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백전(白前) + 백부(百部)
1) 單味功用
白前(略).
百部味甘, 苦, 性微溫. 入肺經. 本品甘潤苦降, 温而不燥, 善于潤肺止咳, 對寒熱咳嗽, 新久咳嗽均宜使用, 尤爲善治肺勞咳嗽, 小兒頓咳(百日咳)等症. 另外, 又能殺蟲滅蝨, 用于治療蟯蟲病, 頭蝨, 體蝨等.
2) 伍用功能
白前淸肺降氣, 祛痰止嗽; 百部潤肺止咳, 滅蝨殺蟲. 白前突出一个降字; 伯父側重一个潤字. 二藥伍用, 一潤一降, 降潤相合, 故祛痰止咳甚效.
백전은 淸肺降氣, 祛痰止咳의 효과로 肺氣壅實한 痰咳를 전문적으로 치료한다. 백부는 溫潤苦降하는 성질로 勞咳를 치료하며 殺蟲의 효과도 있다. 백전은 “降”에 强하고 백부는 “潤”에 偏重된다. 合用하면 一潤一降으로 降潤相合하여 祛痰止咳의 효과가 아주 좋다. 外感咳嗽가 오래도록 낫지 않는 증상에 사용한다.
3) 主治
(1) 感冒日久, 咽已不痒, 但肺氣肅降失常, 氣仍上逆, 久咳不已, 胸悶氣喘等症;
感冒日久, 咽已不痒한데, 단지 肺氣肅降失常, 氣上逆하여 發하는 久咳不已, 胸悶氣喘 등의 증상
(2) 肺癆(類似肺結核)咳嗽等症.
肺癆(폐결핵)咳嗽 등의 증상
4) 商用量
白前 6~10克.
百部 6~10克.
백전 6~10g, 백부 6~10g
5) 經驗
百部, 白前伍用, 出自《醫學心悟》止嗽散. 治外感咳嗽, 日久不止, 痰多不爽, 或微惡風, 頭痛, 舌苔白, 脈浮緩.
百部, 白前治咳嗽時, 施老仍取蜜炙之品.
治療咳嗽, 當辨新患, 還是久罹, 新感不久, 咳嗽初起, 宜宣肺止咳, 取前胡, 白前伍用治之; 咳嗽已久, 咽已不痒, 肺氣不降, 氣逆作咳, 宜白前, 百部爲治, 且不可等同視之.
施老習選止嗽散治療咳嗽, 不論新感, 久病, 均宜使用, 關鍵于隨症增損, 方可获取良效矣.
백부와 백전의 配俉는 <醫學心悟>의 止嗽散에서 나왔다. 外感咳嗽가 日久不止하고 痰多不爽, 혹은 微惡風, 頭痛, 舌苔白, 脈浮緩하는데 이용한다.
백부와 백전으로 咳嗽를 치료할 때 施今墨선생은 密灸해서 사용하였다.
咳嗽를 치료하는데 新患인가 久羅인가의 구분이 중요하다. 咳嗽初期에는 宣肺止咳하는 전호, 백전을 사용하여 치료하고 해수가 이미 오래되어서 咽已不痒, 肺氣不降, 氣逆作咳할 때에는 마땅히 백전, 백부로써 치료한다.
施今墨선생은 항상 止咳散으로 해수를 치료하였는데 新病, 久病의 구별이 없었다. 다만 隨症加減하여서 方劑가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79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2. 행인(杏仁) + 천패모(川貝母) (0) | 2024.10.10 |
---|---|
[新編 臨床藥對論_78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1. 반하(半夏) + 귤피(橘皮) (0) | 2024.10.09 |
[新編 臨床藥對論_76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9. 백전(白前) + 전호(前胡) (0) | 2024.10.07 |
[新編 臨床藥對論_75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8. 자완(紫菀) + 귤홍(橘紅) (0) | 2024.10.06 |
[新編 臨床藥對論_74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7. 귤홍(橘紅) + 귤락(橘絡) (0)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