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단피(丹皮) + 단삼(丹參)
1) 單味功用
丹皮又名牡丹皮. 味辛, 苦, 性微寒. 入心, 肝, 腎經. 本品性寒苦泄, 其氣清芬, 其色赤, 專入血分, 旣可凉血, 又可活血, 使血凉而不瘀, 血活而不妄行, 它旣能瀉血中伏火, 又能散熱壅血瘀, 用于治療肝鬱火旺所引起的發熱(下午較甚), 盜汗, 或自汗, 頭痛目澀, 頰赤口乾, 月經不調, 以及陰虛發熱, 或陰分伏熱, 夜熱早凉等症, 又治熱入營血, 以致吐, 衄, 下血, 斑疹熱毒等症, 也治經閉, 痛經, 月經不調, 腹中瘀塊, 跌打損傷, 以及熱癤瘡瘍, 風熱痒疹, 腸癰諸症. 另外, 還治高血壓, 動脈硬化, 症屬肝鬱積熱者, 包括眼底動脈硬化, 血管痙攣, 眼底出血等.
丹參(略).
2) 伍用功能
丹參活血化瘀, 祛瘀生新, 消腫止痛, 養血安神; 丹皮淸熱凉血, 活血散瘀, 淸肝降壓. 丹皮長于凉血散瘀, 淸透陰分伏火; 丹參善于活血化瘀, 祛瘀生新. 二藥伍用, 凉血活血, 祛瘀生新, 淸透邪熱之力增强.
단삼은 活血化瘀, 祛瘀生新, 消腫止痛, 養血安神의 효능을 가진다. 活血祛瘀 능력이 강하고, 養血하는 힘이 약하다. 性凉하므로 凉血, 消腫, 安神 작용이 있다. 목단피는 淸熱凉血, 活血散瘀, 淸肝降壓한다. 또한 安絡穴, 淸透陰分伏邪 효능도 있다.
비교하면 목단피는 凉血散瘀, 淸透陰分伏火에 뛰어나고, 단삼은 活血化瘀, 祛瘀生新 효능이 좋다. 配用하면 凉血活血, 祛瘀生新, 淸透邪熱의 功이 증강된다. 陰虛로 인한 血熱, 血瘀症 이외에도 子宮外姙娠瘀血症, 產後惡露不盡, 痛經 諸症에 이용한다.
3) 主治
(1) 風熱入于血分, 發爲斑疹熱毒, 吐血, 衄血, 下血, 風疹, 痒疹, 以及皮下出血等症;
風熱入于血分으로 因한 斑疹熱毒, 吐血, 衄血, 下血, 風疹, 痒疹과 그로 인한 皮下出血症
(2) 熱毒瘀滯, 月經不調, 經閉痛經, 腹中包塊, 產後瘀滯, 少腹疼痛等症;
血熱瘀滯로 인한 月經不調, 經閉痛經, 腹中包塊, 產後瘀滯, 少腹疼痛 등의 증상
(3) 陰虛發熱, 低熱不退者;
陰虛로 인한 發熱, 低熱不退者
(4) 熱痺, 關節紅腫熱痛者.
熱痺, 關節紅腫熱痛者
4) 商用量
丹皮 6~10克.
丹參 10~15克.
목단피 6~10g, 단삼 10~15g
5) 經驗
丹皮, 丹參伍用, 治療範圍很广, 治血證(吐血, 衄血, 下血)多與生艾葉, 生荷葉, 生柏葉, 生地黃伍用. 治瘀血諸疾, 多與生蒲黃, 五靈脂參合. 治陰虛發熱, 低燒不退, 久久不愈者, 可與靑蒿, 鼈甲, 白茅根配伍. 治熱痺, 風濕性關節炎, 有風濕熱活動者, 常與黃柏, 蒼朮, 乳香, 沒藥參伍.
목단피와 단삼의 配俉는 治療範圍가 광범위하다. 血症(吐血, 衄血, 下血)에 生艾葉, 生薄荷葉, 生側柏葉, 生地黃을 配合하여 多用한다. 瘀血諸疾에는 生蒲黃, 五靈脂와 합쳐서 사용한다. 陰虛發熱, 低燒不退, 久久不愈하는데 청고, 별갑, 백모근을 配俉하여 쓴다. 熱痺, 風濕性關節炎, 風濕熱活動症에 황백, 창출, 유향, 몰약을 같이 이용하여 치료한다.
Ⓒ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78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4. 유향(乳香) + 몰약(沒藥) (0) | 2025.01.18 |
---|---|
[新編 臨床藥對論_177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3. 삼릉(三稜) + 아출(莪朮) (0) | 2025.01.17 |
[新編 臨床藥對論_175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 도인(桃仁) + 행인(杏仁) (0) | 2025.01.15 |
[新編 臨床藥對論_174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21. 향연(香櫞) + 불수(佛手) (0) | 2025.01.14 |
[新編 臨床藥對論_173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20. 천련자(川楝子) + 택란(澤蘭)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