敗醬
패장
味苦, 微寒, 入足厥陰肝經.
패장은 고미로 약간 한기로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善破瘀血, 最排癰膿.
패장은 어혈을 잘 격파하고 가장 옹과 고름을 배출한다.
《金匱》薏苡附子敗醬散(方在薏苡.) 用之治腸癰脈數, 以其排積膿而行瘀血也.
금궤요략 의이부자패장산(처방은 의이인에 있다)은 사용해 장옹과 삭맥을 치료하니 적의 고름을 배출해 어혈을 운행한다.
敗醬苦寒通利, 善破瘀血而消癰腫, 排膿穢而化癥瘕.
패장은 고미, 한기로 통리하고 잘 어혈을 격파하고 옹종을 소멸하며 농의 나쁨을 배출하고 징가를 변화시킨다.
其諸主治, 止心痛, 療腹疼, 住吐衄, 破癥瘕, 催生產, 落胎孕, 收帶下, 平疥癬, 除翳膜, 去胬肉.
패장 주치는 심장통을 멎게하며 복통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를 멈추게 하며 징가를 격파하고 출산을 재촉하고 태아를 낙태하며 대하를 거두고 개선을 평정하고 예막을 제거하고 굳은살을 제거하다.
(敗醬卽苦菜也.)
패장은 고채이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장사약해(長沙藥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沙藥解_卷二_39] 71. 자위(紫葳) ~ 72. 자충(蟅蟲) (0) | 2024.12.21 |
---|---|
[長沙藥解_卷二_38] 70. 별갑(鱉甲) (0) | 2024.12.20 |
[長沙藥解_卷二_36] 68. 홍람화(紅藍花) (0) | 2024.12.18 |
[長沙藥解_卷二_35] 67. 건칠(乾漆) (0) | 2024.12.17 |
[長沙藥解_卷二_34] 66. 삭조(蒴藋)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