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98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2. 숙지황(熟地黃) + 당귀(當歸)

한의사 강세황 2024. 10. 29. 02:06

12. 숙지황(熟地黃) + 당귀(當歸)

(좌) 숙지황 (우) 당귀

1) 單味功用

熟地黃().

當歸味甘, , 性温. 入心, , 脾經. 本品辛甘温潤, 以甘温和血, 辛温散寒, 爲血中氣藥. 它旣補血, 養血, 又能柔肝止痛, 活血止痛, 用于治療血虛所引起的頭昏, 目眩, 心悸, 疲倦, 脈細等症, 又能治療血虛腹痛, 月經不調, 月經稀少, 經期錯後, 經閉, 痛經, 以及跌打損傷, 風濕痺痛, 瘡癰腫痛, 冠心病心絞痛, 血栓閉塞性脈管炎, 淺部血栓性靜脈炎等病症. 另外, 它還能養血潤燥, 滑腸通便, 用于治療陰血虛少所引起的腸燥便秘.

 

2) 伍用功能

熟地黃益腎納氣, 補血養肝; 當歸補血和血, 活血止痛, 又主咳逆上氣. 二藥伍用, 補陰補血, 益腎平喘之力益彰.

숙지황은 益腎納氣, 補血養肝, 당귀는 補血和血, 活血止痛하여 咳逆上氣症을 치료한다. 配用하면 滋陰補血, 益腎平喘하는 이 커진다.

 

3) 主治

婦女久咳, 久喘, 而陰虧血虛者.

婦女久咳, 久喘 - 陰虛血虛

 

4) 商用量

熟地黃 6~10.

當歸 6~10.

숙지황 6~10g, 당귀 6~10g

 

5) 經驗

熟地黃, 當歸伍用, 以熟地黃治喘, 首推張景岳用之最善. 所謂益腎納氣, 金水相生之理也. 當歸治咳喘則用之者較少, 施老治久咳, 久喘病人, 常于咳喘方藥之中加當歸一味而建功效. 盖本經早有記載: “主咳逆上氣.” 蘇子降氣湯亦以當歸爲佐, 則當歸治咳喘, 在古人有明?.

숙지황과 당귀를 配用하면 숙지황이 喘息을 치료한다 하여 張景岳이 제일 즐겨 사용하였다. 소위 益腎納氣, 金水相生하는 이치이다. 당귀를 喘息에 이용하는 醫師는 별로 없으나 施今墨선생은 久咳, 久喘에 즐겨 사용하였으며, 咳嗽처방에 꼭 당귀를 추가하여 功效를 높였다.

本草經典에도 기록되어 있기를 主咳逆上氣라 했다. 蘇子降氣湯에도 역시 당귀가 佐藥으로 있어 당귀가 咳喘을 치료함을 古人이 먼저 명확히 하였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