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장사약해(長沙藥解)

[長沙藥解_卷三_03] 101. 과루근(栝蔞根) ~ 110. 백미(白薇)

한의사 강세황 2024. 12. 29. 02:34

栝蔞根

과루근

 

味甘, 微苦, 微寒, 入手太陰肺經.

과루근은 감미, 약간 고미, 약간 찬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肺生津, 止渴潤燥, 舒痙病之攣急, 解渴家之淋癃.

과루근은 폐를 맑게 하며 진을 생성하고 갈증을 멎고 건조를 윤태갛게 하며 경련병의 경련급함을 펴주고 갈증의 소변임륭을 풀어준다.

 

金匱栝蔞桂枝湯, (栝蔞根三兩, 桂枝三兩, 芍藥三兩, 甘草二兩, 大棗十二枚, 生薑三兩.)

금궤요략 과루계지탕 과루근 120g, 계지 120g, 작약 120 g, 감초 80g, 대추 12, 생강 120g이다.

 

治太陽痙病*, 其證備, 身體强, 𠘧𠘧然, 脈沈遲者.

과루계지탕은 태양경병의 증상이 갖추어져 신체가 뻣뻣하며, 뒷목이 뻣뻣하고, 침지맥을 치료한다.

 

* 痙病 : 목덜미와 등이 뻣뻣해지면서 팔다리에 경련이 일어나서 몸이 뒤로 젖혀지는 병증임

 

太陽之經, 外感風寒, 發汗太多, 因成痙病.

태양경은 외감 풍한사의 발한이 너무 많으면 경병이 생성된다.

 

其證身熱足寒, 頸强項急, 頭搖口噤, 背反張, 面目赤.

증상 신열에 발이 차고 목이 뻣뻣하고 뒷목이 급하며 머리가 흔들고 입을 벌리지 못하고 등이 반대로 휘고 얼굴과 눈이 적색임을 치료한다.

 

發熱汗出, 而不惡寒者, 是得之中風, 名曰柔痙.

발열해 땀이 나면서 오한이 없으면 이를 중풍을 얻었다고 하며 유경이라고 이름한다.

 

以厥陰風木, 藏血而主筋, 筋脈枯燥, 曲而不伸, 是以項强而背反.

궐음풍목은 혈을 저장하고 근육을 저장해 근맥이 건조하면 굽어 펴지 못하므로 뒷목이 뻣뻣하고 등이 반대로 굽는다.

 

木枯風動, 振蕩*不寧, 是以頭搖而齒齘*.

목이 건조하고 풍이 동요하면 흔들려 편안하지 않아 머리를 흔들고 치아를 갈게 된다.

 

* 振盪 여러가지 원인 특히 미로자극에 의한 안구의 진동운동 : 震盪 흔들어[흔들려] 움직임

** (이 갈, 切齒하다 계; -19; xiè)

 

太陽行身之背, 故病在脊背.

태양경은 몸 등을 운행하므로 병이 척추등에 있다.

 

此因汗多血燥, 重感風邪, 鬱其營氣, 故病如此.

이는 땀이 많고 혈이 건조하고 거듭 풍사에 감촉해 영기를 울체해 이처럼 질병이 된다.

 

, , 補脾精而益營血, , , 達經氣而瀉營鬱, 芍藥, 栝蔞, 清風木而生津液也.

감초, 대추는 비정을 보하고 영혈을 보익하고, 생강, 계지는 경기를 도달하고 영의 울체를 사하며, 작약, 과루는 풍목을 맑게 하며 진액을 생성한다.

 

栝蔞瞿麥丸, (栝蔞根三兩, 薯蕷二兩, 瞿麥一兩, 茯苓三兩, 附子一枚.)

과루구맥환은 과루근 120g, 서여 80g, 구맥 40g, 복령 120g, 부자 1매이다.

 

治內有水氣, 渴而小便不利者.

과루구맥환은 안에 수기가 있고 갈증이 나고 소변불리함을 치료한다.

 

陽衰土濕, 寒水停留, 乙木鬱遏, 不能疏泄, 故小便不利.

양이 쇠약하고 토가 습해 찬 물이 정류하고 을목이 울체해 막혀 소설을 못하므로 소변일 불리하다.

 

木鬱風動, 肺津傷耗, 是以發渴.

목이 울체하고 풍이 동요하고 폐의 진액이 손상 소모가 되어 갈증이 발생한다.

 

瞿麥, , , 瀉水而溫寒, 薯蕷, 栝蔞, 斂肺而生津也.

구맥, 복령, 부자가 수를 사하며 한기를 온난하게 하며, 서여, 과루는 폐를 수렴하고 진액을 생성한다.

 

栝蔞牡蠣散, (栝蔞根, 牡蠣等分. 爲散, 飲服方寸匕, 日三服.) 治百合病, 渴不差者.

과루모려산(과루근, 모려 같은 분량을 가루내어 사방 1촌 수저에 마시기를 하루에 3번 복용한다.) 백합병, 갈증이 낫지 않음을 치료한다.

 

百合之病, 肺熱津傷, 必變渴證.

백합병은 폐의 열로 진액이 손상하며 반드시 갈증으로 변화한다.

 

津液枯燥, 故渴久不止.

진액이 마르므로 갈증이 오래되어 중지하지 않는다.

 

栝蔞, 牡蠣, 清金斂肺, 生津潤燥而止渴也.

과루, 모려는 폐금을 맑고 수렴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건조를 윤택하게 하며 갈증을 멎게 한다.

 

小青龍湯, (方在麻黃.)治太陽傷寒, 內有水氣, 渴者, 去半夏, 加栝蔞根三兩.

소청룡탕(처방은 마황에 있다.) 태양병 상한, 안에 수기가 있음을 치료하고, 갈증에는 반하를제거하고 과루근 120g을 가미한다.

 

小柴胡湯, (方在柴胡.)治少陽傷寒, 渴者, 去半夏, 加人參, 栝蔞根, 以其涼肅潤澤, 清金止渴, 輕清而不敗脾氣也.

소시호탕(처방은 시호에 있다) 소양병 상한을 치료하니 갈증은 반하를 제거하고 인삼, 과루근을 가미하고 맑고 윤택하게 하며 폐금을 맑게 하며 갈증을 멎게 하며 가벼워 맑고 비기를 패배하게 하지 않는다.

 

清肺之藥, 最爲上品, 又有通達凝瘀, 清利濕熱之長.

폐를 맑게 하는 약으로 과루근은 가장 최상품으로 또 언 어체를 통달하게 하며 습열을 맑고 잘 나가게 하는데 장기가 있다.

 

其諸主治, 下乳汁, 通月水, 醫吹奶, 療乳癰, 治黃疸, 消囊腫, 行撲損瘀血, 理瘡瘍腫痛.

과루근 여러 주치는 유즙을 내리고 월경을 통하게 하며 취내를 낫게 하며 유옹을 치료하며 황달을 치료하며 낭종을 소멸하고 타박어혈을 운행하며, 창양의 부종통을 다스린다.

 

栝蔞實

과루실

 

味甘, 微苦, 微寒, 入手太陰肺經.

과루실은 감미, 약간 고미, 약간 한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心潤肺, 洗垢除煩, 開胸膈之痹結, 滌涎沫之膠粘, 最洗瘀濁, 善解懊憹*.

심을 맑게 하며, 폐를 윤택하게 하며 때를 제거하고 심번을 제거하고 흉격의 마비 결체를 열고 연말의 점조함을 세척하여 가장 어탁을 씻어 잘 오뇌를 풀어준다.

 

* 懊憹 : 가슴이 몹시 답답하여 괴로워서 참기 힘든 증상

 

金匱栝蔞薤白白酒湯, (栝蔞實一枚, 薤白三兩, 白酒七升.)

금궤요략 과루해백백주탕 과루실 1, 해백 120g, 백주 7되이다.

 

治胸痹氣短, 喘息咳唾, 胸背疼痛, 寸口脈沈而遲, 關上小緊數.

과루해백백주탕은 흉비로 숨이 짧고, 숨차며 기침을 토하고, 가슴과 등이 아프며 촌구맥이 침지맥이며 관맥은 조금 긴삭맥임을 치료한다.

 

以胸膈痹塞, 氣無降路, 故喘息咳唾.

흉격의 마비와 폐색이 기가 내려갈 길이 없으므로 숨차고 기침을 뱉게 된다.

 

逆衝胸背, 而生痛楚清道堙鬱, 爰生煩熱.

거슬러 가슴과 등에 상충해 고통이 되며 맑은 길이 막혀 울체해 이에 번열이 된다.

 

薤白, 白酒, 開擴其壅塞, 栝蔞清滌其鬱煩也.

해백, 백주는 막힘을 열어 확충하고 과루는 울체 심번을 맑게 세척해준다.

 

栝蔞薤白半夏湯, (栝蔞實一枚, 薤白三兩, 白酒一斗, 半夏半升.)

과루해백반하탕은 과루실 1, 해백 120g, 백주 1, 반하 반되이다.

 

治胸痹不得臥, 心痛徹背者.

과루해백반하탕은 흉비로 눕지 못하고, 등까지 아픈 심장통을 치료한다.

 

以胸膈痹塞, 氣無降路, 逼迫宮城, 故心痛徹背.

흉격의 마비 폐색으로 기가 내려갈 길이 없고 궁성을 핍박해 그래서 심장통이 등까지 아프다.

 

背者, 胸之府也, 氣不前降於腹, 胸膈莫容, 是以逆衝於脊背.

등은 가슴의 창고로 기가 배에 앞으로 하강을 못해 흉격이 용납을 못해 척추와 등에 상역 상충한다.

 

薤白, 白酒, 半夏, 破壅而降逆, 栝蔞清滌其鬱煩也.

해백, 백주, 반하는 옹체를 격파하고 상역을 하강하고, 과루는 울체 심번을 맑게 세척해준다.

 

傷寒小陷胸湯, (大栝蔞實一枚, 半夏半升, 黃連一兩.)

상한론 소함흉탕은 대과루실 1, 반하 반되, 황련 40g이다.

 

治小結胸, 正在心下, 按之則痛, 脈浮滑者.

소함흉탕이 치료하는 소결흉은 바로 심하에만 있어 누르면 아프고 부활맥을 치료한다.

 

太陽中風, 表證未解, 下之太早, 經陽內陷, 爲裏陰所拒, 結於胸膈, 心下滿痛, 煩躁懊憹, 脈沈而緊, 是爲結胸.

태양병 중풍은 표증이 아직 풀리지 않아 사하가 너무 이르며 양이 안으로 하함해 리음이 막혀 흉격에 결체하며 심하가 가득하고 아프며 번조로 답답해 하며 침긴맥이 결흉이 된다.

 

結之小者, 濁氣衝塞, 正在心下, 其勢稍緩, 非按不痛, 脈則浮滑, 未至沈緊.

작은 결흉은 탁기가 상충하고 막음이 바로 심하에 있어 기세가 조금 완만해 누르지 않으면 통증이 없고 부활맥이며 침긴맥에는 이르지 않는다.

 

而陽氣鬱遏, 亦生煩熱.

양기가 울체해 막혀도 또 번열이 생긴다.

 

半夏降其逆氣, 黃連瀉其悶熱, 栝蔞滌其鬱煩也.

반하는 역기를 하강하고 황련은 답답한 열을 사하며 과루는 울체한 번열을 세척한다.

 

小柴胡湯, (方在柴胡.)治少陽傷寒.

소시호탕(처방은 시호에 있다.)은 소양병 상한을 치료한다.

 

胸中煩而不嘔者, 去人參, 半夏, 加栝蔞實, 以其清心而除煩也.

가슴속 심번으로 구토가 없으면 인삼, 반하를 제거하고 과루실을 가미하여 심장을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한다.

 

栝蔞實肅清涼潤, 善解鬱煩, 濁氣鬱蒸, 涎沫粘聯, 心緒*煩亂, 不可言喻者得之, 肺府清潔, 神氣慧爽**.

과루실은 맑고 차고 윤택해 잘 울번을 해소하며 탁기가 울체해 찌면 침이 끈적하게 붙어 정서가 번란하며 비유로 얻을 수 없으니 폐부가 청결하고 신기가 기민하게 된다.

 

* 心绪[xīnxu] ① 생각 ② 마음 ③ 기분 ④ 심정

** 爽慧 : 기민하고 지혜롭다

 

洗心滌肺之妙藥也.

과루실은 심폐를 세척하는 오묘한 약이다.

 

其諸主治, 消咽痛, 治肺痿, 滌痰涎, 止咳嗽, 通乳汁, 下胞衣, 理吹奶, 調乳癰, 解消渴, 療黃疸, 通小便, 潤大腸, 斷吐血, 收脫肛, 平癰腫, 醫瘡瘍.

과루실 여러 주치는 인통을 소멸하고 폐위를 치료하고 담연을 세척하고 기침을 멎게 하며 유즙을 통하게 하며 태반을 내려가게 하며 젖몸살을 다스리고 유옹을 조리하고 소갈을 풀어주고 황달을 치료하고 소변을 통하게 하며 대장을 윤태갛게 하며 토혈을 끊고 탈항을 수렴하고 옹종을 평정하고 창양을 낫게 한다.

 

麥冬

맥문동

 

味甘, 微涼, 入手太陰肺, 足陽明胃經.

맥문동은 감미, 약간 양기로, 수태음폐경, 족양명위경에 들어간다.

 

清金潤燥, 解渴除煩, 涼肺熱而止咳, 降心火而安悸.

맥문동은 금을 맑게 하며 건조를 윤택하게 하며 갈증을 풀고 심번을 제거하고 폐열을 시원하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하고 심화를 하강하고 경계를 편안하게 한다.

 

金匱麥門冬湯, (麥冬七升, 半夏一升, 粳米三合, 人參二兩, 甘草一兩, 大棗十二枚.)

금궤요략 맥문동탕은 맥문동 7, 반하 1, 갱미 3, 인삼 80g, 감초 40g, 대추 12매이다.

 

治咳嗽, 火逆上氣, 咽喉不利.

맥문동탕은 기침, 화가 상역된 상기, 인후가 불리함을 치료한다.

 

以肺胃上逆, 相火刑金.

폐와 위가 상역해 상화가 금을 형극하기 때문이다.

 

麥冬, 半夏, 清金瀉火而降逆, , , , , 補中化氣而生津也.

맥문동, 반하는 금을 맑게 하며 화를 사하며 상역을 하강하고, 감초, 대추, 인삼, 갱미는 중초를 보하고 기를 변화하고 진액을 생성한다.

 

傷寒炙甘草湯(方在甘草.)用之治少陽傷寒, 脈結代, 心動悸者.

상한론 자감초탕(처방은 감초에 있다.)을 사용해 소양병 상한, 결대맥, 동계를 치료한다.

 

以少陽相火不降, 致累君火, 逆升而生煩悸, 麥冬清心而寧神也.

소양 상화가 하강하지 않아 군화에 연루되어 상역해 심번 동계가 발생하니 맥문동으로 심을 맑게 하며 정신을 편안하게 한다.

 

薯蕷丸, (方在薯蕷.)竹葉石膏湯(方在竹葉.)皆用之, 以清金而潤燥也.

서여환(처방은 서여에 있다.) 죽엽석고탕(처방은 죽엽에 있다)에 모두 사용하니 금을 맑게하며 건조를 윤택하게 한다.

 

麥冬清涼潤澤, 涼金瀉熱, 生津除煩, 澤枯潤燥之上品.

맥문동은 청량하고 윤택하게 하며 금을 시원하게하여 열을 사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심번을 제거하고 건조를 윤택하게 하는 최상품이다.

 

然無益中虛肺熱之家, 率因陽衰土濕, 中氣不運, 胃膽上逆, 相火刑金, 原非實熱之證.

중초가 허하고 폐가 열나는 환자에는 무익하니 대개 양이 쇠약하면 토가 습해 중기가 운행을 못해 위와 담이 상역하고 상화가 폐금을 형극해 원래 실열증상이 아니다.

 

蓋土濕胃逆, 則肺膽不得右降, 以土者四象之中氣, 轂*敗則軸折, 輪輻**不轉, 自然之理.

대개 토가 습하고 위가 상역하면 폐와 담이 우측으로 하강을 못하고 토는 사상의 중기로 바퀴가 패배하고 축이 부러져 바퀴살이 돌지 못함이 자연의 이치이다.

 

* 轂(바퀴, 수레 곡; ⾞-총17획; gǔ,gū)

** (바퀴 륜; -8; lún) (바퀴살 복; -13; fú) [lunfu] 바퀴살. (=轮条)

 

戊土上壅, 濁氣塡塞, 肺膽無下降之路, 此相火刑金之原也.

무토가 위에어 옹체해 탁기가 막으면 폐와 담이 하강할 길이 없어 이는 상화가 금을 형극하는 근원이다.

 

金受火刑, 失其清肅降斂之性, 嗽喘吐衄, 於是生焉.

금이 화의 형벌을 받아 청숙하게 하강하고 수렴하는 약성을 잃어 기침과 숨침, 토혈과 코피가 이에서 생긴다.

 

但服清潤, 陰旺濕滋, 中氣愈敗, 胃土更逆, 上熱彌增.

단지 맥문동의 복용으로 맑고 윤택하게 하면 음이 왕성하고 습이 더해져 중기가 더욱 패배하며 위토가 다시 상역해 토열이 더해진다.

 

是以虛勞淹滯*, 非無上熱, 而清金潤肺之法, 絕不能效, 以救其標而傷其本也.

그래서 허로가 오래 머무름은 모두 상열이니 폐금을 맑게하여 윤택하는 방법은 절대 효과가 없어 표를 구하며 근본을 손상한다.

 

* 淹滞 [yānzhi] 일의 진전이 지체됨 1. 오래 머무르다. 장기간 체류하다. 2. 재능이 있으면서도 낮은 지위에 머무르다.

 

此宜金土同醫, 故仲景用麥冬, 必與參甘同劑.

이 맥문동은 금과 토를 같이 치료하므로 장중경이 맥문동을 사용함에 반드시 인삼, 감초와 같이 약제한 이유이다.

 

麥冬而得人參, 清金益氣, 生津化水, 霧露泛灑*, 心肺肅涼, 洗滌煩躁之法, 至爲佳妙**.

맥문동이 인삼을 얻으면 금을 맑게 하며 기를 더하고 진을 생성해 수를 변화하고 안개와 이슬이 씻어 깨끗하게 하며 번조의 세척하는 방법으로 지극히 아름답고 멋지다.

 

* 泛灑 : 물로 씻어 깨끗하게 함

** 佳妙 : 아름답고 멋지다[묘하다]. 아름답다.

 

其諸主治, 安魂魄, 除煩悸, 療喉瘡, 治肺痿, 解消渴, 平咳嗽, 止吐衄, 下痰飲, 利水濕, 消浮腫, 下乳汁, 通經水.

맥문동의 여러 주치는 혼백을 안정하고 심번, 심계를 제거하고 후창을 치료하고, 폐위를 치료하고 소갈을 풀어주고, 기침을 평정하고, 토와 코피를 멎게 하며, 담음을 멎게 하며, 수습을 이롭게 하며, 부종을 소멸하고, 유즙을 내리고, 경수를 통하게 한다.

 

天冬

천문동

 

味苦, 氣寒, 入手太陰肺, 足少陰腎經.

천문동은 고미, 한기로 수태음폐경, 족소음신경에 들어간다.

 

清金化水, 止渴生津, 消咽喉腫痛, 除咳吐膿血.

천문동은 금을 맑게 하며 수를 변화하게 하니 인후가 붓고 아픔을 소멸하고 기침으로 농혈을 토함을 제거한다.

 

傷寒麻黃升麻湯(方在麻黃.)用之治厥陰傷寒, 大下後, 咽喉不利, 吐膿血, 泄利不止者, 以其清火逆而利咽喉, 療肺癰而排膿血也.

상한론은 마황승마탕(처방은 마황에 있다) 궐음병 상한을 치료하는데 쓰면 크게 사하한 뒤에 인후가 불리하고 농혈을 토하고 설 리가 그치지 않으면 화의 상역을 맑게 하며, 인후를 이롭게 하며, 폐옹을 치료하며 농혈을 배출한다.

 

水生於金, 金清則水生, 欲生腎水, 必清肺金.

수는 금에서 생성하고 금이 맑으면 수가 생성하여 신수를 생성하려면 반드시 폐금을 맑게 한다.

 

清金而生水者, 天冬是也, 庸工以地黃血藥而滋腎水, 不通極矣!

금을 맑게 하면 수를 생성함이 천문동이니 보통 의사는 지황의 혈 치료약으로 신수를 자양하며 매우 통하지 않게 한다!

 

蓋肺主化氣, 氣主化水, 肺中之氣, 氤氳*如霧, 霧氣清降, 化而爲水.

폐는 화기를 주로하고 기가 주로 수를 변화하니 폐중의 기는 안개처럼 서려 있고 안개기가 맑게 하강하면 변화하여 물이 된다.

 

* 氤(기운 성할 인; ⽓-총10획; yīn) 氳(기운 성할 온; ⽓-총14획; yūn) : [yīnyūn](구름·안개·연기 등이) 자욱하다. 본래 음양(陰陽)의 기운이 서로 만나 화합하는 형상을 뜻하였는데, 전하여 연기나 기체(氣體)의 기운이 왕성하면서도 흩어지지 않고 한 군데 서리어 있는 모양

 

其精液藏於腎而爲精, 其渣滓滲於膀胱而爲尿.

정액은 신에 저장되어 정이 되며 찌꺼기가 방광에 삼설하면 소변이 된다.

 

天暑衣厚, 則表開而外泄, 天寒衣薄, 則表合而內注, 汗尿一也, 外內不同耳.

날씨가 덥고 옷이 두터우면 표가 열려 외부로 발설해 날이 차면 위복이 엷으면 표가 닫혀 안에 주입해 땀과 소변은 한가지로 밖과 안이 다를뿐이다.

 

而肺金化水, 必因土燥, 陽明庚金, 燥氣司權*, 收斂戊土之濕, 化而爲燥, 胃氣右轉, 肺氣清降, 而水化焉.

폐금이 수로 변화함은 반드시 토의 건조, 양명 경금의 건조의 기가 권력을 맡아 무토의 습을 수렴하고 변화하여 건조하게 되니 위기가 우측으로 돌면 폐기가 맑게 하강하며 수로 변화한다.

 

* 司權 : 위력을 행사할 만한 권력이 있는 것이다. 즉, 천시(天時)를 득하고 지지지의 기세가 후하며 생하는 신이 있어서 극을 받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이다.

 

此如涼秋變序, 白露宵零也.

이는 찬 가을의 변화 순서대로 백로가 하늘에서 떨어짐이다.

 

土濕則中鬱而胃逆, 肺金莫降, 霧氣凝塞, 淫蒸而化痰涎, 水源絕矣.

토가 습하면 중기가 울체해 위가 상역해 폐금이 하강하지 말고 안개가 얼어 막히고 막히며 넘쳐서 담연으로 변화하면 수원이 끊어지게 된다.

 

天冬潤澤寒涼, 清金化水之力, 十倍麥冬, 土燥水枯者, 甚爲相宜.

천문동은 윤택하고 한량하며 금을 맑아 수를 변화하는 힘이 맥문동의 10배로 토가 건조하고 물이 마른데 더욱 의당하다.

 

陽明傷寒之家, 燥土賊水, 腸胃焦涸, 瘟疫斑疹之家, 營熱內鬱, 藏府燔蒸, 凡此閉澀不開, 必用承氣.

양명병 상한환자는 건조한 토로 수를 해치며 위장이 타고 말라 온역병 반진의 환자는 영열이 안에 울체해 56부가 불타고 찌는 듯해 이는 닫혀 깔깔하고 열리지 않는데 반드시 승기탕을 사용한다.

 

方其燥結未甚, 以之清金瀉熱, 滋水滑腸, 本元*莫損, 勝服大黃.

건조한 결체가 아직 심하지 않아 금을 맑게 하고 열을 사해 수를 자양하고 장을 윤활하게 하니 본원은 손상되지 않음이 대황보다 낫다.

 

* 本元 : 본바탕, 元氣를 말한다

 

又或瘡瘍熱盛, 大便秘塞, 重劑酒煎熱飲, 亦良.

또 혹 창양의 열이 치성하고 변비로 막히면 중제로 술로 달여 뜨겁게 마심이 또 좋다.

 

腎陰有盛而無衰, 宜溫不宜補, 土燥水枯之證, 外感中止有此種, 至於別經傷寒, 此證甚少.

신음이 성대하면서 쇠약이 없으면 온난하게 하며 보함은 의당하지 않고 토가 건조하면서 수가 마른 증상은 외감이 중지하면 이 종류가 있어 별다른 경의 상한에 이르면 이 증상이 매우 적다.

 

若內傷雜病, 率皆陰旺土濕, 未有水虧者.

만약 내상의 잡증은 대개 모두 음이 왕성하고 토가 습해 아직 수가 훼손되지 않았다.

 

土勝而水負則生, 水勝而土負則死, 天冬證絕不偶見, 未可輕服.

토가 이기면 수가 지고 살며 수가 이기면 토가 지고 죽게 되니 천문동 증상은 절대 우연히 보지 못하고 가볍게 복용할 수 없다.

 

其性寒滑濕濡, 最敗脾胃而瀉大腸, 陽虧陰旺, 土濕便滑者, 宜切忌之.

천문동 약성이 차고 윤활하고 습윤하고 가장 비위를 패배하고 대장을 사하며 양이 휴손하고 음이 왕성하며 토가 습하고 대변이 윤활한 환자에 절대 금기한다.

 

久服不已, 陽敗土崩, 無有不死.

천문동을 오래 복용함을 그치지 않으면 양이 패배하고 토가 붕괴하여 다죽게 된다.

 

後世庸工, 以此殺人, 不可勝數.

후세 보통 의사가 천문동으로 살인함을 이루 다 셀수 없다.

 

凡肺痿肺癰, 吐衄嗽喘, 一切上熱之證, 非土燥陽實者, 槪不宜此, 用者愼之!

폐위와 폐옹, 구토, 코피, 기침, 숨참의 일체 상열 증상은 토가 건조하고 양이 실하지 않으면 대개 천문동이 의당하지 않으니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

 

其有水虧宜餌者, 亦必制以滲利之味, 防其助濕.

수가 휴손됨에 천문동 복이가 의당하니 반드시 삼리의 약미로 제어해 천문동이 습을 도움을 방지해야 한다.

 

土濕胃逆, 痰涎淫生, 愈服愈滋, 而水源愈竭矣, 是猶求水於陽燧*.

토가 습하면 위가 상역해 담연이 넘쳐 생겨 복용할수록 자양해 수의 근원은 더욱 고갈하고 그래서 양수에서 수를 구함과 같다.

 

* 阳燧 [yangsui] 오목거울, 햇빛을 이용하여 불을 일으키던 거울 같은 동제(銅製)의 도구

 

其諸主治, 止咳逆, 定喘促, 愈口瘡, 除腫痛, 療肺痿, 治肺癰, 去痰涎, 解消渴, 利小便, 滑大腸.

천문동의 여러 주치는 해역을 멎게 하며 숨참 촉급을 안정하고 구창을 치유하며 종통을 제거하고 폐위를 치료하며 폐옹을 치료하며 담연을 제거하고 소갈을 해소하고 소변을 이롭게 하며 대장을 윤활하게 한다.

 

竹葉

죽엽

 

味甘, 微寒, 入手太陰肺經.

죽엽은 감미, 약간 찬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肺除煩, 涼金瀉熱.

죽엽은 폐를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하며 금을 차게 하며 열을 사한다.

 

金匱竹葉湯, (竹葉一把, 桔梗一兩, 生薑五兩, 附子一枚, 葛根三兩, 桂枝一兩, 防風一兩, 甘草一兩, 人參一兩, 大棗十五枚.)

금궤요략 죽엽탕은 죽엽 한줌, 길경 40g 생강 200g, 부자 1, 갈근 120g, 계지 40g, 방풍 40g, 감초 40g, 인삼 40g, 대추 15매이다.

 

治產後中風, 發熱面赤, 喘而頭痛.

죽엽탕은 산후의 중풍, 발열로 얼굴이 적색, 숨차고 두통을 치료한다.

 

以產後中氣虛弱, 陰陽不能交濟, 肝脾易陷, 肺胃易逆, 陷則下寒, 逆則上熱.

산후에 중기가 허약해 음양이 교제하지 못하고 간과 비가 쉽게 하함하고 폐와 위가 쉽게 상역해 하함하면 아래가 차며 상역하면 상열이 된다.

 

風傷衛氣, 衛斂而遏營血, 上熱彌增, 肺胃愈逆, 故發熱面赤, 喘而頭痛.

풍은 위기를 손상하고 위가 수렴하면 영혈을 막고 상열이 증가할수록 폐와 위가 더욱 상역해 그래서 발열과 얼굴이 붉어 숨차고 두통이 된다.

 

肺胃愈逆而熱愈增, 則肝脾益陷而寒益甚.

폐와 위가 상역할수록 열이 더욱 증가하니 간과 비가 하함할수록 한기가 더욱 심하다.

 

竹葉, 桔梗, 涼肺而除煩, 葛根, 生薑, 清肺而降逆, 附子溫寒而暖水, , , 燥濕而達木, , , 人參, 補中而培土也.

죽엽, 길경은 폐를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하고, 갈근, 생강은 폐를 맑게 하며 상역을 하강하고, 부자는 한기를 온난하게 하며 수를 따뜻하게 하며, 계지, 방풍은 습을 건조하고 목을 도달하게 하며, 감초, 대추, 인삼은 중토를 보하고 북돋운다.

 

竹葉石膏湯, (竹葉二把, 石膏一斤, 麥冬一升, 粳米半升, 人參三兩, 甘草二兩, 半夏半升.)

죽엽석고탕은 죽엽 2, 석고 600g, 맥문동 1, 갱미 반되, 인삼 120g, 감초 80g, 반하 반되이다.

 

治大病差後, 虛羸少氣, 氣逆欲吐者.

죽엽석고탕은 대병이 나은 뒤에 허리로 기가 적고 기역으로 토하려고 함을 치료한다.

 

以病後中虛, 胃逆欲吐, 三陽不降, 燥熱鬱發.

병후에 중기가 허하고 위역으로 토하려고 하며 3양이 하강하지 않고 조열이 울체해 발생함이다.

 

竹葉, 石膏, 麥冬, 清金瀉熱而除煩, 粳米, , , 補中化氣而生津, 半夏降逆而止嘔也.

죽엽, 석고, 맥문동은 금을 맑게 하며 열을 사하고 심번을 제거하며 갱미, 인삼, 감초는 중초를 보하고 기를 변화하여 진을 생성하며, 반하는 상역을 하강하고 구토를 멎게 한다.

 

竹葉甘寒涼金, 降逆除煩, 瀉熱清上之佳品也.

죽엽은 감미, 한기로 폐금을 서늘하게 하며 상역을 하강하고 심번을 제거하며 열을 사하며 상초를 맑게 하는 좋은 약품이다.

 

其諸主治, 降氣逆, 止頭痛, 除吐血, 療發黃, 潤消渴, 清熱痰, 漱齒衄, 洗脫肛.

죽엽의 여러 주치는 기역을 하강하며 두통을 멎게 하며 토혈을 제거하며 발황을 치료하며 소갈을 윤택하게 하며 열담을 청하게 하며 치아와 코 출혈을 양치질하고 탈항을 씻어준다.

 

竹茹

죽여

 

味甘, 微寒, 入手太陰肺, 足陽明胃經.

죽여는 감미, 약간 한기로 수태음폐경, 족양명위경에 들어간다.

 

降逆止嘔, 清熱除煩.

죽여는 상역을 하강하고 구토를 멎게 하며 열을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한다.

 

金匱竹皮大丸, (竹茹二分, 石膏二分, 白薇一分, 有熱二分, 甘草七分, 桂枝一分. 棗肉和丸.)

금궤요략 죽피대환은 죽여 2, 석고 2, 백미 1(열이 있으면 2), 감초 7, 계지 1푼으로 대추살로 섞어 환을 만든다.

 

治產婦乳子*中虛, 煩亂嘔逆.

대죽피환은 임산부와 젖먹이가 심번 혼란해 구역함을 치료한다.

 

* 乳子 : ① 젖먹이. ② 젖을 먹이는 것

 

以乳婦產子未久, 中氣尙虛, 遇土鬱木賊之時, 胃逆作嘔, 爰生煩亂.

수유부인의 출산이 오래되지 않아 중기가 아직 허약하고 토가 울체하고 목이 해치는 시기를 만나서 위가 상역해 구토하면 번란이 생성한다.

 

竹茹降濁而止嘔, 石膏, 白薇, 清金而除煩, 甘草, 桂枝, 培土而達木也.

죽여는 탁기를 하강하고 구토를 멎게 하니 석고, 백미는 금을 맑게 하며 심번을 제거하고, 감초, 계지는 토를 북돋워 목을 통달하게 한다.

 

橘皮竹茹湯(方在橘皮.)用之治噦逆, 以其降逆而驅濁也.

귤피죽여탕(처방은 귤피에 있다.) 사용해 딸국질 상역을 치료하니 상역을 하강하고 탁기를 몰아낸다.

 

竹茹甘寒之性, 善掃瘀濁而除嘔噦, 清金斂肺, 更其所長.

죽여는 감미, 한성으로 잘 어탁을 소제하고 구토, 딸국질을 제거하고 금을 맑게 하며 폐를 수렴하는데 다시 장기가 있다.

 

其諸主治, 除吐衄, 止崩漏, 治膈噎, 療肺痿.

여러 주치는 토와 코피를 제거하고 붕루를 멎게 하며 열격을 치료하고 폐위를 치료했다.

 

萎蕤

위유

 

味甘, 入手太陰肺經.

위유는 감미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肺金而潤燥, 滋肝木而清風.

위유는 폐금을 맑게 하며 건조를 윤택하게 하며 간목을 자양하고 풍을 맑게 한다.

 

傷寒麻黃升麻湯(方在麻黃.)用之治厥陰病, 咽喉不利, 吐膿血者.

상한론 마황승마탕(처방은 마황에 있다) 사용해 궐음병, 인후의 불리, 농혈을 토함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以金受火刑, 萎蕤清金而潤燥也.

금이 화의 형벌을 받으니 위유는 금을 맑게 하며 건조를 윤택하였다.

 

萎蕤和平滋潤, 化氣生津, 解渴除煩, 清金利水, 益氣潤燥.

위유는 화평하고 자윤해 기로 변화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갈증을 해소하고 심번을 제거하며 금을 맑게 하며 수를 이롭게 하며 기를 더하고 건조를 윤택하게 한다.

 

其諸主治, 止消渴, 通淋澀, 潤皮膚, 去黑䵟, 療目眥赤爛, 治眼睛昏花*.

위유의 주치는 소갈을 멎게 하며 소변임삽을 통하게 하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검은 기미를 제거하고 눈초리 적색으로 미란됨, 눈동자가 어둡고 꽃이 피듯함을 치료한다.

 

* 昏花 [hūnhuā] (주로 노인의 눈이) 침침하다[가물가물하다, 흐릿하다]. = 昏华

 

(卽玉竹. 三國志·華佗傳: 以漆葉青黏散方, 授弟子樊阿, 謂可服食長生. 青粘卽玉竹也.)

위유는 옥죽이며 삼국지 화타전에 칠엽청점산방을 제자 번아에게 전수되어 복용해 오래 살았다. 청점은 옥죽이다.

 

百合

백합

 

味甘, 微苦, 微寒, 入手太陰肺經.

백합은 감미, 약간 고미, 약간 한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涼金瀉熱, 清肺除煩.

백합은 폐금을 차게 하며 열을 사하며 폐를 맑게 하여 심번을 제거한다.

 

金匱百合知母湯, (百合七枚, 知母二兩.)治百合病, 發汗後者.

금궤요략 백합지모탕은 백합 7매 지모 80g은 백합병, 발한후를 치료한다.

 

傷寒之後, 邪氣傳變, 百脈皆病, 是爲百合.

상한병 뒤에 사기가 전변되어 모든 맥이 다 질병이 됨이 백합병이다.

 

其證眠食俱廢, 吐利皆作, 寒熱難分, 坐臥不安, 口苦便赤, 心煩意亂, 不能指其爲何經何藏之病也.

백합병 증상은 잠과 음식을 모두 못하고 토와 하리가 모두 생기고 한기와 열기를 나누기 어렵고 앉거나 누워도 불안하고 입이 쓰고 소변이 적색이며 심번으로 뜻이 혼란해 어떤 경, 어떤 5장의 병인지 지적할 수 없다.

 

然百脈之氣, 受之於肺, 肺者, 百脈之宗也, 是宜清肺.

모든 맥의 기는 폐에서 받으니 폐는 모든 맥의 종주로 폐를 맑게 해야 한다.

 

其在發汗之後者, 津枯而金燔.

발한한 뒤에 진액이 건조하고 금이 화끈거린다.

 

百合清肺而生津, 知母涼金而瀉熱也.

백합은 폐를 맑게 하며 지모는 폐금을 서늘하게 하며 열을 사한다.

 

滑石代赭湯, (百合七枚, 滑石三兩, , 代赭石如雞子大.)治百合病, 下之後者.

활석대자탕은 백합 7, 쪼갠 활석 120g, 계란 크기의 대자석으로 백합병으로 사하한 뒤를 치료한다.

 

下敗中脘之陽, 土濕胃逆, 肺熱鬱蒸.

아래로 중완의 양을 패배시켜 토의 습과 위의 상역이 폐의 열과 울체해 찌개 된다.

 

百合清肺而瀉熱, 滑石, 代赭, 滲濕而降逆也.

백합은 폐를 맑게 하여 열을 사하고 활석, 대자석은 습을 삼설하고 상역을 하강하게 한다.

 

百合雞子湯, (百合七枚, 煎湯, 入雞子黃一枚, 攪勻, .)治百合病, 吐之後者.

백합계자탕은 백합 7매를 달인 탕에 계란 노른자 1매를 넣고 고르게 섞어 달여 백합병 토한 뒤를 치료한다.

 

吐傷肺胃之津, 金土俱燥.

토는 폐와 위의 진액을 손상하니 금과 토가 모두 건조한다.

 

百合清肺熱而生津, 雞子黃補脾精而潤燥也.

백합은 폐열을 청정하게 하며 진을 생성하니 계란 노른자는 비정을 보하고 건조를 윤택하게 한다.

 

百合地黃湯, (百合七枚, 生地黃汁一斤. 入百合湯, 煎服. 大便當如漆.)

백합지황탕은 백합 7, 생지황즙 600g으로 백합탕에 넣어 달여 복용하니 대변이 옻칠과 같다.

 

治百合病, 不經發汗吐下, 病形如初者.

백합지황탕은 백합병을 치료하니 발한, , 사하를 경유하지 않고 병형태가 초기와 같다.

 

不經發汗吐下, 而瘀熱淫蒸, 敗濁未泄.

발한, , 사하를 겪지 않고 어열이 넘치며 부패한 탁기가 아직 발설되지 않는다.

 

百合清肺而瀉熱, 生地黃汁涼瀉腸胃而下垢濁也.

백합은 폐를 맑게 하며 열을 사하며 생지황즙은 차게 위장을 사하며 때와 탁기를 사하한다.

 

百合洗方, (百合一斤. 水一斗, 漬一宿, 洗身. 洗後食煮餅, 勿以鹽.)

백합세방은 백합 600g, 1말을 하룻밤 담가 몸을 씻고 씻은 뒤에 달인 떡을 먹고 소금은 넣지 말라.

 

治百合病, 一月不解, 變成渴者.

백합병이 한달동안 낫지 않아 갈증으로 변성함을 치료한다.

 

火炎金燥, 則肺熱不解, 變而爲渴.

불로 타고 금이 건조하면 폐열이 해소되지 못하고 변해 갈증이 된다.

 

肺主皮毛, 百合洗皮毛, 以清肺熱也.

폐는 피모를 주관해 백합은 피모를 씻으면 폐열을 맑게 한다.

 

百合滑石散, (百合一兩, 滑石二兩. 爲散, 飲服方寸匕, 日三服. 微利, 止服, 熱則除.)

백합활석산은 백합 600g, 활석 80g을 가루내어 사방 1촌의 수저에 하루에 세 번 복용하면서 약간 하리하면 복용을 중지하고 열나면 제거한다.

 

治百合病, 變發熱者.

발열로 변화한 백합병을 치료한다.

 

濕動胃逆, 肺鬱生熱.

습이 발동하면 위가 상역해 폐가 울체하면 열이 생긴다.

 

百合清金而瀉熱, 滑石利水而除濕也.

백합은 금을 맑게 하며 열을 사하며 활석은 수를 이롭게 하며 습을 제거한다.

 

百合涼金潤燥, 瀉熱消鬱, 清肅氣分之上品.

백합은 폐금을 서늘하게 하며 건조를 윤택하게 하며 열을 사하며 울체를 소멸하고 기분을 맑게 시키는 상약품이다.

 

其諸主治, 收涕淚, 止悲傷, 開喉痹, 通肺癰, 清肺熱, 療吐血, 利小便, 滑大腸, 調耳聾耳痛, 理脅癰乳癰, 發背諸瘡.

백합의 여러 주치는 눈물을 거두고 슬픈 상심을 그치게 하며 후비를 열어주고, 폐옹을 통하게 하며 폐열을 맑게 하며 토혈을 치료하며,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대장을 윤택하게 하며 이롱, 이통을 조절하고 옆구리 옹과 유옹을 조리하여 발배의 여러 창을 치료한다.

 

水漬一宿, 白沫出, 去其水, 更以泉水煎湯用.

물로 하룻밤 적시고 백색 침을 토하게 하며 수를 제거해 다시 샘물로 달인 탕을 사용한다.

 

貝母

패모

 

味苦, 微寒, 入手太陰肺經.

패모는 고미, 약간 한기로 수태음폐경에 들어간다.

 

清金瀉熱, 消鬱破凝.

패모는 폐금을 맑게 하며 열을 사하며 울체를 소멸하고 응체를 깨준다.

 

傷寒二白散, (方在桔梗.)金匱當歸貝母苦參丸(方在當歸.)並用之, 以其清金而瀉熱也.

상한론 이백산(처방은 길경에 있다) 금궤요략은 당귀패모고삼환(처방은 당귀에 있다)을 병용하고 폐금을 맑게 하여 열을 사한다.

 

貝母苦寒之性, 瀉熱涼金, 降濁消痰, 其力非小, 然輕清而不敗胃氣, 甚可嘉焉.

패모는 고미, 한성으로 열을 사하고 폐금을 차게 하며 탁기를 하강하고 담을 소멸하는 힘이 작지 않고 가볍고 맑아 위기를 손상하지 않으니 매우 가상하다.

 

其諸主治, 療喉痹, 治乳癰, 消癭瘤, 去努肉, 點翳障, 傅瘡癰, 止吐衄, 驅痰涎, 潤心肺, 解燥渴, 清煩熱, 下乳汁, 除咳嗽, 利水道.

패모 여러 주치는 후비를 치료하고 유옹을 치료하며 영류를 소멸하고 노육을 제거하고 예막, 내장을 점적하고, 창옹에 바르며 토혈과 코피를 멎추게 하며 담연을 몰아내고 심폐를 윤택하게 하며 건조 갈증을 풀어주고, 번열을 맑게 하며 유즙을 내려가게 하며 기침을 제거하고 수도를 잘 나가게 한다.

 

白薇

백미

 

味苦, 微鹹, 微寒, 入手太陰肺, 足太陽膀胱經.

백미는 고미, 약간 함미, 약간 한기, 수태음폐경, 족태양방광경에 들어간다.

 

涼金瀉熱, 清肺除煩.

백미는 금을 맑게 하며 열을 사하며 폐를 말게하며 심번을 제거한다.

 

金匱竹皮大丸(方在竹茹.)用之治乳婦中虛, 煩亂嘔逆.

금궤요략 죽피대환(처방은 죽여에 있다) 수유부가 허약하고 번란으로 구역함을 치료한다.

 

有熱者, 倍白薇, 以其瀉熱而除煩也.

열이 있으면 백미를 배로하고 열을 사하고 심번을 제거한다.

 

白薇苦寒, 長於清金而除煩熱, 利水而通淋澀.

백미는 고미 한기로 금을 맑게 하는데 장기가 있고 번열을 제거하고 수를 잘 나가게 하며 소변임삽을 통하게 한다.

 

其諸主治, 通鼻塞, 止血淋*, 清膀胱熱澀, 斷胎產遺尿.

백미의 여러 주치는 코 막힘을 통하게 하며 혈림을 멎게하며 방광의 열로 깔깔함을 맑게 하며 임신출산의 유뇨를 끊게 해준다.

 

* 血淋 : 淋症의 하나. 소변이 껄끄럽고 아프면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 열이 성해 혈을 쳐서 혈이 상도(常道)를 벗어나 소장(小腸)을 거쳐 포중(脬中)으로 하주(下注)해 소변과 함께 나옴.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