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향연(香櫞) + 불수(佛手)
1) 單味功用
2) 伍用功能
항연은 理氣寬中, 化瘀의 효능을 발휘한다. 불수의 작용은 향연과 비슷하지만 淸香之氣가 우수하여 止嘔하는 힘이 있다. 和中理氣, 醒脾開胃의 효능을 가진다. 두 약을 配俉하면 理氣止痛의 효과가 양호한데, 藥性이 和平하고 藥力이 緩慢하여 輕症환자에게 활용하며 氣鬱, 氣滯가 重하면 다른 理氣藥을 配合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다.
3) 主治
胃氣鬱로 인한 胸悶胃痛, 食慾不振, 嘔吐, 痰飮海水, 胸膈不利 등의 증상
4) 商用量
향연 6~10g, 불수 6~10g
5) 經驗
저자가 上海 曙光병원에서 연수할 때 가르침을 받은, 소화기질환으로 유명한 老의사는 위에 기술한 약재의 配俉를 즐겨 사용하였다. 이유인 즉 지각이나 지실, 오약 등의 일반적인 理氣藥은 長服할 경우 正氣를 傷하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 하였다. 慢性胃腸病인 경우 약물을 長期服用 해야 할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순한 약물로 자극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경에서는 위의 약물들이 많이 활용되는 것을 보지 못하였다. 북경에서는 소화기내과를 자세히 살펴보지 못한 이유도 있겠지만, 지역에 따라 활용되는 약물의 차이도 분명히 있으며, 북경지역에서 쓰이는 약물들이 한국에서 활용되는 약물과 가장 유사한 傾向을 보였다.
Ⓒ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76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2. 단피(丹皮) + 단삼(丹參) (0) | 2025.01.16 |
---|---|
[新編 臨床藥對論_175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 도인(桃仁) + 행인(杏仁) (0) | 2025.01.15 |
[新編 臨床藥對論_173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20. 천련자(川楝子) + 택란(澤蘭) (0) | 2025.01.13 |
[新編 臨床藥對論_172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9. 목향(木香) + 빈랑(檳榔) (0) | 2025.01.12 |
[新編 臨床藥對論_171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8. 내복자(萊菔子) + 내복영(萊菔纓)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