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목향(木香) + 황련(黃連)
1) 單味功用
木香味苦, 性溫. 入脾, 胃, 大腸, 膽經. 本品氣味芳香, 能升降諸氣, 善于泄肺氣, 疏肝氣, 和脾氣, 故爲宣通上下, 暢利三焦氣滯的要藥. 明·李時珍說: “諸氣膹鬱, 皆屬于肺. 上焦氣滯用之者, 金鬱泄之者也; 中氣不運, 皆屬于脾. 中焦氣滯用之者, 脾胃喜芳香也; 大腸氣滯則後重, 膀胱氣不化則癃閉, 肝氣鬱則爲痛, 下焦氣滯用之者, 寒者通之也.” 由此可見, 木香是一味行氣止痛, 行氣整腸, 醒脾開胃的常用藥. 用于治療腸胃氣滯, 消化不良, 腹滿脹痛, 腸鳴泄瀉, 下痢腹痛, 裏急後重等症, 又能治療肝膽濕熱氣滯所引起的脘脇疼痛, 口乾口苦, 惡心嘔吐, 甚則出現黃疸等症. 另外, 于滋補劑中加之少許, 可以防止滋補膩滯之性所引起的胸悶, 食欲減退的付作用.
黃連(略).
2) 伍用功能
木香辛溫芳香, 健胃消食, 行氣消脹, 行氣止痛; 黃連苦寒, 氣薄味厚, 淸熱燥濕, 瀉火解毒, 厚腸止瀉. 二藥伍用, 一溫散, 一寒折, 調升降, 理寒熱, 共奏調氣行滯, 厚腸止瀉, 止痢之效.
목향은 辛溫芳香하니 健胃消食, 行氣消脹, 行氣止痛 효능을 가진다. 腸胃滯氣를 없애어 裏急後重을 제거한다. 황련은 苦寒하고 氣薄味厚하여 淸熱燥濕, 瀉火解毒, 凉血解毒, 厚腸止瀉, 止大便膿血한다. 두 약을 配用하면 一溫散, 一寒折이니 調昇降, 理寒熱하여 調氣行滯, 厚腸止瀉, 止痢하는 功效가 있다. 이 방법은 寒溫兼施에 속하며 腸胃濕熱積滯로 인한 痢疾에 효과적이다. 痢疾 初期에는 “通”해야 하며 久痢에는 “澁”해야 한다. 이 방법은 痢疾의 中期에 마땅하다.
3) 主治
下利腹痛, 裏急後重, 痢下赤白等症.
下利腹痛, 裏急後重, 痢下赤白 등의 증상
4) 商用量
木香 6~10克. 後下煎服.
黃連 3~10克.
목향 6~10g, 황련 3~10g
5) 經驗
木香, 黃連伍用, 名曰香連丸. 出自《太平惠民和劑局方》. 用于治療濕熱痢疾, 膿血相兼, 裏急後重等症.
木香, 黃連參合, 治療痢疾最爲常用. 古云以黃連厚腸止痢, 實屬現代醫學抑制痢疾杆菌. 用木香調氣行滯, 消除裏急後重之苦, 此即金代醫家劑河間所說: “行血則便膿自愈, 調氣則後重則除.”之意. 二藥參合, 相互爲用, 故治痢甚效. 若伍以馬齒莧, 血餘炭, 益元散,其效更著.
목향과 황련의 配俉는 <太平惠民和劑局方> 香連丸이다. 濕熱痢疾, 膿血相兼, 裏急後重 등의 증상에 이용한다.
목향과 황련은 痢疾치료에 제일 많이 應用한다. 황련은 현대의학에서도 痢疾菌을 억제하는 작용이 밝혀졌다. 목향은 調氣行滯하므로 裏急後重을 없앤다. 金代 劉河間이 이르기를 “行血하면 便膿이 自癒하고, 調氣하면 後重이 없어진다.”고 하였다. 두 약이 합치면 相互協助하여 痢疾을 치료하는 효과가 크다. 마치현, 혈여탄, 益元散을 합하면 效果가 더욱 좋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44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5. 화초(花椒) + 창출(蒼朮) (0) | 2024.12.14 |
---|---|
[新編 臨床藥對論_143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4. 좌금환(左金丸) + 잠사(蠶砂) (0) | 2024.12.13 |
[新編 臨床藥對論_140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1. 검실(芡實) + 연자(蓮子) (0) | 2024.12.10 |
[新編 臨床藥對論_139_XII. 瀉下通便類] 9. 반하(半夏) + 유황(硫磺) (0) | 2024.12.09 |
[新編 臨床藥對論_138_XII. 瀉下通便類] 8. 화마인(火麻仁) + 욱리인(郁李仁) (0) | 2024.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