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소애 선생 처방노트

[新訂对訳 大方藥合編(全)_藥性歌] 4. 香木(201~210)

한의사 강세황 2023. 7. 18. 09:08

201. 吳茱辛𤍠疝可安 通治酸水臍腹寒

性熱 味辛苦하다. 温中 下氣하고 止痛하며 心腹積冷痛霍亂吐瀉를 다스리고 을 없애고 癥癖을 부수며 少陰頭痛을 다스린다.

 

有小毒入足太陰血分少陰厥陰氣分湯浸去苦烈汁七次始可焙用惡丹蔘消石畏紫石英陳者良 (本草)

小毒이 있다. 足太陰血分少陰厥陰氣分으로 들어간다. 湯浸하여 苦烈汁을 버리기를 七次 한다음에 해 쓴다. (이렇게하면 藥効가 없어질 것이니 생각해볼 문제다) 丹蔘消石하고 紫石英한다. 묵은 것이 좋다.(本草) 一日量 二~g

 

202. 檳榔辛溫痰水壅 破氣殺蟲除後重

性温 味辛하다. 一切하고 一切를 내리며 痰水가 막힌 것과 氣滯가 된 것을 풀며 寸白蟲驅除하고 裏急後重을 다스린다.

 

勿令經火近世亦有煨焙用者向陽者檳榔向陰者大腹子(本草)陰蝨煎洗即除 (備要)

불을 경과하지 말라고 했는데 近世煨焙用하는 사람이 있다. 한 것이 檳榔이오 한 것이 大腹子이다. (本草) 陰蝨에 이것을 다려 씻으면 即効하다.(備要) 一日量 一~一五g

 

203. 腹皮微溫下膈氣 健脾消腫且安胃

性微温하다. 一切를 내리고 霍亂을 그치며 大小腸하고 痰膈을 다스리며 健脾 消腫하고 를 편하게한다.

 

有鴆毒酒洗後大豆汁洗

鴆毒(짐독)中毒되었을 때 먼저 大腹皮酒洗하고 난후에 黑豆汁에 씻어서 쓴다. 一日量 一~一四g

 

204. 枳椇甘平解酒擅 止渴去煩通二便

性平 味甘하다. 酒毒을 풀고 渴症煩症을 없애며 大小便通利한다.

一日量 六~一二g

 

205. 批杷葉苦偏理肺 觧酒淸上兼吐穢

性平寒 味苦하다. 를 맑게하여 기침을 고치고 를 고롭게하여 嘔吐을 고치며 酒毒을 푼다.

 

平寒火炙以布拭去毛治肺胃病(本草)

火炙하여 헝겊으로 를 닦아 내고 쓴다. 胃病을 고친다.(本草) 一日量 一~g

 

206. 烏藥辛溫心腹脹 小便滑數順氣暢

性温 味辛하다. 一切를 다스리고 一切하며 中惡心腹痛鬼氣를 다스리고 小便滑數霍亂反胃 吐食瀉痢를 다스린다.

 

入足陽明少陰(本草)

足陽明少陰으로 들어간다.(本草) 一日量 四~g

 

207. 乳香辛苦止痛奇 心腹即安瘡生肌

性熱 味辛 微毒하다. 風水毒腫惡氣心腹痛을 다스리고 편하게하며 모든 生肌하고 止痛한다.

 

一名薰陸香辛熱微毒善竄入手少陰微炒不粘或燈心或糯米數粒同硏易細 (本草)

一名, 薰陸香(훈륙향)手少陰으로 잘 들어간다. 微炒하여 달라붙지 않게 해쓰거나 燈心 혹은 糯米 몇알과 함께 짓찧어 硏細해 쓴다.(本草) 一日量三~g

 

208. 沒藥溫平能破血 撲損瘡傷痛可絕

性温 味苦하다. 癥結宿血을 부수고 打撲傷筋骨折傷金瘡杖瘡과 모든 惡瘡을 다스리고 止痛한다.

一日內服量 三~g

 

209. 血竭味醎跌撲傷 破血功及惡毒瘡

性平 味醎하다. 跌撲傷一切惡瘡 疥癬을 다스리고 破血하며 金瘡出血을 멎게하나 많이 쓰면 도리어 이 생긴다.

 

一名騏驎竭入手足厥陰血分得密陀僧良(本草)

手足厥陰血分으로 들어간다. 密陀僧을 얻으면 좋다.(本草) 一日量 內服 二~g

 

210. 安息香辛辟邪惡 逐鬼消蠱鬼胎落

性平 味辛苦하다. 心腹 惡氣鬼疥邪氣鬼胎蠱毒瘟疫産後血暈을 다스린다.

 

북나무진黑黃色燒熏鬼懼神散(本草)

黑黃色이며 불에 태우면 鬼懼(귀구)를 물리친다.(本草)

 

 2023.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