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생지황(生地黃) + 음양곽(淫羊藿)
2) 伍用功能
지황은 味厚氣薄하여 滋陰淸熱, 養血潤燥, 凉血止血, 生津止渴, 음양곽은 辛香甘溫하여 補腎助陽, 强壯健身, 祛濕散寒, 舒筋通絡한다. 지황은 補陰위주이고 음양곽은 補陽위주이다. 配用하면 一陰一陽, 陰陽俱補로 機體免疫效能을 높이고 抗病능력을 증강시킨다.
3) 主治
당뇨병 – 인슐린 치료의 不適合으로 생기는 陰陽俱虛症
頑痺(류마티스성관절염)에 호르몬제를 과다복용 또는 장복하여 생기는 免疫性低下, 機體抵抗力低下 등 陰陽失調로 效能이 紊亂해지거나 腎督虧虛하는 증상.
4) 商用量
생지황 10~60g, 음양곽 10~30g
5) 經驗
생지황과 음양곽의 配俉는 陰陽俱虛한 症에 많이 이용되는데, 臨床증상에 따라 用藥分量을 조절하여야 한다. 偏陰虛者는 생지를 30~60g 음양곽을 10g, 偏陽虛者는 선령비를 15~30g 생지를 15g으로 하고, 陰陽俱虛 할 때는 각각 반씩 사용한다.
이 밖에도 당뇨병의 치료에 常用되는 對藥으로 지모와 석고, 천문동과 맥문동의 쓰임이 있으니 앞의 章을 다시 살펴보길 바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10_X. 醒脾開胃類] 2. 계내금(雞內金) + 맥아(혹 곡아)(麥芽 或 穀芽) (0) | 2024.11.10 |
---|---|
[新編 臨床藥對論_109_X. 醒脾開胃類] 1. 계내금(雞內金) + 단삼(丹參) (0) | 2024.11.09 |
[新編 臨床藥對論_107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7. 지모(知母) + 석고(石膏) (0) | 2024.11.07 |
[新編 臨床藥對論_106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6. 지모(知母) + 황백(黃柏) + 육계(肉桂) (0) | 2024.11.06 |
[新編 臨床藥對論_105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5. 현삼(玄蔘) + 맥동(麥冬)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