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보골지(補骨脂) + 호도인(胡桃仁)
1) 單味功用
補骨脂又叫破古紙. 味辛, 苦, 性大温. 入腎, 脾經. 本品氣温味苦, 旣能暖丹田, 壯元陽, 温腎逐寒, 澀氣止脫, 用于治療腎陽不足, 命門火衰, 以致腰膝冷痛, 小便頻數, 遺尿, 陽萎, 遺精等症, 又能温脾止瀉, 用于治療脾腎陽虛, 久瀉便溏. 五更瀉(即黎明前腹瀉, 伴有腹痛腸鳴, 瀉後則安, 苔薄白, 脈沈細, 常見于腸結核, 屬限性腸炎, 蠻書結腸炎等), 還能納氣歸元, 止嗽平喘, 用于治療腎氣不足之咳喘等症, 另外, 還能補相火以通君火, 擴張冠狀動脈, 用于治療冠心病, 有夜尿多, 四肢冰冷等陽虛之症.
胡桃仁又叫胡桃肉, 桃核仁. 味甘, 性温. 入肺, 腎, 大腸經. 胡桃味甘氣熱, 皮澀肉潤汁黑. 它旣能温補命門, 澀精固氣, 用于治療腎虛陽衰, 腰痛酸楚, 兩足痿軟, 小便頻數等症, 又能補氣養血, 斂氣定喘, 用于治療肺腎不足, 咳嗽氣喘(類似喘息性慢性氣管炎)等症, 還温肺潤腸, 用于治療血虛, 津枯所引起的腸燥便秘, 也可治老人氣虛便秘(習慣性便秘).
2) 伍用功能
肺爲氣之主, 腎爲氣之根. 肺主呼氣, 腎主納氣. 呼, 納相合, 呼吸功能是屬正常, 人即安康. 胡桃肉補腎助陽, 斂肺定喘, 潤腸通便; 補骨脂補腎助陽, 納氣歸宅, 温脾止瀉. 二藥伍用, 一肺一腎, 金水相滋, 斂肺納氣, 止咳平喘甚妙.
肺는 主氣하고 腎은 氣根이다. 肺는 主呼氣하고 腎은 主納氣한다. 呼와 納이 相合하면 호흡기능이 정상으로 건강하다. 호도는 補腎助陽, 斂肺定喘, 潤腸通便, 보골지는 補腎助陽, 納氣歸宅, 溫脾止瀉한다. 配用하면 一肺一腎, 金水相滋하여 斂肺納氣, 止咳平喘의 효과가 妙하다.
3) 主治
(1) 腎虛之咳喘諸症;
腎虛咳喘諸症
(2) 腎氣不足, 以致腰酸, 腰痛, 陽萎, 遺精, 小便頻數, 遺尿等症;
腎水不足으로 인한 腰酸, 腰痛, 陽萎, 遺精, 小便頻數, 遺尿 등의 증상
(3) 神經衰弱, 頭昏, 失眠, 記憶力減退等症.
神經衰弱, 頭暈, 失眠, 記憶力減退 등의 증상
4) 商用量
補骨脂 6~10克.
胡桃仁 6~10克.
보골지 6~10g, 호도육 6~10g
5) 經驗
破古紙, 胡桃仁伍用, 出自《太平惠民和劑局方》靑娥丸. 治腎虛腰痛如折, 俯仰不利, 轉側艱難. 淸·王泰林《王旭高醫書六種》靑娥丸治虛腰痛, 《素問·脈要精微論》曰: “腰老腎之府, 轉搖不能, 腎將憊矣.” 故紙十兩酒蒸 胡桃二十兩去皮硏 蒜四兩 姜四兩 仲. 杜仲一斤 虛寒喘嗽鄭 相國方, 肺腎虛寒, 爲喘爲嗽. 除蒜姜仲除去三味 加蜜送.
破古與胡桃同用, 有水火相生之妙. 氣足則肺不虛寒, 血足則腎不枯燥, 久服利益甚多, 不獨上療喘嗽, 下强腰脚已也. 古云: “黃柏無知母, 破古無胡桃, 猶水母之無蝦也.” 按: 水母, 海蛇也. 清·黃宮綉《本草求眞》也說: “胡桃……諸書皆言能通命火, 助相火, 利三焦, 温肺潤腸, 補氣養血, 斂氣定喘, 澀精固腎, 與補骨脂一水一火, 大補下焦, 有同氣相生之妙.”
根據臨床体会, 肺源性咳喘, 心源性咳喘, 凡表現爲吸氣短, 腎不納氣者均宜使用. 尤其于緩解期, 更須長服, 定有益矣.
보골지와 호도의 配俉는 <太平惠民和劑局方> 靑娥丸에서 나왔다. 腎虛腰痛如折, 俯仰不利, 轉側難症을 治한다. 淸代 王泰林의 <王旭高醫書六種>에서도 靑娥丸으로 虛腰痛을 치료했고, <素問 脈要精微論>에서 “腰는 腎之府라. 轉搖不能은 腎이 매우 피곤해져서 발생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파고지10兩, 호두20兩, 마늘4兩, 생강4兩, 두중1根을 쓴다. 虛寒喘嗽가 兼하면 肺腎虛寒한 것이니 마늘, 생강, 두중을 去하고 蜂蜜을 加하여 쓴다.
파고지와 호두를 同用하면 水火相生의 妙가 있다. 氣足하면 肺不虛寒하고 血이 足하면 腎不枯燥한다. 久服하면 이로움이 아주 많은데, 上部로는 喘嗽를 치료하고 下部에서는 腰脚을 强하게 한다. 先人들이 이르기를 “황백이 지모가 없고, 파고지가 호도가 없으면 海蛇에 새우가 없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淸代 黃宮綉의 <本草求眞>에서 이르기를 “호두는 모든 書冊에서 이르기를 능히 通命火, 助相火, 利三焦, 溫肺潤腸, 補氣養血, 斂氣定喘, 澁精固腎하고 보골지와 함께 一水一火로 大補下焦, 同氣相生하는 妙가 있다.”라고 하였다.
臨床經驗에 근거하여 보면 肺源發性咳喘, 心源發性咳喘의 증상이 吸氣短하는 腎不納氣者에게도 사용 가능하다. 緩解期에 長服하면 더욱 유익하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02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2. 황기(黃芪) + 산약(山藥) (0) | 2024.11.02 |
---|---|
[新編 臨床藥對論_101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1. 창출(蒼朮) + 현삼(玄蔘) (0) | 2024.11.01 |
[新編 臨床藥對論_99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3. 대조(大棗) + 흑석단(黑錫丹) (0) | 2024.10.30 |
[新編 臨床藥對論_98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2. 숙지황(熟地黃) + 당귀(當歸) (0) | 2024.10.29 |
[新編 臨床藥對論_97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1. 숙지황(熟地黃) + 마황(麻黃)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