紫葳*
자위
* 紫葳(초목이 무성한 모양 위; ⾋-총13획; wēi) Campsis grandiflora(=Campsis chinensis)(능소화
味酸, 微寒, 入足厥陰肝經.
자위는 산미, 약간 한기로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專行瘀血, 善消癥塊.
자위는 어혈을 오로지 운행하고 잘 징괴를 소멸한다.
《金匱》鱉甲煎丸(方在鱉甲.)用之治病瘧日久, 結爲癥瘕, 以其行瘀而化癖也.
금궤요략 별갑전환(처방은 별갑에 있다) 학질이 오래되어 결체하여 징가가 됨을 치료하는데 쓰니 어혈을 운행하고 벽을 변화시킨다.
紫葳酸寒通利, 破瘀消癥.
자위는 산미, 한기로 통리하고 어혈을 깨며 징가를 소멸한다.
其諸主治, 通經脈, 止淋瀝, 除崩中, 收帶下, 平酒齇, 滅風刺, 治癩風, 療陰瘡.
자위 주치는 경맥을 통하게 하며 임력을 멎게 하며 붕루를 제거하고 대하를 거두고 주사비를 평정하고 풍자를 소멸하고 나풍을 치료하며 음창을 치료한다.
紫葳卽凌霄花.
자위는 능소화이다.
蟅蟲
자충
味鹹, 微寒, 入足厥陰肝經 善化瘀血, 最補損傷.
자충은 함미, 약간 한기로 족궐음간경에 들어가 잘 어혈을 변화하며 가장 손상을 보충한다.
《金匱》鱉甲煎丸(方在鱉甲.)用之治病瘧日久, 結爲癥瘕.
금궤요략 별갑전환은(처방은 별갑에 있다) 사용해 학질이 오래되어 결체해 징가가 됨을 치료한다.
大黃䗪蟲丸(方在大黃.)用之治虛勞腹滿, 內有乾血.
대황자충환(처방은 대황에 있다.) 사용하여 허로 복만과 안에 건혈이 있음을 치료한다.
下瘀血湯(方在大黃.)用之治產後腹痛, 內有瘀血.
하어혈탕(처방은 대황에 있다) 산후복통 안에 어혈이 있음을 치료한다.
土瓜根散(方在土瓜根.)用之治經水不利, 少腹滿痛, 以其消癥而破瘀也.
토과근산(처방은 토과근에 있다) 경수가 불리하고 소복이 가득하고 아픔을 치료하며 징가를 소멸하고 어혈을 깨뜨려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장사약해(長沙藥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沙藥解_卷二_41] 75. 봉과(蜂窠) ~ 76. 맹충(虻蟲) (0) | 2024.12.23 |
---|---|
[長沙藥解_卷二_40] 73. 강랑(蜣螂) ~ 74. 서부(鼠婦) (0) | 2024.12.22 |
[長沙藥解_卷二_38] 70. 별갑(鱉甲) (0) | 2024.12.20 |
[長沙藥解_卷二_37] 69. 패장(敗醬) (0) | 2024.12.19 |
[長沙藥解_卷二_36] 68. 홍람화(紅藍花) (0)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