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황기(黃芪) + 산약(山藥)
1) 單味功用
黃芪(略).
山藥(略).
2) 伍用功能
黃芪甘温, 補氣升陽, 利水消腫, 而偏于補脾陽, 山藥甘平, 補脾養肺, 養陰生津, 益腎固精, 而側重于補脾陰. 二藥伍用, 一陽一陰, 陰陽相合, 相互促進, 相互轉化, 共收健脾胃, 促運化, 斂脾精, 止漏濁, 消除尿糖之功.
황기는 甘溫으로 補氣升陽, 利水消腫하는데 補脾陽에 偏重된다. 산약은 甘平으로 補脾養肺, 養陰生津, 益腎固精하는데 補脾陰에 편중된다. 配用하면 一陽一陰으로 陰陽相合, 相互促進, 相互轉化하여 健脾胃, 促運化, 斂脾精, 止漏濁, 消除尿糖하는 능력을 발휘한다.
3) 主治
糖尿病. 表現爲尿糖嚴重者, 用之即可消除.
당뇨병 - 尿糖偏重者
만성위장염 - 脾胃氣虛者
4) 商用量
黃芪 10~30克.
山藥 10~30克.
황기 10~30g, 산약 10~30g
5) 經驗
黃芪, 山藥伍用, 系施老臨證經驗所得. 用于降低尿糖. 意即取黃芪的補中益氣, 升陽, ?腠理之作用, 與山藥的益氣陰, 固腎精的功用相合, 謂之相互爲用, 益氣生津, 健脾補腎, 澀精止遺, 使尿糖轉爲陰性也.
황기 산약의 配俉는 시금묵선생의 臨床경험에 의하여 얻어진 것이다. 尿糖을 떨어뜨리는데 쓰인다. 황기가 補中益氣, 升陽, 實腠理하고 산약은 益氣陰, 固腎精하는 效能이 있어서 相互作用하여 益氣生津, 健脾補腎, 澁精止遺 함으로서 尿糖을 떨어뜨린다. 근래에 이르러는 경험에 근거하여 산약을 生地로 바꾸어 쓰는 일도 있는데 산약은 전분(녹말)함유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04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4. 갈근(葛根) + 단삼(丹參) (0) | 2024.11.04 |
---|---|
[新編 臨床藥對論_103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3. 녹두의(綠豆衣) + 의이인(薏苡仁) (0) | 2024.11.03 |
[新編 臨床藥對論_101_IX. 益胃止渴健脾降糖類] 1. 창출(蒼朮) + 현삼(玄蔘) (0) | 2024.11.01 |
[新編 臨床藥對論_100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4. 보골지(補骨脂) + 호도인(胡桃仁) (0) | 2024.10.31 |
[新編 臨床藥對論_99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下氣平喘] 13. 대조(大棗) + 흑석단(黑錫丹)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