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정향(丁香) + 시체(柿蒂)
1) 單味功用
丁香爲桃金娘科常綠喬木丁香樹的花蕾及果實. 其花蕾叫公丁香, 氣香力足, 功效較佳; 其果實稱爲母丁香, 氣味較淡, 功效較弱, 所以臨床上以公丁香應用較多. 味辛, 性溫. 入肺, 胃, 脾, 腎經. 本品氣味芳香, 辛散温通, 旣能暖脾胃, 散寒止痛, 降濁氣之上逆, 以止虛寒呃逆, 用于治療脘腹冷痛, 呃逆, 嘔吐等症, 又能溫腎助陽, 以治男子腎虛陽萎, 女子陰冷, 寒濕帶下等症.
柿蒂爲柿樹果實的果蒂. 味苦, 澀, 性平. 入肺, 胃經. 本品酸斂苦降, 善降氣逆, 爲止呃逆之專藥. 用于治療胃寒氣滯所引起的呃逆, 反胃, 嘔噦.
2) 伍用功能
丁香辛溫, 溫中降逆, 下氣止痛, 溫腎助陽; 柿蒂苦澀, 降氣止呃, 丁香以升散爲主, 柿蒂以澀斂下行爲要. 二藥伍用, 一散一斂, 一升一降, 相互制約, 相互爲用, 溫中散寒, 和胃降逆, 止呃逆甚妙.
정향은 辛溫하여 溫中降逆, 下氣止痛, 溫腎助陽, 시체는 苦澁하여 降氣止嘔한다. 정향은 升散위주이고 시체는 澁斂下行이 요점이다. 配用하면 一散一斂, 一升一降으로 相互制約, 相互協助로 溫中散寒, 和胃降逆, 止嘔逆하는 힘이 甚妙하다.
3) 主治
(1) 胃寒呃逆諸症;
嘔逆諸症중에서 寒熱嘈雜症에 屬한 者
(2) 脾胃虛寒, 胃氣上逆, 嘔吐等症.
脾胃虛寒, 胃氣上逆으로 인한 嘔吐 등의 증상
4) 商用量
丁香 1.5~6克.
柿蒂 6~10克.
정향 1.5~6g, 시체 6~10g
5) 經驗
丁香, 柿蒂伍用, 出自《濟生方》柿蒂湯. 治療胸滿嘔吐, 呃逆不止. 淸·黃宮綉《本草求眞》說: “柿蒂味苦氣平, 雖與丁香同爲止呃之味, 然一辛熱一苦平, 合用深得寒熱兼濟之妙. 如系有寒無熱, 則丁香在所必用, 不得固执從治, 必當佐以柿蒂. 有熱無毒, 則柿蒂在所必需, 不得泥以兼濟之必雜以丁香, 是以古人用藥, 有含數味而見效者, 有單用一味而見效者, 要使藥與病對, 不致悖謬而枉施耳.” 筆子认爲黃氏之說有理, “要使藥與病對”爲之用治病的關鍵, 丁香與柿蒂參合, 適用于偏寒性的呃逆, 臨證不可不辨, 否則無效. 若兼虛者, 伍以人蔘(黨參?之亦可), 生薑, 其效更佳.
정향과 시체의 配俉는 <濟生方> 柿蒂湯에서 비롯됐다. 胸滿嘔吐, 嘔逆不止를 治한다. 淸代 黃宮綉의 <本草求眞>에서 이르기를 “시체는 味苦氣平하여 정향과 같이 止嘔하는 작용이 있다. 一辛熱, 一苦平하여 合用하면 寒熱兼濟의 오묘함을 얻을 수 있다. 有寒無熱하면 반드시 정향을 쓰되 從治만을 고집하지 않고 반드시 시체를 佐藥으로 쓴다. 有熱無寒의 경우에도 시체가 必需이지만 泥를 막고 兼濟를 위하여 반드시 정향을 添加하여 원활함을 얻으니, 古人들이 用藥時에 여러 약을 합해서 효과를 얻음과, 單用으로 효과를 보는 것이 각각 다르다. 약을 病症에 잘 맞추어야 거스름이나 과오가 없다.”고 하였고, 필자의 생각도 “藥을 病에 맞추어야 한다”는 황궁수의 말은 이치에 맞다. 정향과 시체를 合用하여 寒熱嘈雜으로 인한 嘔逆症에 활용하면 반드시 증상에 변화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藥效가 없는 것이다. 虛症이 兼하면 인삼(만삼), 생강을 加하여 쓰면 효과가 더욱 좋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29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5. 창출(蒼朮) + 백지마(白脂麻) (0) | 2024.11.29 |
---|---|
[新編 臨床藥對論_128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4. 귤피(橘皮) + 죽여(竹茹) (0) | 2024.11.28 |
[新編 臨床藥對論_126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2. 건강(乾薑) + 황련(黃連) (0) | 2024.11.26 |
[新編 臨床藥對論_125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1. 좌금환(左金丸) + 혈여탄(血餘炭) (0) | 2024.11.25 |
[新編 臨床藥對論_124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0. 황련(黃連) + 오수유(吳茱萸)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