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162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9. 선복화(旋覆花) + 대자석(代赭石)

한의사 강세황 2025. 1. 1. 18:01

9. 선복화(旋覆花) + 대자석(代赭石)

대자석

1) 單味功用

旋覆花().

代赭石味苦, 性寒. 入肝, 心經. 本品苦寒體重, 以苦淸熱, 以寒瀉火, 以重鎭降. 善走肝, 心血分. 它旣能鎭胃降氣而止嘔止噫, 用于治療胃氣虛弱, 氣機失調, 胃氣上逆, 以致嘔吐, 呃逆, 噫氣, 胃脘滿實, 以及噎膈, 嚥食時覺有梗阻而不下者(類似賁門痙攣等), 又能平肝熄風, 鎭肝降壓, 用于治療肝陽上亢引起的頭暈目眩, 頭痛腦脹, 耳鳴等症, 以及上述諸症的高血壓病而又兼見心悸, 脚步虛浮, 手足震顫, 煩躁失眠, 大便不暢者, 還能凉血止血, 降氣止血, 用于治療血分有熱, 傷其陽絡, 以致衄血, 吐血, 尿血, 大便下血, 崩漏, 帶下諸症. 另外, 還能降氣平喘, 用于治療實證氣喘.

 

2) 伍用功能

旋覆花消痰平喘, 降氣止嘔, 宣肺利水; 代赭石平肝瀉熱, 鎭逆降氣, 凉血止血. 旋覆花以宣爲主, 代赭石以降爲要. 二藥伍用, 宣降合法, 共奏鎭逆降壓, 鎭靜止痛, 下氣平喘, 化痰消痞之功.

선복화는 消痰平喘, 降氣止嘔, 宣肺利水하며 噯氣症한다. 대자석은 性寒質重하여 平肝瀉熱, 鎭逆降氣, 凉血止血한다. 선복화는 위주이고, 대자석은 위주이다. 配用하면 一宣一降, 宣降合法으로 鎭逆降壓, 鎭靜止痛, 下氣平喘, 化痰消痞, 降逆止嘔 작용이 좋아진다. 肝熱便結 정황에 따라 대자석의 용량을 조절하는데 便溏할 경우에는 대자석을 사용하지 않는다.

神經性嘔吐高血壓에도 이 용법이 효과가 있다.

 

3) 主治

(1) 痰濁內阻, 氣機升降失常, 以致心下痞硬, 噯氣頻頻, 呃逆不止, 惡心嘔吐等症;

痰濁內阻, 氣機失降失常으로 인한 心下痞硬, 噯氣頻頻, 嘔吐不止, 惡心嘔吐 등의 증상

 

(2) 咳嗽痰喘, 吐血, 衄血諸症;

咳嗽痰喘, 吐血, 衄血 諸症

 

(3) 高血壓病.

高血壓病

 

4) 商用量

旋覆花 4.5~6. 布包煎服.

代赭石 10~15. 打碎煎服.

선복화 4.5~6g, 대자석 10~15g

 

5) 經驗

旋覆花, 代赭石伍用, 出自傷寒論旋覆花代赭石湯. 治傷寒發汗, 若土, 若下後, 心下痞鞕, 噯氣不除者.

元代醫學家羅謙甫曰: “, , 下解後, 邪雖去而胃氣已虧矣/ 胃氣旣虧, 三焦因之失職, 淸無所歸而不升, 濁無所納而不降, 是以邪氣留滯, 伏飮爲逆, 故心下痞鞕, 噯氣不除.” 又說: “以代赭石之重, 使之斂浮鎭逆, 旋覆花之辛, 用以宣氣滌飮.” 此即 濁降痞鞕可消, 淸升噯氣可除是也.

古人謂: “氣下則痰喘止”. 故可用于治療咳嗽痰喘, 也可治療肺心病之咳喘.

据氣爲血之帥, 氣升血亦升, 氣降血亦降之理, 旋覆花, 代赭石伍用, 可用于治療氣血幷走于上, 以致面紅耳赤, 頭暈目眩(類似高血壓症), 以及吐血, 衄血諸症.

선복화와 대자석의 配俉<傷寒論> 旋覆花代赭石湯에서 나왔다. 傷寒發汗, 若吐, 若下後, 心下痞鞕, 噯氣不除者한다.

元代醫家 羅謙甫가 이르기를 , , 下 解後邪氣하였다고 하나 胃氣가 이미 해져서 三焦가 기능을 잃어버려, 淸濁升降이 이루어지지 않아 邪氣留滯되고 伏飮이 되어 心下痞鞕, 噯氣不除한다.”고 하였다. 또 말하기를 대자석은 무거워서 斂浮鎭逆하고 선복화는 하여 宣氣滌飮한다.” 이것은 곧 濁降하여 痞鞕하고 淸升하여 噯氣한다는 것이다. 古人이 이르기를 氣下則痰喘止라 하였으니 咳嗽痰喘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역시 肺心病으로 인한 咳喘도 치료할 수 있다.

라하고 하여야 또한 하고, 氣降하여야 역시 한다. 선복화 대자석을 配用하면 氣血이 함께 走上하여 하는 面紅耳赤, 頭暈目眩(高血壓病類), 吐血, 衄血諸症을 치료한다.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