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49_V. 止汗類] 5. 황기(黃芪) + 부소맥(浮小麥)

한의사 강세황 2024. 9. 10. 02:46

5. 황기(黃芪) + 부소맥(浮小麥)

(좌) 황기 (우) 부소맥

1) 單味功用

黃芪().

浮小麥().

 

2) 伍用功能

黃芪補氣升陽, 固表止汗, 利水消腫; 浮小麥止汗. 黃芪甘温補中, 升陽補氣, 實腠理固表止汗; 浮小麥甘凉益氣, 清熱除煩,, 養心退熱, 止汗. 二藥伍用, 相得益彰, 益氣清熱, 固表實腠理而止汗.

황기는 補氣升陽, 固表止汗, 利水消腫하고, 부소맥은 養心益氣, 淸熱除煩止汗한다. 황기는 甘溫補中, 升陽補氣하여 實腠理固表止汗하고, 부소맥은 甘冷益氣하여 淸熱除煩, 養心退熱, 止汗한다. 合用하면 養心固衛하여 止汗하는 효과로 心肺兩虛로 인한 自汗, 盜汗症을 치료한다.

 

3) 主治

表虛自汗諸症.

表虛自汗諸症

 

4) 商用量

黃芪 10~15.

浮小麥 10~30.

황기 10~15g, 부소맥 10~30g

 

5) 經驗

黃芪, 浮小麥與黃芪, 牡蠣伍用均可止汗. 但各有其不同機理, 黃芪與浮小麥伍用, 系養心固衛以止汗. 汗爲心液, 汗出過多, 每易影響心氣, 宜黃芪, 浮小麥; 黃芪與牡蠣伍用, 系斂陰固衛以止汗. 盖衛氣虛不能外固, 營陰虛不能內守, 宜用黃芪, 牡蠣.

若浮小麥暫缺之時, 施老經驗, 可以小麥麩或糠皮代之, 療效亦佳.

황기와 부소맥, 황기와 모려는 止汗하는 효과는 같지만 그 이치는 다르다. 황기와 부소맥은 養心固衛하여 止汗한다. 心液으로 汗出過度하면 쉽게 心氣에 영향을 미치니 이 때는 마땅히 황기와 부소맥이다. 황기와 모려의 配俉斂陰固衛하여 止汗한다. 衛氣虛不能外固, 營陰虛不能內守할 때는 마땅히 황기, 모려이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