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오매(烏梅) + 오미자(五味子)
1) 伍用功能
오매는 微酸하고 淸凉生津, 益胃止渴, 斂肺止咳한다. 오미자는 斂肺滋腎, 斂汗止汗, 生津止渴, 養心安神, 澁精止瀉한다. 두 약이 合하면 養陰强心, 斂肺止汗의 능력이 强해진다.
2) 主治
自汗, 盜汗諸症
糖尿病, 尿糖不降者
3) 商用量
오매 6~10g, 오미자 6~10g
4) 經驗
오매와 오미자를 配用하면 酸味를 取하여 收斂하는 효과로 益陰止汗한다. 대개 汗症은 오래되면 반드시 傷陰하니 汗은 心의 液이라는 것을 증명한다. 施今墨선생은 自汗, 盜汗諸症의 치료시 表를 治함과 동시에 益陰强心을 本으로 하니 항상 맥문동, 만삼을 같이 투여하였다.
산수유, 모려, 오매, 오미자는 모두 당뇨병의 尿糖不降症을 치료한다. 治病原理는 斂脾精, 止漏濁이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54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2. 자화지정(紫花地丁) + 포공영(蒲公英) (0) | 2024.09.15 |
---|---|
[新編 臨床藥對論_53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1. 황금(黃芩) + 황련(黃連) (0) | 2024.09.14 |
[新編 臨床藥對論_51_V. 止汗類] 7. 황기(黃芪) + 부자(附子) (0) | 2024.09.12 |
[新編 臨床藥對論_50_V. 止汗類] 6. 오미자(五味子) + 오배자(五倍子) (0) | 2024.09.11 |
[新編 臨床藥對論_49_V. 止汗類] 5. 황기(黃芪) + 부소맥(浮小麥) (0)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