담갔다가 은은한 불에 볶되 버들가지로 저어서 백지가 황색으로 될 때쯤 해서 걸러 찌꺼기를 버리고 황단을 넣고 다시 볶은 다음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되거든 유향·몰약·황랍을 넣고 녹여 고루 저어서 그릇에 담아 흙에 七 일간 묻어 두었다가 사용한다. 【上統 雜方門 4. 만응고(萬應膏)】
④ 위의 二十六 가지 약미 중 웅담·사향·유향·황단 등 四가지를 제외한 二十二 가지의 약미를 향유에 一주야 담갔다가 검게 되도록 볶아 걸러서 건덕지를 버리고 황단을 넣고 다시 볶아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처럼 되면 웅담·사향·유향을 넣고 저어서 그릇에 담아둔다. 【上統 雜方門 5. 소담고(消痰膏)】
⑤ 통증이 심하면 유향말 三푼을 조합해서 복용한다. 【中統 117.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
⑥ 통증을 참을 수 없으면 전갈을 가하고 유향말 三 푼을 타서 먹는다. 【下統 105.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⑦ 동통이 심하면 유향 三~五 푼을 가해서 조복한다. 【下統 135. 빈소산(檳蘇散)】
⑧ 유향말을 조금 넣어서 공심에 복용한다. 【下統 150. 활혈구풍탕(活血驅風湯)】
⑨ 다음 약미들을 작말해 놓고,따로이 건금(一五0g)과 고른 백염을 마련한다. 별도로 철판을 걸쳐 놓고, 철 위에 먼저 백염을 조금 편 다음 건금으로 작도하여 그 위에 약말을 안치하고 좋은 사발을 약 위에 덮어 씌우고 소금으로 단단히 봉한다. 철판 밑을 숯불로 가열하는데, 반일은 불을 약하게 하고 반일은 세게 하되 十五시 내지 二十시 동안 가열한다. 익조에 사발 내상에 붙은 약을 취하여 이것으로 환을 지을 때 단약(三·七五g)·유향·몰약말(각 三·七五g)·우황·사향(각0.七五g)·진주(一·八七g)를 가하고 세말하여 조육으로 녹두대의 환을 지어 식원에 하루 두 번 온수로 一,二,三 환을 복용한다. 환수는 기력에 따라 가감하되 구감기가 생기면 복약을 정지했다가 구감이 쾌차한 후에 다시 처음과 같이 복용한다. 【辨證增補方 173. 오행단(五行丹)】
208. 몰약(沒藥) 【Keyword】 몰약 沒
① 左剉 香油二斤 浸藥一宿 熬至色焦 濾去滓 將油再熬 入黃丹十二兩 陸續 下槐柳枝 不住 手攪 滴水成珠入乳香沒藥末各四錢 攪均 收貯 一方加 蘇合香二錢 【上統 雜方門 2. 만병무우고(萬病無憂膏)】
② 左 除雲母焰硝血蝎沒藥乳香麝香黃丹鹽花 餘材浸油中七日 文火煎 候白芷附子焦黃色 以布絞去滓 再熬 下黃丹等八味末 以柳木箆 不住手攪 滴水成珠爲度 入磁器內彈水銀在上 每用刮去水銀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③ 左十四味 浸油三 宿慢火熬 以柳枝攪 以白芷焦黃色爲度 濾去滓 入黃丹再熬 滴水成珠 乃入乳沒蠟 熔化攪均收貯盛器 埋土七日 取出用 【上統 雜方門 4. 만응고(萬應膏)】
④ 左爲末 另將 乾金(四兩)白鹽和均 別掛鐵板 鐵上先布白鹽少許 以乾金作陶 安上布藥末 以好沙鉢 覆藥上外以鹽固封 鐵下加炭火 半日文火 半日武火 至十五時 乃至二十時 翌朝 取沙鉢內上附藥用之作丸時 加丹藥(一錢) 乳香·沒藥末(各一錢)牛黃·麝香(各二分) 眞珠(五分) 爲細末以棗肉 爲丸菉豆大 食遠 日再服 温水下 一二三丸 丸數隨力加減 服至幾日 如有口疳氣 服藥停止 口疳快差後 更服如初 【辨證增補方 173. 오행단(五行丹)】
① 다음 약미들을 썰어서 향유 二 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아서, 색이 검게 되거든 걸러서 찌꺼기를 버리고 기름으로 다시 볶다가 황단十二냥을 넣고, 그 다음 계속해서 괴지와 유지를 넣고 그치지 않고 손으로 저어서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되거든 유향과 몰약 분말을 각 四 전씩 넣고 고루 저어서 거두어 둔다. 또 한가지의 처방은 소합향 二 전을 가한다. 【上統 雜方門 2. 만병무우고(萬病無憂膏)】
② 운모·염초·혈갈·몰약·유향·사향·황단·염화를 제외한 나머지 약미들을 유중에 七 일간 담갔다가 은은한 불에 달여 백지와 부자가 황색으로 눋거든 헝겊으로 싸서 건덕지를 버리고 다시 볶는데, 황단 등 八 미의 분말을 넣고 유목비로 자꾸 저어서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될 정도로 하여 자기에 넣고, 고약 위에 나온 수은을 걷어낸다. 쓸 때마다 수은은 긁어 버린다.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③ 다음 十九약미 중 황단·향유·유향·몰약·황랍을 제외한 十四미를 향유에 三 주야 담갔다가 은은한 불에 볶되 버들가지로 저어서 백지가 황색으로 될 때쯤 해서 걸러 찌꺼기를 버리고 황단을 넣고 다시 볶은 다음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되거든 유향·몰약·황랍을 넣고 녹여 고루 저어서 그릇에 담아 흙에 七 일간 묻어 두었다가 사용한다. 【上統 雜方門 4. 만응고(萬應膏)】
④ 다음 약미들을 작말해 놓고,따로이 건금(一五0g)과 고른 백염을 마련한다. 별도로 철판을 걸쳐 놓고, 철 위에 먼저 백염을 조금 편 다음 건금으로 작도하여 그 위에 약말을 안치하고 좋은 사발을 약 위에 덮어 씌우고 소금으로 단단히 봉한다. 철판 밑을 숯불로 가열하는데, 반일은 불을 약하게 하고 반일은 세게 하되 十五시 내지 二十시 동안 가열한다. 익조에 사발 내상에 붙은 약을 취하여 이것으로 환을 지을 때 단약(三·七五g)·유향·몰약말(각 三·七五g)·우황·사향(각0.七五g)·진주(一·八七g)를 가하고 세말하여 조육으로 녹두대의 환을 지어 식원에 하루 두 번 온수로 一,二,三 환을 복용한다. 환수는 기력에 따라 가감하되 구감기가 생기면 복약을 정지했다가 구감이 쾌차한 후에 다시 처음과 같이 복용한다. 【辨證增補方 173. 오행단(五行丹)】
209. 혈갈(血竭) 【Keyword】 혈갈
① 左 除雲母焰硝血蝎沒藥乳香麝香黃丹鹽花 餘材浸油中七日 文火煎 候白芷附子焦黃色 以布絞去滓 再熬 下黃丹等八味末 以柳木箆 不住手攪 滴水成珠爲度 入磁器內彈水銀在上 每用刮去水銀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① 운모·염초·혈갈·몰약·유향·사향·황단·염화를 제외한 나머지 약미들을 유중에 七 일간 담갔다가 은은한 불에 달여 백지와 부자가 황색으로 눋거든 헝겊으로 싸서 건덕지를 버리고 다시 볶는데, 황단 등 八 미의 분말을 넣고 유목비로 자꾸 저어서 물에 떨어뜨려 보아 구슬같이 될 정도로 하여 자기에 넣고, 고약 위에 나온 수은을 걷어낸다. 쓸 때마다 수은은 긁어 버린다. 【上統 雜方門 3. 운모고(雲母膏)】
210. 안식향(安息香) 【Keyword】 안식향
① 左末 用安息香膏 並煉蜜和丸 每一兩作四十丸 每二三丸 井水或溫水溫酒薑湯化服 【中統 90. 소합향원(蘇合香元)】
② 安息香乾則 不必作膏 【中統 90. 소합향원(蘇合香元)】
① 다음 약미들을 작말하여 안식향고로 이겨서 밀환을 짓되 매 一 냥분으로 四十 환씩 만들어 두고 二~三 환씩 우물물이나 온수, 또는 온주, 혹은 생강탕에 타서 먹는다. 【中統 90. 소합향원(蘇合香元)】
② 안식향이 건조해있으면 작고할 필요는 없다. 【中統 90. 소합향원(蘇合香元)】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활투(活套)'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喬木_001] 218. 황백(黃栢) ~ 220. 두충(杜沖) (0) | 2024.09.09 |
---|---|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香木_004] 211. 소합향(蘇合香) ~ 217. 황매(黃梅) (0) | 2024.09.09 |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香木_002] 191. 백자(栢子) ~ 200. 천초(川椒) (0) | 2024.09.07 |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香木_001] 190. 측백엽(側栢葉) (0) | 2024.09.06 |
[辨證論治 方藥合編_活套_苔草_001] 189. 권백(卷栢)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