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향부(香附) + 자소경(紫蘇梗)
1) 單味功用
香附又名香附米. 味辛, 微苦甘, 性平. 入肝, 胃經. 本品辛苦香燥. 生品入藥, 能上行胸膈, 外達皮膚. 熟品入藥, 可下走肝腎, 外徹腰足. 炒黑入藥, 善行血分以止出血. 監水浸炒, 入血分而潤燥. 靑監炒之, 可補腎氣. 酒浸炒之, 能行經絡以散其滯. 醋浸炒之, 可消積聚. 薑汁炒之, 則化痰飮. 故香附爲行氣開鬱之要品. 它旣能疏肝理氣, 行氣止痛, 用于治療情志不遂所引起的消化不良, 胸膈痞悶, 嘔吐呑酸, 心腹疼痛, 脇肋脹悶, 乳房脹痛, 疝氣疼痛等症, 又能疏肝理氣, 調經止痛, 用于治療肝鬱氣滯所引起的月經不調, 經痛等證.
紫蘇梗又名蘇梗. 味辛, 甘, 性温. 入脾, 胃, 肺經. 本品香氣濃鬱, 善于舒肝解鬱, 行氣消脹, 理氣安胎, 和血止痛, 用于治療肝鬱氣滯, 脾胃不和, 胸膈痞悶, 脘腹疼痛, 食滯不消, 惡心嘔吐, 胎氣不和, 胎動不安等症.
2) 伍用功能
香附疏肝解鬱, 理氣活血, 調經止痛; 紫蘇梗行氣寬中, 溫中止痛, 理氣安胎. 香附入血分, 行血中之氣, 蘇梗走氣分, 以行氣寬中. 二藥伍用, 一血一氣, 氣血雙調, 理氣解鬱, 行氣止痛, 消脹除滿的力量增强.
향부자는 疏肝解鬱, 理氣活血, 調經止痛하며 十二經의 氣分을 宣暢한다. 血分에도 작용하여 疏肝解鬱, 行氣止痛한다. 生用하면 胸膈으로 上行하며 皮膚로 外達한다. 經絡으로 通行시키려면 酒浸炒하여 이용한다. 자소경은 行氣貫中, 溫中止痛, 理氣安胎한다. 비교하면 향부자는 血分에 入하여 行血中之氣, 소경은 氣分으로 달려서 行氣寬中한다. 配用하면 一血一氣로 氣血雙調하여 理氣解鬱, 行氣止痛, 消脹除滿의 力量이 증강되어서 주로 肝鬱氣滯로 인하여 발생하는 胸腹脹悶不適, 脇肋脹痛 등의 증상을 다스린다.
3) 主治
(1) 氣血不調, 脘腹脹滿不舒等症;
氣血不調로 인한 脘腹脹滿不舒 등의 증상
(2) 姙娠嘔吐, 腹脹等症.
姙娠嘔吐, 腹脹 등의 증상
4) 商用量
香附 6~10克.
紫蘇梗 6~10克.
향부자 6~10g, 자소엽 6~10g
5) 經驗
紫蘇入藥者有蘇子, 蘇葉, 蘇梗三个部分. 蘇子降氣平喘, 蘇葉發表散寒, 蘇梗行氣寬中. 施老以香附入血分而散瘀, 以蘇梗走氣分而散滯. 二藥參合, 行氣活血, 理氣消脹甚妙.
자소는 藥으로 쓸 때, 蘇子, 蘇葉, 蘇梗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소자는 降氣平喘, 소엽은 發表散寒, 소경은 行氣寬中한다. 施今墨선생이 말하기를 향부자는 入血分하여 散瘀, 소경은 氣分에 作用하여 散滯 작용을 하니, 合하여 行氣活血, 理氣消脹의 妙가 있다고 하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59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6. 해백(薤白) + 과루(瓜蔞) (0) | 2024.12.29 |
---|---|
[新編 臨床藥對論_158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5. 청귤엽(靑橘葉) + 울금(鬱金) (0) | 2024.12.28 |
[新編 臨床藥對論_156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3. 지실(枳實) + 지각(枳殼) (0) | 2024.12.26 |
[新編 臨床藥對論_155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2. 지각(枳殼) + 울금(鬱金) (0) | 2024.12.25 |
[新編 臨床藥對論_154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 청피(靑皮) + 귤피(橘皮)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