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72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5. 담성(膽星) + 선복화(旋覆花)

한의사 강세황 2024. 10. 3. 16:45

5. 담성(膽星) + 선복화(旋覆花)

1) 單味功用

痰盛又名膽南星. 是將制天南星硏末, 浸入牛, , 猪膽汁內, 以淹没爲度, 日晒夜露, 乾則繼加膽汁, 至變爲褐色時爲度, 再裝牛膽囊中, 懸挂陰乾備用.

南星苦温辛烈, 開泄走竄燥濕作用很强. 膽星則與它不同, 經膽汁制後, 其性由苦辛温變爲苦凉, 其燥烈之性大減, 它旣能減除燥熱傷陰之弊, 又能增强豁痰定驚之功, 善治痰熱蒙蔽清竅, 以致中風痰壅, 高熱痙厥, 驚癎, 癲狂等症.

旋覆花().

 

2) 伍用功能

膽星淸化痰熱, 祛風鎭驚解痙; 旋覆花消痰行水, 降氣止嘔, 宣肺平喘. 膽星突出一个淸字, 旋覆花側重一个宣字. 二藥伍用, 一淸一宣, 宣燥和化, 風可息, 痰可去, 嗽可寧.

담남성은 淸火痰熱, 祛風鎭驚解痙 작용으로 풍담을 치료한다. 온조한 성질이 반하보다 강하다. 선복화는 消痰行水, 降氣止嘔, 宣肺平喘한다. 남성은 자로 대표되고, 선복화는 偏重된다. 合用하면 一淸一宣하여 宣燥和化, 熄風, 祛痰, 亭嗽한다.

 

3) 主治

(1) 頑痰咳嗽, 胸膈脹悶, 痰濕壅滯, 氣逆痰喘等症;

頑痰으로 인한 咳嗽, 胸膈脹悶, 痰濕壅滯, 氣逆痰喘 등의 증상

 

(2) 痰竄經絡, 肢體寐木等症.

痰丳經絡, 肢體痲木 등의 증상

 

4) 商用量

膽星 3~6.

旋覆花 4.5~6. 布包煎服.

담남성 3~6g, 선복화 4.5~6g

 

5) 經驗

旋覆花, 半夏曲, 旋覆花, 膽星均爲治痰之劑. 半夏與膽星其共同点有燥濕祛痰之功, 但是在臨床應用上大有區別, 不可等同視之. 半夏主濕痰多, 膽星主風痰多. 若風痰急閉, 非膽星不能開散. 膽星走經絡, 半夏走腸胃. 其功用自有不同, 用時宜竄. 故旋覆花, 半夏伍用, 以祛稀痰, 止咳嗽, 治咳嗽, 痰喘急性氣管支炎, 慢性支氣管炎, 哮喘諸症均宜使用). 旋覆花, 膽星伍用, 宣燥和化, 祛痰息風, 以治頑痰咳嗽, 痰竄經絡, 肢體麻木等症.

선복화, 반하와 선복화, 담남성은 모두 治痰하는 약물구성이다. 반하와 담남성은 燥濕祛痰功效가 같다. 그러나 임상에 응용할 때에는 큰 차이가 있다. 반하는 濕痰가되고, 남성은 風痰가 되니 風痰急閉에 남성이 아니면 開散할수 없다. 또한 남성은 經絡에 작용하고 반하는 腸胃에 작용한다. 이렇게 그 용도가 다르니 때에 따라서 정확히 이용해야 한다.

선복화, 반하의 配俉去稀痰, 止咳嗽 효능으로 咳嗽, 痰喘(급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哮喘 諸症)을 치료한다. 선복화, 담남성의 配俉宣燥和化, 祛痰熄風의 작용으로 頑痰咳嗽, 痰丳經絡, 肢體痲木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