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지모(知母) + 황백(黃柏) + 육계(肉桂)
1) 單味功用
知母(略).
黃柏(略).
肉桂味辛, 甘, 性大熱. 入腎, 脾, 心, 肝經. 本品氣味純陽, 辛甘大熱, 善走肝腎血分, 大補命門之火, 旣能溫補脾腎陽氣, 益火消陰, 用于治療腎陽不足, 畏寒肢冷, 尿頻遺尿, 陽萎, 以及脾陽不振, 脘腹冷痛, 食少便溏等症, 又能温通血脈而散寒止痛, 用于治療脘腹冷痛, 寒痺腰痛, 虛寒痛經諸症, 還可用于濕疹, 陰疽諸症.
2) 伍用功能
知母苦寒, 淸熱瀉火, 滋腎潤燥; 黃柏苦寒, 淸熱燥濕, 瀉火解毒. 肉桂辛熱溫中補陽, 散寒止痛. 知母潤肺滋腎而降火; 黃柏瀉虛火而堅腎陰. 相須爲用, 淸化膀胱濕熱, 爲滋腎瀉火之良劑. 更有肉桂辛熱之品作爲中介藥物, 以引寒達熱, 滋陰降火, 淸化下焦濕熱蘊結力彰.
지모는 苦寒하여 淸熱瀉火, 滋腎潤燥, 황백도 苦寒하여 淸熱燥濕, 瀉火解毒, 육계는 辛熱하여 溫中補陽, 散寒止痛한다. 지모는 潤肺滋腎, 降火, 황백은 瀉虛火, 堅腎陰하여 서로 도와 淸火膀胱濕熱, 滋腎瀉火의 良劑가 된다. 육계는 辛烈之品인데 藥物을 仲介하는 역할로 引寒達熱하여 滋陰降火, 淸化下焦濕熱蘊結을 강하게 한다.
3) 主治
糖尿病. 表現爲“腎消”, 也叫“下消”者, 症見多尿, 小便混濁, 如膏如脂等症.
당뇨병 - 腎消, 下消症 多尿, 小便混濁, 如膏如脂 등
당뇨병 下半身瘙痒症
4) 商用量
知母 6~10克.
黃柏 6~10克.
肉桂 1~1.5克.
지모 6~10g, 황백 6~10g, 육계 1~1.5g
5) 經驗
知母, 黃柏, 肉桂伍用, 出自《蘭室秘藏》通關丸, 又名滋腎丸. 用于治療熱蘊膀胱, 尿閉不通, 小腹脹滿, 尿道澀痛. 汪昻云: “此足少陰藥也, 水不勝火, 法當壯水以制陽光, 黃柏苦寒微辛, 瀉膀胱相火, 補腎水不足, 入腎經血分. 知母辛苦寒滑, 上淸肺金而降火, 下潤腎燥而滋陰, 入腎經氣分, 故二藥每相須而行, 爲補水之良劑. 肉桂辛熱, 假之反佐, 爲少陰引經, 寒因熱用也.”
我们體会, 諸藥參合, 治糖尿病表現爲“下消”者确有實效. 肉桂在藥對中, 起有“中介”作用, 亦稱溝通作用, 可謂用藥配伍之技巧也.
上記藥物들의 配俉는 <蘭室秘藏>의 通關丸에서 나왔다. 滋腎丸이라고도 한다. 熱蘊膀胱, 尿閉不通, 小腹脹滿, 尿道澁痛을 治한다. 汪昻이 이르기를 “이것은 足少陰藥이다. 水가 火를 이기지 못하므로 壯水로써 陽光을 制하는 것이니, 황백은 苦寒微辛으로 膀胱相火를 瀉하고 腎水不足을 補하는 작용을 하며 腎經의 血分에 入한다. 지모는 辛苦寒滑하여 위로는 淸肺金而降火, 아래로는 潤腎燥而滋陰하고 腎經의 氣分에 入한다. 故로 두 약은 相須하여 補水하는 良劑이다. 육계는 辛熱하여 反佐藥의 의미 같지만, 실은 少陰引經 작용이 主가 되며, 寒因熱用에 屬한다.”고 하였다.
저자의 경험으로는 당뇨병 下消症에 확실히 效果가 있다. 육계는 藥物中에서 “中介”작용을 하며 이를 汮通作用이라 稱하니 用藥配俉의 妙한 技術이라 하겠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08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8? 생지황(生地黃) + 음양곽(淫羊藿) (0) | 2024.11.08 |
---|---|
[新編 臨床藥對論_107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7. 지모(知母) + 석고(石膏) (0) | 2024.11.07 |
[新編 臨床藥對論_105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5. 현삼(玄蔘) + 맥동(麥冬) (0) | 2024.11.05 |
[新編 臨床藥對論_104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4. 갈근(葛根) + 단삼(丹參) (0) | 2024.11.04 |
[新編 臨床藥對論_103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3. 녹두의(綠豆衣) + 의이인(薏苡仁) (0)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