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170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7. 고량강(高良薑) + 향부(香附)

한의사 강세황 2025. 1. 10. 01:51

17. 고량강(高良薑) + 향부(香附)

(좌) 고량강 (우) 향부

1) 單味功用

高良薑又叫良薑. 味辛, 性熱. 入脾, 胃經. 本品辛散之極, 故能行氣止痛, 温胃散寒, 溫中止嘔, 用于治療胃脘寒痛, 凡胃, 十二指腸潰瘍病, 慢性胃炎等表現爲胃脘疼痛, 嘔吐清涎, 喜溫喜按者, 均可選用, 還可治療食積不消, 絞痛殆甚, 惡心嘔吐, 胃寒呃逆, 噎膈反胃等症.

香附().

 

2) 伍用功能

香附辛散苦降, 藥性緩和, 爲理氣之良藥. 能通行三焦, 疏肝解鬱, 善行血中之氣而理氣活血, 調經止痛; 高良薑辛辣芳香, 溫熱行散, 功專溫胃散寒, 行氣止痛, 健胃消食. 二藥伍用, 相得益彰, 溫中散寒, 理氣止痛甚效.

향부자는 辛散苦降, 藥性緩和하여 理氣良藥이다. 능히 通行三焦, 疏肝解鬱하고 血中之氣善行시키어 理氣活血, 調經止痛한다. 고량강은 辛辣芳香, 溫熱行散하여 溫胃散寒, 行氣止痛, 健胃消食하는 효과로 胃寒疼痛을 다스리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配用하면 相互利得이 되어 溫中散寒, 理氣止痛의 효과가 크다.

 

3) 主治

(1) 肝鬱氣滯, 胃寒脘痛, 胸悶不舒, 喜溫喜按等症;

肝鬱氣滯로 인한 胃寒脘痛, 胸悶不舒, 喜溫喜按 등의 증상

 

(2) 慢性胃炎, 胃潰瘍, 十二指腸球部潰瘍, 屬于胃寒氣滯者均可使用.

慢性胃炎, 胃潰瘍, 十二指腸潰瘍寒凝氣滯에 속한 에게 응용

 

4) 商用量

高良薑 6~10.

香附 6~10.

고량강 6~10g, 향부자 6~10g

 

5) 經驗

高良薑, 香附伍用, 謂之良附丸, 出自良方集腋. 治心口一点痛, 乃胃脘有滯或有蟲, 多因惱怒及受寒而起, 遂致終身不瘥. ·孫一奎以高良薑, 香附各等分, 名曰立應散. 每服6, 治寒痛氣痛腹痛皆效. 筆者体会, 二藥相合, 善治胃脘疼痛. 凡屬寒凝氣滯者, 均有良效. 二者取舍多少, 應隨證化裁之. 寒甚者多取良薑, 少用香附; 反之, 以氣滯爲主者, 則重用香附, 少取良薑; 寒凝氣滯等同者, 二者各半.

고량강과 향부자의 配俉良附丸이다. <良方集腋>에서 나왔다. 胃脘有滯 或有蟲하여 하는 心口一点痛, 惱怒受寒하여 하는 全身症狀한다. 明代 孫一奎는 고량강, 향부를 各等分하여 立應散이라 하였다. 매번 6g씩 복용하며 寒痛氣痛腹痛에 모두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필자의 견해로는 두 약을 하면 寒凝氣滯에 속한 胃脘疼痛善治한다. 증상에 따라 用量加減하는데 하면 고량강을 많이 향부자를 적게, 반대로 氣滯이면 향부자를 重用하고 고량강을 少量으로 寒凝氣滯가 비슷하면 各半하여 사용한다.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