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귤피(橘皮) + 지실(枳實)
1) 單味功用
橘皮(略).
枳實(略).
2) 伍用功能
橘皮味辛善散, 故能開氣, 味苦善泄, 故能行痰, 其氣溫平, 善于通達, 故能理氣, 調中, 燥濕, 化痰; 枳實辛散苦降, 破氣消積, 瀉痰消積. 橘皮升多降少, 以升爲主; 枳實降多升少, 以降爲要. 二藥合用, 一升一降, 直通上下, 相互促進, 相互爲用, 行氣和中, 消脹止痛之力增强.
귤피는 味辛善散하여 能開氣하고, 味苦善泄하여 能行痰, 氣溫平, 善通達 작용으로 能理氣, 調中, 燥濕, 化痰한다. 지실은 辛散苦降하여 破氣消積, 瀉痰消積한다. 진피는 升多降少하여 升이 爲主, 지실은 降多升少하여 降이 爲主이다. 合하면 一升一降, 直通上下하여 相互促進작용으로 行氣和中, 消脹止痛力이 强해진다.
3) 主治
(1) 脾胃不健, 消化不良, 氣機失調, 脘腹脹滿, 疼痛等症;
脾胃不健으로 인한 消化不良, 氣機失調, 脘腹脹滿, 疼痛 등의 증상
(2) 急性胃炎, 慢性胃炎, 胃, 十二指腸球部潰瘍, 凡表現有上述症狀者均宜使用;
急慢性胃炎, 胃十二指腸潰瘍에서 上記症狀이 발생하는 者
(3) 急性腸炎, 慢性腸炎, 痢疾, 潰瘍性結腸炎.
急慢性腸炎, 痢疾, 潰瘍性結腸炎
4) 商用量
橘皮 6~10克.
枳實 6~10克.
귤피 6~10g, 지실 6~10g
5) 經驗
橘皮, 枳實伍用, 施老習慣以炒炭入藥, 主要适用于胃腸系統的急性炎症, 慢性炎症, 以及胃腸粘膜有損害之病變. 二藥炒炭入藥的機理有二, 一則去其揮發油, 減少對胃腸刺激的副作用; 二則尙有解毒作用, 其炭末還可吸附于胃腸道之粘膜, 从而起到保護粘膜, 以利于炎症的吸收, 以及損傷的迅速愈合.
지실과 진피의 配用시 施今墨선생은 항상 炒炭하여 사용하였는데, 주로 위장계통의 急慢性炎症, 胃腸粘膜損傷 病變에 이용하였다. 炒炭한 약을 사용하면 이로운 점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去油가 되어서 胃腸粘膜刺戟의 부작용이 감소되고 또 하나는 해독작용이 있어서, 胃腸道粘膜에 부착되어 粘膜을 보호하고 炎症을 흡수하여 治癒를 빠르게 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62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9. 선복화(旋覆花) + 대자석(代赭石) (0) | 2025.01.01 |
---|---|
[新編 臨床藥對論_161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8. 귤피(橘皮) + 침향(沈香) (0) | 2024.12.31 |
[新編 臨床藥對論_159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6. 해백(薤白) + 과루(瓜蔞) (0) | 2024.12.29 |
[新編 臨床藥對論_158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5. 청귤엽(靑橘葉) + 울금(鬱金) (0) | 2024.12.28 |
[新編 臨床藥對論_157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4. 향부(香附) + 자소경(紫蘇梗)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