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61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9. 세신(細辛) + 건지황(乾地黃)

한의사 강세황 2024. 9. 22. 01:15

9. 세신(細辛) + 건지황(乾地黃)

(좌) 세신 (우) 건지황

1) 單味功用

細辛().

乾地黃().

 

2) 伍用功能

細辛發散風寒, 祛風止痛, 温肺化飮; 乾地黃清熱凉血, 養陰生津, 補腎養心. 細辛氣味香竄, 升散之力頗强, 有較好的通絡止痛之功; 乾地黃性味甘寒, 善于滋陰清熱凉血止血. 二藥伍用, 以細辛之升散, 引乾地黃之甘寒, 直達上焦, 共奏清熱止痛之效, 而無燥烈升散之弊.

세신은 發熱風寒, 祛風止痛, 溫肺化飮, 건지황은 淸熱凉血, 養陰生津, 補腎養心한다.

세신은 氣味香竄하고 升散力하여 通絡止痛의 능력이 좋다. 건지황은 性味甘寒하여 滋陰淸熱凉血止血에 좋다. 하면 세신의 升散함이 건지황의 甘寒을 끌고 上焦로 올라가 淸熱止痛의 효과가 있고, 燥烈升散弊端이 없다.

 

3) 主治

風火頭痛, 牙痛等症.

風火頭痛, 牙痛 등의 증상

 

4) 商用量

細辛 1~3.

乾地黃 6~10.

세신 1~3g, 건지황 6~10g

 

5) 經驗

乾地黃又名乾生地, 大生地. 施老臨證處方時習用大生地.

生石膏, 細辛與大生地, 細辛伍用, 均可治療頭痛, 牙痛, 口舌生瘡諸症. 然前者職是胃火熾盛之致; 後者是屬陰虧津少, 虛火上炎之故, 臨床不可不辨.

생석고와 세신, 건지황과 세신의 配俉는 모두 頭痛, 牙痛, 口舌生瘡諸症을 치료한다. 前者胃火熾盛, 後者陰虛津少, 虛火上炎으로 인한 症狀을 다스리는 차이가 있으므로, 임상에서는 반드시 구별을 하여야 할 것이다.

, 으로 함은 보편된 治法이다. 그러나 臨床時에는 그 病症病情이 복잡하고 민감하다. 예를 들어 寒熱格拒는 보편된 治法의 치고하에, 仲介藥物을 써서 通寒熱하고 格据함을 파괴하여야 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