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검실(芡實) + 연자(蓮子)
1) 單味功用
芡實味甘, 澀, 性平. 入脾, 腎經. 本品以甘補脾, 以澀收斂, 故爲收斂性强壯藥. 它旣能健脾除濕, 收斂止瀉, 用于治療脾虛不運, 久瀉不止, 以及小兒脾虛泄瀉之證, 又能固腎澀精, 用于治療腎氣不足, 精關不固所引起的遺精, 早泄, 以及腎虛所致夜尿多, 小便頻數等症, 還能收斂固澀, 除濕止帶, 用于治療濕熱帶下, 脾虛帶下之證.
蓮子古名藕實. 味甘, 澀, 性平. 入脾, 腎, 心經. 本品稟芬芳之氣, 合禾穀之味, 爲補脾之要藥. 它旣能補脾澀腸止瀉, 用于治療脾虛泄瀉, 食欲不振等症, 又能交通水火而媾通心腎, 以養心安神, 益腎固精, 用于治療心腎不交, 心悸心煩, 頭昏失眠, 以及腎虛下元不固所引起的遺精, 尿頻, 崩漏, 帶下.
2) 伍用功能
芡實甘平, 健脾止瀉, 固腎益精, 祛濕止帶; 蓮子甘澀, 健脾止瀉, 益腎固精, 養心安神. 二藥伍用, 相互促進, 其功益彰, 健脾止瀉, 補腎固精, 澀精止帶之功增强.
검실은 甘平하여 健脾止瀉, 固腎益精, 祛濕止帶한다. 補腎澁精에 치우치며 水中에서 성장하는 약초로 淡滲甘香하여 助濕하지 않으며, 質粘味澁, 體滑滋潤하여 燥症을 초래하지 않는다.
연자는 甘澁하여 健脾止瀉, 益腎固精, 養心安神한다. 養心健脾에 偏重된다. 두 약은 모두 甘平固澁하는 약물로 配用하면 상호촉진하여 健脾止瀉, 補腎固精, 澁精止帶의 功效가 증강된다. 脾腎兩虛로 인한 久瀉, 白帶過多 혹은 腎虛不固로 인한 遺精症에 많이 활용된다.
3) 主治
(1) 脾虛泄瀉, 久久不愈者;
脾虛泄瀉, 久久不愈
(2) 脾虛濕盛, 白帶綿綿等症;
脾虛濕盛으로 인한 白帶綿綿 등의 증상
(3) 腎虛精關不固, 夢遺, 滑精等症;
腎虛로 인한 精關不固, 夢遺, 滑精 등의 증상
(4) 腎虛小便頻數, 小便失禁等症.
腎虛로 인한 小便頻數, 小便失禁 등의 증상
4) 商用量
芡實 10~15克.
蓮子 6~12克.
검실 10~15g, 연자 6~12g
5) 經驗
施老臨證處方, 習慣以芡實米, 建蓮肉雙藥幷書. 常用于治療慢性腹瀉, 久久不愈者, 若與赤石脂, 禹餘粮, 雲茯苓, 焦白朮伍用, 其效更著. 若腸粘膜有損傷者, 亦可與血餘炭, 炒韭菜子伍用, 以加速炎症的吸收, 毒素的解除, 損傷的愈合.
施今墨선생은 臨床시 습관적으로 검실, 建연육을 같이 이용하여 慢性腹瀉, 久久不愈 증상에 이용하였다. 적석지, 우여량, 복령, 초백출을 같이 쓰면 효과가 더욱 좋다. 腸粘膜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혈여탄, 炒韭菜子와 같이 쓰면 炎症의 흡수를 재촉하고, 毒素를 解除하여 손상부위를 癒合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43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4. 좌금환(左金丸) + 잠사(蠶砂) (0) | 2024.12.13 |
---|---|
[新編 臨床藥對論_142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3. 목향(木香) + 황련(黃連) (0) | 2024.12.12 |
[新編 臨床藥對論_139_XII. 瀉下通便類] 9. 반하(半夏) + 유황(硫磺) (0) | 2024.12.09 |
[新編 臨床藥對論_138_XII. 瀉下通便類] 8. 화마인(火麻仁) + 욱리인(郁李仁) (0) | 2024.12.08 |
[新編 臨床藥對論_137_XII. 瀉下通便類] 7. 귤홍(橘紅) + 행인(杏仁)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