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연호색(延胡索) + 천련자(川楝子)
1) 單味功用
延胡索又叫元胡索. 味辛, 苦, 性温. 入心, 肝, 脾經. 本品辛散温通, 旣入血分, 又入氣分, 旣能行血中之氣, 又能行氣中之血, 專于活血散瘀, 利氣止痛, 善治一身上下諸痛, 症屬氣滯血瘀者, 如脘腹脇痛, 胸悶胸痛, 婦女經閉, 痛經, 腹中腫塊, 產後腹痛, 跌打損傷, 疝氣腹痛等症.
川楝子又叫金鈴子, 苦楝子. 味苦, 性寒. 入肝, 胃, 小腸, 膀胱經. 本品苦能勝濕, 寒可泄熱, 它旣能疏肝泄熱, 解鬱止痛, 用于治療肝鬱氣滯, 肝膽火旺所引起的兩脇脹痛, 悶痛, 脘腹疼痛, 以及疝氣疼痛, 甚則痛引腰腹, 又能殺蟲, 行氣止痛, 用于治療腸道寄生蟲病引起的腹痛等症.
2) 伍用功能
川楝子苦寒降瀉, 清肝火, 除濕熱, 止疼痛; 延胡索辛散温通, 活血散瘀, 理氣止痛. 二藥伍用, 相得益彰, 淸熱除濕, 行氣活血, 理氣止痛甚效.
천련자는 苦寒降瀉하고 氣分에 入하여 淸肝火, 除濕熱, 止疼痛한다. 연호색은 辛散温通하고 血分에 入하여 活血散瘀, 理氣止痛한다. 配用하면 一氣一血로 서로 도와 淸瀉肝火, 淸熱除濕, 行氣活血, 理氣止痛, 調經의 效가 매우 강하다.
3) 主治
(1) 肝鬱氣滯, 肝膽火旺, 心, 胸, 腹, 脇諸痛;
肝鬱氣滯, 肝膽火旺으로 인한 心, 胸, 腹, 脇 諸痛
(2) 疝氣疼痛;
疝氣疼痛
(3) 婦女月經不調, 經行腹痛等症;
婦女月經不調, 經行腹痛 등의 증상
(4) 胃, 十二指腸潰瘍;
胃十二指腸潰瘍
(5) 胃腸炎;
胃腸炎
(6) 肝炎, 膽囊炎, 膽管炎;
肝炎, 膽囊炎, 膽管炎
(7) 心絞痛.
心絞痛
4) 商用量
延胡索 6~10克.
川楝子 6~10克.
연호색 6~10g, 천련자 6~10g
5) 經驗
川楝子, 延胡索伍用, 名曰金鈴子散. 出自《活法機要》. 治熱厥心痛, 或發或止, 久不愈者. 近代醫者用于治療肝鬱氣滯, 氣鬱化火所引起的胸腹脇肋疼痛, 或痛經, 疝氣痛, 時發時止, 食熱物則疼痛增劇, 舌紅苔黃, 脈弦或數. 我们体会, 它的治療範圍很广, 不論肝, 膽, 脾, 胃, 心, 腹疾患, 還是婦女痛經, 以及疝氣疼痛等症, 凡屬氣滯血瘀, 兼見熱象者, 用之均宜.
천련자와 연호색의 配俉는 金鈴子散이다. <活法機要>에서 나왔다. 熱厥心痛, 或發或止, 久不愈를 治한다. 근대의 醫學者들은 肝鬱氣滯, 氣鬱化火로 胸腹脇肋疼痛, 或痛經, 疝氣痛, 時發時止, 食熱物則疼痛增强, 舌紅苔黃, 脈弦或數에 주로 이용하였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그 응용범위가 광범위하다. 肝, 膽, 脾, 胃, 心, 腹 疾患 이외에 婦女痛經, 疝氣疼痛 등의 증상이 氣滯血鬱에 속하거나 熱象을 겸할 때 應用하면 효과가 좋다.
Ⓒ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71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8. 내복자(萊菔子) + 내복영(萊菔纓) (0) | 2025.01.11 |
---|---|
[新編 臨床藥對論_170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7. 고량강(高良薑) + 향부(香附) (0) | 2025.01.10 |
[新編 臨床藥對論_168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5. 향부(香附) + 오약(烏藥) (0) | 2025.01.08 |
[新編 臨床藥對論_167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4. 과루(瓜蔞) + 지실(枳實) (0) | 2025.01.06 |
[新編 臨床藥對論_166_XIV. 理氣解鬱行滯消脹類] 13. 사인(砂仁) + 백두구(白豆蔲)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