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백전(白前) + 전호(前胡)
1) 單味功用
白前味辛, 甘, 性微溫. 入肺經. 本品長于瀉肺降氣, 益氣降痰自消, 咳嗽自止, 故爲肺家咳嗽之要藥, 用于治療肺氣壅實, 痰多咳嗽, 胸膈逆滿等症, 不論屬寒, 屬熱, 均可使用.
前胡味苦, 辛, 性微寒. 入肺經. 本品辛散苦降, 旣能宣肺散風清熱, 治風熱感冒, 咳嗽痰多, 氣急等症, 又能降氣化痰, 治肺熱咳嗽, 痰黃稠粘, 胸悶不舒, 嘔逆等症.
2) 伍用功能
白前淸肺降氣, 祛痰止咳; 前胡宣散風熱, 降氣消痰. 肺主氣, 外合皮毛. 肺氣宣宣, 肺氣宣降. 若外感風寒, 風熱, 或濁痰蘊肺, 均可引起肺的淸肅功能失調, 以致胸悶氣逆, 咳嗽多痰等症. 故以白前淸肅肺氣, 降氣化痰, 用前胡宣散風熱, 下氣化痰. 白前在重降氣, 前胡偏于宣肺. 二藥伍用, 一宣一降, 肺之淸肅功能恢復正常, 故痰可去, 嗽可寧.
백전은 淸肺降氣, 祛痰止咳한다. 痰實氣逆으로 인한 咳喘에 강하다. 전호는 宣散風熱, 降氣消痰하는 작용으로 外感風熱咳嗽에 활용한다.
肺는 主氣하고 外合皮毛한다. 폐의 淸肅기능이 失調되면 胸悶氣逆, 咳嗽多痰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故로 白前의 淸肅肺氣, 降氣化痰과 전호의 宣散風熱, 下氣化痰을 이용하는 것이다. 백전은 降氣에 강하고, 전호는 宣肺에 偏重된다. 合用하면 一宣一降하여 폐의 效能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니 痰이 없어지고, 咳嗽가 멈춘다.
3) 主治
咳嗽初起, 肺氣不宣, 淸肅之令不行, 而致肺氣上逆, 咳嗽吐痰, 痰吐不爽, 咽痒, 胸悶, 氣促等症.
咳嗽初期, 肺氣不宣, 淸肅不行하여 發하는 肺氣上逆, 咳嗽吐痰, 吐痰不爽, 咽痒, 胸悶, 氣促 등의 증상
4) 商用量
白前 6~10克.
前胡 6~10克.
백전 6~10g, 전호 6~10g
5) 經驗
施老臨證處方時, 前胡, 白前均取蜜炙之品, 以增潤肺止咳之功.
施老治療咳嗽氣喘有四法: 一曰宣, 二曰降, 三曰潤, 四曰收.
宣法 : 咳嗽初起, 表邪未罢, 肺氣不宣, 證見咳而咽痒, 自天較甚, 痰少色白, 予以宣肺止咳. 前胡, 白前伍用, 即是比意.
降法: 表邪已解, 咳嗽未愈, 甚則肺脹痰多, 氣急喘滿, 氣逆上衝, 當用降法. 方用葶藶大棗瀉肺湯, 三子養親湯, 蘇子降氣湯.
潤法: 凡于咳無痰, 或久咳不止, 或陣咳痰少等肺燥之象應予潤法. 方選保和湯(天冬, 麥冬, 知母, 貝母, 百合, 阿膠, 桔梗, 五味子, 薄荷), 瓜蔞貝母散(瓜蔞, 貝母, 天花粉, 茯苓, 桔梗, 橘紅)等.
收法: 凡久咳之後, 咳而無力, 或單聲咳嗽, 伴有短氣等症, 或咳喘已愈, 予以善後處理者, 宜用收法. 方取貝母散(貝母, 知母, 桑白皮, 五味子, 款冬花, 杏仁)百合固金湯(生地, 熟地, 百合, 貝母, 當歸, 白芍, 元參, 桔梗, 麥冬, 甘草)等, 還可加入冬蟲夏草, 南沙參, 北沙參, 白果, 生牡蠣等藥.
以上四法, 爲四个治療阶段, 前後次序不可倒置, 但可合法使用, 如宣降, 潤收合用等等.
施今墨선생은 임상처방시 전호, 백전을 蜂蜜과 같이 灸한 후에 사용하여 潤肺止咳의 功을 증강시켰다. 또한 咳嗽氣喘 치료에 네 가지 법칙을 가지고 있었으니 一은 宣이고, 二는 降강이고, 三은 潤이고, 四는 收이다.
•宣法 : 咳嗽初期에 表邪가 아직 있고 肺氣가 不宣하여 咳嗽, 咽痒, 痰少色白의 증상이 보이면 宣肺止咳해야 한다. 전호, 백전을 配用하는 법이 바로 이것이다.
•降法 : 表邪가 이미 解消되고 咳嗽만 있는 경우, 甚하면 肺脹痰多, 氣急喘滿, 氣逆上衝할 때에는 降法을 써야 한다. 葶藶大棗瀉肺湯, 三子養親湯, 蘇子降氣湯을 이용한다.
•潤法 : 乾咳無痰이 오래되고 그치지 않을 경우, 혹은 陳咳痰少등의 페燥증상이 있는 경우 潤法을 사용한다. 保和湯(천문동, 맥문동, 지모, 패모, 백합, 아교, 길경, 오미자, 박하), 瓜蔞貝母散(과루, 패모, 천화분, 복령, 길경, 귤홍)등을 선택한다.
•收法 : 久咳후에 咳嗽無力, 혹은 單聲咳嗽, 短氣등의 증상을 兼할 때, 혹은 咳喘은 나았으나 豫後가 좋지 않을 때 收法을 쓰게 된다. 貝母散(패모, 지모, 상백피, 오미자, 관동화, 행인), 百合固金湯(생지, 숙지, 백합, 패모, 당귀, 백작, 원삼, 길경, 맥문동, 감초)등을 이용한다. 동충하초, 사삼, 백과, 모려등을 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네가지 법칙은 네가지 치료단계도 되니 前後순서를 倒置해서, 혹은 合用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宣降, 潤收등으로 合用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78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1. 반하(半夏) + 귤피(橘皮) (0) | 2024.10.09 |
---|---|
[新編 臨床藥對論_77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0. 백전(白前) + 백부(百部) (0) | 2024.10.08 |
[新編 臨床藥對論_75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8. 자완(紫菀) + 귤홍(橘紅) (0) | 2024.10.06 |
[新編 臨床藥對論_74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7. 귤홍(橘紅) + 귤락(橘絡) (0) | 2024.10.05 |
[新編 臨床藥對論_73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6. 천축황(天竺黃) + 반하국(半夏麯) (0)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