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우방자(牛蒡子) + 연교(連翹)
1) 單味功用
牛蒡子(略).
連翹(略).
2) 伍用功能
牛蒡子疏散風熱, 清熱解毒, 清咽消腫; 連翹清熱解毒, 消癰散結. 二藥伍用, 幷走于上, 清熱解毒, 消炎止痛, 祛風止痒, 宣透疹毒之力增强.
우방자는 疏散風熱, 淸熱解毒, 淸咽消腫하며 滑利하는 성격으로 通導大便한다. 연교는 淸熱解毒, 消癰散結하며 上焦의 心肺熱邪를 없애고 血中鬱火壅結을 消散시킨다. 合用하면 上部에 작용하여 淸熱解毒, 消腫止痛, 祛風止痒, 宣透疹毒하는 역량이 증강한다.
3) 主治
(1) 熱聚上焦, 以致口舌生瘡, 牙齦腫痛, 咽喉腫痛等症;
熱聚上焦하여 發하는 口舌生瘡, 牙根腫痛, 咽喉腫痛 등의 증상
(2) 癰腫瘡瘍諸症;
癰腫瘡瘍諸症
(3) 風熱痒疹, 斑疹等症.
風熱痒疹, 斑疹 등의 증상
4) 商用量
牛蒡子 6~10克.
連翹 6~15克.
우방자 6~10g, 연교 6~15g
5) 經驗
施老臨證處方時, 習慣將牛蒡子與青連殼伍用, 治療急性咽炎, 急性喉炎引起的咽喉腫痛諸症, 每每?效, 若伍以馬勃, 靑黛, 其效更著. 根据臨床体会, 上述諸症, 表現爲熱盛, 大便乾者, 宜重用牛蒡子, 可用至15克左右.
施今墨선생은 처방시 습관적으로 우방자와 靑연교를 合하여 急性咽喉炎이나 그로인한 咽喉腫痛諸症을 치료하였다. 馬勃, 靑黛를 합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經驗에 의하면 上述한 증상이 熱盛이거나 大便乾할 때 우방자를 15g정도로 重用하면 좋다고 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57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5. 마발(馬勃) + 대합산(黛蛤散) (0) | 2024.09.18 |
---|---|
[新編 臨床藥對論_56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4. 마발(馬勃) + 청대(靑黛) (0) | 2024.09.17 |
[新編 臨床藥對論_54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2. 자화지정(紫花地丁) + 포공영(蒲公英) (0) | 2024.09.15 |
[新編 臨床藥對論_53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1. 황금(黃芩) + 황련(黃連) (0) | 2024.09.14 |
[新編 臨床藥對論_52_V. 止汗類] 8? 오매(烏梅) + 오미자(五味子) (0) | 2024.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