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창출(蒼朮) + 복령(茯苓)
1) 單味功用
蒼朮(略).
防風(略).
2) 伍用功能
蒼朮辛香發散, 苦溫而燥, 外可散寒解表, 內能祛風除濕, 除障明目; 防風辛溫升散, 温而不燥, 藥性緩和, 功專祛風解表, 勝濕止痙, 治瀉止血. 蒼朮以健脾燥濕爲主, 防風以祛風止痛爲要. 經云: “濕勝則濡瀉”. 又云: “淸氣在下, 則生飧泄.” 故以蒼朮燥濕健脾, 以防風升淸止瀉. 清·王旭高云: “風藥升清, 故兼能治泄瀉.” 二藥相合, 治水瀉, 飧瀉甚妙.
창출은 辛香發散, 苦溫燥하여 밖으로 散寒解表, 안으로 祛風除濕, 除障明目한다. 방풍은 辛溫升散, 溫而不燥, 藥性緩和하며 祛風解表, 勝濕止痙의 功效가 있다. 창출은 健脾燥濕 위주이고, 방풍은 祛風止痛이 요점이다. 經에 이르기를 “濕勝則濡瀉”라 하고, “淸氣在下, 則生飱泄”이라 하였다. 苦로 창출로 燥濕健脾, 방풍으로 升淸止瀉한다. 淸代 王旭高가 이르기를 “風藥은 升淸하여 능히 泄瀉를 치료한다.”고 하였다. 두 약을 相合하면 水瀉, 飱泄의 치료가 아주 妙하다.
3) 主治
水瀉(便泄如水之狀), 飧瀉又名水穀利(指泄瀉完穀不化)諸症.
受價(便泄如水狀), 飧瀉(水穀利, 泄瀉完穀不化)諸症
4) 商用量
蒼朮 6~10克.
防風 6~10克.
창출 6~10g, 방풍 6~10g
5) 經驗
蒼朮, 防風伍用, 出自元代醫家王好古《陰症略例》神朮散. 又名海藏神朮散. 王氏以蒼朮60克, 防風60克, 甘草30克, 共硏粗末, 加生薑, 葱白, 水煎服. 以治內傷冷飮, 外感寒邪而無汗者. 明代醫家孫一奎以蒼朮, 防風各15克, 名曰蒼朮防風湯, 治水泄, 飧泄, 頭痛, 脈弦等症. 心下痞加枳實3克, 小便不利加茯苓6克.
창출과 방풍의 配俉는 元代醫家 王好古의 <陰症略例>에서 나온 神朮散이다. 海藏神朮散이라고도 한다. 창출 60g, 방풍 60g, 감초 30g을 硏末한 후 생강, 총백을 加하여 水煎服한다. 內傷冷飮, 外感寒邪而無汗者를 治한다. 明代 孫一奎는 창출, 방풍 15g으로 蒼朮防風湯이라 하여 水泄, 飱泄, 頭痛, 脈弦 등증을 치료하였다. 心下痞할 경우 지실 3g, 小便不利의 경우에는 복령 6g을 加한다. 張元素는 창출, 방풍을 君藥으로 하여 痔漏를 치료하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54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 청피(靑皮) + 귤피(橘皮) (0) | 2024.12.24 |
---|---|
[新編 臨床藥對論_153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14. 오미자(五味子) + 오배자(五倍子) (0) | 2024.12.23 |
[新編 臨床藥對論_151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12. 복령(茯苓) + 익지인(益智仁) (0) | 2024.12.21 |
[新編 臨床藥對論_150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11. 상표초(桑螵蛸) + 해표초(海螵蛸) (0) | 2024.12.20 |
[新編 臨床藥對論_149_XIII. 健脾止瀉固精止遺類] 10. 금앵자(金櫻子) + 검실(芡實) (0) | 2024.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