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46_V. 止汗類] 2. 산수유(山茱萸) + 모려(牡蠣)

한의사 강세황 2024. 9. 7. 23:25

2. 산수유(山茱萸) + 모려(牡蠣)

(좌) 산수유 (우) 모려

1) 單味功用

山茱萸又叫山萸肉. 味甘, , 性温. 入肝, 腎經. 本品温而不燥, 旣能補肝腎之陰, 又能温補腎陽, 是一味平補陰陽的要藥. 用于治療肝腎不足所引起的頭昏目眩, 耳鳴不聰, 腰膝酸軟, 小便頻數, 陽萎等症, 又能收斂固脫, 澀精止遺, 止汗止血, 用于治療陽氣虛衰所引起的遺精, 遺尿, 虛汗不止, 以及月經過多, 崩漏等症.

牡蠣味鹹, , 性微寒. 入肝, 腎經. 本品爲貝殼之屬, 質體重墜, 旣能平肝潛陽, 用于治療陰虛陽亢所引起的煩躁不安, 心神不寧, 心悸怔忡, 失眠, 頭暈目眩, 耳鳴等症, 又能軟堅散結, 用于治療痰火鬱結所致的瘰癧, 痰核, 癭瘤等症, 以及氣血不活所致的肝脾腫大等症. 本品煅後入藥, 功擅收斂固脫, 澀精止帶, 制酸止痛, 用于治療自汗, 盜汗, 遺精, 白帶, 胃酸過多, 胃潰瘍諸症.

 

2) 伍用功能

山茱萸補益肝腎, 斂汗固脫, 固精縮尿, 牡蠣重鎭安神, 平肝潛陽, 收斂固澀, 軟堅散結, 制酸止痛. 山茱萸酸澀收斂, 微温而不熱, 以澀精氣, 止脫汗爲主; 牡蠣味鹹能軟堅, 氣寒能除熱, 質重能潛陽, 性澀能收斂. 二藥伍用, 相互促進, 斂陰止汗, 救亡固脫的力量增强.

산수유는 補益肝腎, 斂汗固脫, 固精縮尿하여 보통 肝腎兩虛로 인한 腰疼膝軟, 遺精滑泄, 眩暈耳鳴 등의 증상에 이용된다. 모려는 重鎭安神, 平肝潛陽, 收斂固澁, 軟堅散結, 制酸止痛하여 神志不安, 心悸, 失眠, 頭暈目眩, 遺精, 胃痛泛酸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그러나 胃氣를 쉽게 하게 하는 부작용으로 食慾不振, 消化不良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니 長服하는 것은 마땅하지 않다. 산수유는 酸澁收斂, 微溫而不熱하여 澁精氣, 止脫汗위주이고, 모려는 味鹹能軟堅, 氣寒除熱, 質重潛陽하고, 性澁하여 능히 收斂한다. 合用하면 相互促進 작용으로 斂陰止汗, 救亡固脫의 역량이 증강된다.

 

3) 主治

(1) 自汗, 盜汗諸症;

自汗, 盜汗諸症

 

(2) 男子遺精, 滑精, 女子帶下諸症.

男子遺精, 滑精女子帶下諸症

 

糖尿病尿糖不降者

 

4) 商用量

山茱萸 10~15.

牡蠣 10~25. 打碎先煎.

산수유 10~15g, 모려 10~25g 打碎先煎

 

5) 經驗

山茱萸, 牡蠣伍用, 出自張錫純醫學衷中參西錄來复湯. 功在斂陰止汗, 救亡固脫. 治寒温外感諸症, 久病瘥後不能自复, 寒熱往來, 虛寒淋漓; 或但熱不寒, 汗出而熱解, 須臾又熱又汗, 目睛上墜, 勢危欲脫; 或喘逆, 或怔忡, 或氣虛不足以息, 諸症若見一端, 即宜急服.“ 觀其全方, 以萸肉爲主, 盖萸肉旣能斂汗, 又善補肝, 肝虛之極, 元氣將脫者, 服之最效, 若伍牡蠣, 其效更著.

黃芪, 山茱萸均可固脫, 但适應範圍有异, 黃芪固脫是從氣分入手, 山茱萸固脫是從陰分入手, 相互爲用, 固脫力增强, 其效更著.

산수유와 모려의 配伍張錫純<醫學衷中參西錄> 來復湯에서 나왔다. 斂陰止汗, 球亡固脫功效寒溫外感諸症, 久病瘥後不能自復, 寒熱往來, 虛汗淋漓, 혹은 單熱不寒, 汗出而熱解, 又熱又寒, 目睛上竄, 勢危欲脫, 혹은 喘逆, 혹은 怔忡, 혹은 氣虛不足以息 등의 증상을 하는데, 이중에서 하나만 포함되어도 급히 복용한다. 살펴보면 산수유가 爲主이다. 무릇 산수유는 斂汗, 補肝하여 肝虛가 심하고 元氣欲脫한데 복용하면 효과가 제일 좋다. 모려를 配伍하면 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황기와 산수유는 다같이 固脫하나 應用範圍가 다르다. 황기의 固脫氣分에 작용하고, 산수유의 固脫陰分에 작용하여서, 相互應用하면 固脫의 능력이 增强되어 효과가 확실해진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