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황금(黃芩) + 황련(黃連)
1) 單味功用
黃芩(略).
黃連味苦, 性寒. 入心, 肝, 胃, 大腸經. 本品大苦大寒, 爲瀉心火, 除濕熱之佳品. 它旣能清熱瀉火(以淸瀉心, 胃之火爲主), 清心安眠, 凉血止血, 解毒止痢, 用于治療熱性病之高熱, 煩躁, 神昏譫語等症, 又治陰血不足, 心煩不眠之症, 還治心火內熾, 迫血妄行, 以致衄血, 吐血諸症, 以及腸澼下痢(腸炎, 痢疾)諸症; 又能瀉火解毒, 清胃止嘔, 解渴除煩, 消痞除滿, 用于治療目赤腫痛, 口舌生瘡, 癰疽疔毒, 胃熱嘔吐, 心下痞滿, 胃火熾盛, 消穀善飢, 口乾口渴等症.
2) 伍用功能
黃芩清熱燥濕, 瀉火解毒, 止血, 安胎; 黃連清熱燥濕, 瀉火解毒, 止痢. 黃芩苦寒, 善于清肺, 大腸火熱; 黃連苦寒, 善瀉心火, 除濕散鬱. 二藥參合, 清熱燥濕, 瀉火解毒, 效果益彰.
황금은 上, 中焦의 火熱을 없애고 淸熱燥濕, 瀉火解毒, 止血, 安胎의 효능을 가진다. 황련은 心, 胃의 火熱에 치우쳐서 작용하고 淸熱燥濕, 瀉火解毒, 止利한다. 또한 황금은 苦寒하여 淸肺, 大腸火熱한다. 황련은 苦寒하여 瀉心火, 除濕散鬱한다. 공통적으로 血分의 火熱을 瀉하고 술에 담가두어 法制하면 上行하여 작용한다. 두 약을 合하면 淸熱燥濕, 瀉火解毒의 효과가 좋다.
3) 主治
(1) 上,中焦熱盛, 所致的目赤腫痛, 齒齦腫脹, 牙齒疼痛, 口舌生瘡等症;
上, 中焦 熱性으로 인한 目赤腫痛, 齒齦腫脹, 牙齒疼痛, 口舌生瘡 등의 증상
(2) 熱性病高燒, 煩躁不安等症;
熱性病으로 인한 高燒, 煩燥不安 등의 증상
(3) 癰腫疔瘡;
擁腫疔瘡
(4) 濕熱下痢諸症.
濕熱下利諸症
婦人更年期의 烘熱, 汗出 등의 증상
糖尿病의 燥熱症을 보이는 자
4) 商用量
黃芩 6~10克.
黃連 3~6克.
황금 6~10g, 황련 3~6g
5) 經驗
黃芩, 黃連伍用, 出自《傷寒論》. 仲景用黃連善治濕熱中阻, 胸膈痞悶. 觀其半夏, 乾薑, 甘草三瀉心及葛根湯是也.
我們体会, 濕熱在裏, 黃連善淸濕生之熱, 黃芩善解熱生之濕, 二藥參合, 相得益彰.
黃芩, 黃連伍用, 《醫宗金鑑》名曰二黃湯. 治上焦火旺, 頭面大腫, 目赤腫痛, 心胸, 咽喉, 口, 耳, 鼻熱盛, 及生瘡毒者.
施老认爲, 黃芩清肺火, 黃連瀉心火, 二者取其酒炒, 幷走于上, 清熱解毒之力倍增, 善除上焦實火諸症.
황금과 황련의 配伍는 <傷寒論>에서 나왔다. 仲景은 芩蓮으로 濕熱中阻하여 胸膈痞悶함을 치료하였다. 반하, 건강, 감초로 瀉心하는 것이나 葛根湯이 그것이다.
濕熱이 裏에 있는 경우, 황련은 淸濕生之熱하고 황금은 解熱生之濕하니 合用하여 서로 도와 利得이 된다.
황련 황금의 配用을 <醫宗金鑑>에서는 二黃湯이라 하였다. 上焦火旺으로 인하여 頭面大腫, 目赤腫痛하거나 心胸, 咽喉, 口, 耳, 鼻에 熱盛으로 인하여 瘡毒이 生하는 者를 치료한다. 施今墨선생이 이르기를 황금은 淸肺火, 황련은 瀉心火하여 같이 酒炒하여 이용하면 淸熱解毒의 능력이 倍加된다고 하였다. 上焦實火諸症에 효과가 좋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55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3. 우방자(牛蒡子) + 연교(連翹) (0) | 2024.09.16 |
---|---|
[新編 臨床藥對論_54_VI. 清熱解毒消腫止痛類] 2. 자화지정(紫花地丁) + 포공영(蒲公英) (0) | 2024.09.15 |
[新編 臨床藥對論_52_V. 止汗類] 8? 오매(烏梅) + 오미자(五味子) (0) | 2024.09.13 |
[新編 臨床藥對論_51_V. 止汗類] 7. 황기(黃芪) + 부자(附子) (0) | 2024.09.12 |
[新編 臨床藥對論_50_V. 止汗類] 6. 오미자(五味子) + 오배자(五倍子)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