紅藍花
홍람화
味辛, 入足厥陰肝經.
홍람화는 신미로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專行血瘀, 最止腹痛.
홍람화는 전적으로 혈어를 운행하며 가장 복통을 중지한다.
《金匱》紅藍花酒, (紅藍花一兩, 酒一升. 煎減半, 分服.) 治婦人諸風, 腹中血氣刺痛.
금궤요략의 홍람화주는 홍람화 40g, 술 1되를 달여 절반으로 감량해 나눠 복용하는데 부인의 여러 풍과 배속의 혈기가 찌르고 아픔을 치료한다.
肝主藏血, 木鬱風動, 肝血枯燥, 鬱剋己土, 則生疼痛.
간은 혈 저장을 주로하고 목이 울체하면 풍이 동요하고 간혈이 건조하고 울체해 기토를 이기므로 동통을 생성한다.
紅藍花行血而破瘀, 黃酒溫經而散滯也.
홍람화는 혈을 운행하고 어혈을 격파하며 황주는 경락을 온난하게 하며 정체를 흩어지게 한다.
紅藍花活血行瘀, 潤燥止痛, 最能疏木而清風.
홍람화는 혈을 활발하게 하며 어혈을 운행하고 건조를 윤택하게 하며 진통하며 가장 목을 성글게 하며 풍을 맑게 한다.
其諸主治, 通經脈, 消胕腫, 下胎衣, 開喉閉, 蘇血暈, 吹聹*耳.
홍람화 주치는 경맥을 소통하고 부종을 소멸하고 태반을 내리고 후두가 막힘을 열고 혈훈을 깨어나게 하며 귀지를 불게 한다.
* 聹(귀지 녕{영}; ⽿-총20획; ning)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장사약해(長沙藥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沙藥解_卷二_38] 70. 별갑(鱉甲) (0) | 2024.12.20 |
---|---|
[長沙藥解_卷二_37] 69. 패장(敗醬) (0) | 2024.12.19 |
[長沙藥解_卷二_35] 67. 건칠(乾漆) (0) | 2024.12.17 |
[長沙藥解_卷二_34] 66. 삭조(蒴藋) (0) | 2024.12.16 |
[長沙藥解_卷二_33] 65. 토과근(土瓜根) (0) | 202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