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당귀(當歸) + 천궁(川芎)
1) 單味功用
當歸(略).
川芎又名芎藭撫芎. 味辛, 性溫. 入肝, 膽, 心包經. 本品辛溫香竄, 走而不守, 能上行巓頂(頭頂), 下達血海, 外徹皮毛, 旁通四肢, 爲血中之氣藥. 故有活血行氣, 祛風止痛之功, 用于治療冠心病心絞痛, 婦女月經不調, 經閉, 痛經, 難產, 胞衣不下, 以及頭痛, 目痛, 跌打損傷, 瘡瘍腫痛, 風濕痺痛等症.
2) 伍用功能
當歸補血調經, 活血止痛, 祛瘀消腫, 潤燥滑腸; 川芎行氣活血, 祛風止痛. 當歸以養血爲主, 川芎以行氣爲最. 二藥伍用, 氣血兼顧, 養血調經, 行氣活血, 散瘀止痛之力增强.
당귀는 性柔潤하여 補血調經, 活血止痛, 祛瘀消腫, 潤燥滑腸한다. 천궁은 辛溫香竄하여 行氣活血, 祛風止痛하며 上行頭目, 下行血海하고 升陽氣, 祛濕氣한다. 味辛하여 昇散不守하므로 血中氣藥이다. 비교하면 당귀는 養血위주, 천궁은 行氣우주이다. 配用하면 단점을 制約하고 장점을 발전시켜서 氣血을 같이 이롭게 하고 養血調經, 行氣活血, 散瘀止痛의 힘이 증강된다.
3) 主治
(1) 月經不調, 經行腹痛, 產後瘀血腹痛等症;
月經不調, 經行腹痛, 婦人難產, 產後瘀血腹痛 등의 증상
(2) 瘡瘍腫痛諸症;
瘡瘍腫痛諸症
(3) 風濕痺痛;
風濕痺痛
(4) 血虛, 血瘀頭痛.
血虛, 血瘀頭痛 左側이 甚한 者
嘔吐血諸症
4) 商用量
當歸 6~10克.
川芎 6~10克.
당귀 6~10g, 천궁 6~10g
5) 經驗
當歸, 川芎伍用, 名曰佛手散, 又名芎歸散. 出自《普濟本事方》. 治妊娠傷胎, 難產, 胞衣不下等症.
《醫宗金鑑》謂: “命名不曰歸芎, 而曰佛手者, 謂婦人胎前, 產後諸症, 如佛手之神妙也. 當歸, 川芎爲血分之主藥, 性溫而味甘, 辛, 以溫能和血, 甘能補血, 辛能散血也.” 明·張景岳云: “一名芎歸湯, 亦名當歸湯. 治產後去血過多, 煩暈不省, 一切胎氣不安, 亦下死胎.
당귀와 천궁의 配俉는 佛手散이다. 異名으로 芎歸散이다. <普濟本事方>에서 나왔다. 姙娠傷胎, 難產, 胞衣不下 등의 증상에 이용한다.
<醫宗金鑑>에 이르기를 ”芎歸라 名하지 않고 佛手라 한 것은 婦人胎前, 產後諸症에 부처의 손과 같이 神效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당귀, 천궁은 血分의 主藥으로 性溫, 味甘辛하여 溫能和血, 甘能補血, 辛能散血한다“라고 하였다. 明代 張景岳은 ”一名 芎歸湯, 다른 이름으로 當歸湯이다. 產後去血過多, 煩暈不省, 一切胎氣不安, 下死胎를 치료한다.“라고 하였다.
필자는 頭痛이 심할 경우 당귀10~20g, 천궁15~30g 정도로 늘려서 사용한다.
Ⓒ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84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0. 대황(大黃) + 자충(䗪蟲) (0) | 2025.01.24 |
---|---|
[新編 臨床藥對論_183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9. 도인(桃仁) + 홍화(紅花) (0) | 2025.01.23 |
[新編 臨床藥對論_181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7. 포황(蒲黃) + 오령지(五靈脂) (0) | 2025.01.21 |
[新編 臨床藥對論_180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6. 삼칠(三七) + 백급(白及) (0) | 2025.01.20 |
[新編 臨床藥對論_179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5. 화예석(花蕊石) + 종유석(鍾乳石)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