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보험 한약

[처방별 상병명] 24. 삼출건비탕(蔘出健脾湯)

한의사 강세황 2023. 6. 15. 00:53

出典 東醫寶鑑/ 東醫寶鑑』 「雜病篇4 / 醫方集略

1. 구성

1) 원료 한약(g)

: 인삼(人蔘, 3.75g) 백출(白朮, 3.75g) 복령(茯苓, 3.75g) 후박(厚朴, 3.75g) 진피(陳皮, 3.75g) 산사(山楂, 3.75g) 지실(枳實, 3.00g) 작약(芍藥, 3.00g) 사인(砂仁, 1.88g) 신곡(神麯, 1.88g) 맥아(麥芽, 1.88g) 감초(甘草, 1.88g) 생강(生薑, 1.50g) 대조(大棗, 2.00g)

 

2) 건조엑스 함량(g)

: 인삼(人蔘, 0.563g) 백출(白朮, 0.863g) 복령(茯苓, 0.038g) 후박(厚朴, 0.188g) 진피(陳皮, 0.750g) 산사(山楂, 0.814g) 지실(枳實, 0.540g) 작약(芍藥, 0.510g) 사인(砂仁, 0.139g) 신곡(神麯, 0.696g) 맥아(麥芽, 0.291g) 감초(甘草, 0.317g) 생강(生薑, 0.053g) 대조(大棗, 0.728g)

 

2. 적응증 및 상병명

1) 2023 공중보건한의사를 위한 일차 진료 지침

적응증 코드 상병명
설사 K20~K31 식도, 위 및 십이지장의 질환
식욕부진 K30 소화불량
위십이지장궤양 K59.1 기능성설사
장관흡수장애 B18 만성바이러스간염
과민성장증후군 K29.1 기타급성위염
식도운동장애 R14 고창, 복부의 가스팽만, 배부품, 트림, 가스통증
소화불량 K27 상세불명부위의 소화성궤양
  K22.4 식도의 운동장애
     
     

 

2) 한의방제학(각론 )

No 적응증 No 적응증
1 소화기계가 약한 사람의 소화기능의 개선 11 대장염
2 소화불량 12 장관 흡수 장애
3 식욕부진 13 기능적 설사
4 신경성 식욕부진 14 설사를 동반한 과민성 장증후군
5 고창 15 분문 이완불능증
6 복부팽만 16 식도의 수축
7 위십이지장궤양 17 식도의 운동장애
8 소화성 궤양 18 식도의 악성 및 양성 신생물의 대증요법
9 식도염 19 날문연축증
10 위십이지장염 20 만성 바이러스 간염

 

3. 주석

1) 東醫寶鑑Keyword 參朮健脾湯

雜病篇卷之四 > 內傷 > 食傷補益之劑

食傷胃弱, 宜用醒脾育胃湯參朮健脾湯七珍散八珍散健胃保和元養脾丸八味理中丸滋脾丸異功散方見五藏健脾丸參苓壯脾元千金養脾元.

 

參朮健脾湯

健脾養胃, 運化飮食. 人參白朮白茯苓厚朴陳皮山査肉 各一錢, 枳實白芍藥 各八分, 神麴麥芽縮砂甘草 各五分. 右剉, 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 集略

 

2) 『醫方集略』 【Keyword】 蔘出健脾湯

-

 2023.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