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113_X. 醒脾開胃類] 5. 후박화(厚朴花) + 대대화(代代花)

한의사 강세황 2024. 11. 13. 01:16

5. 후박화(厚朴花) + 대대화(代代花)

1) 單味功用

厚朴花味苦, , 性温. 本品氣味辛香, 具有生發之氣, 能寬胸理膈, 化濕開鬱, 降逆理氣, 用于治療肝胃氣滯, 胸膈?, 不思飮食, 惡心嘔吐, 胃脘疼痛等症.

代代花又名玳玳花. 味甘, 微苦. 本品香氣濃鬱, 具有生發之氣, 能疏肝和胃, 理氣寬胸, 開胃止嘔, 用于治療胸中痞悶, 脘腹脹痛, 嘔吐, 少食等症.

 

2) 伍用功能

厚朴花利濕寬中, 化濕解鬱, 健胃止痛; 代代花理氣寬胸, 疏肝和胃, 開胃止嘔. 厚朴花爲木蘭科植物厚朴或凹葉厚朴的花蕾, 代代花爲芸香科植物代代花的花. 二藥伍用, 相互促進, 香氣濃鬱, 生發之性倍增, 芳香化濁, 理氣寬中, 醒脾開胃, 增進食慾之力益彰.

후박화는 辛香性溫하여 利濕寬中, 化濕解鬱, 健脾止痛한다. 대대화는 甘苦氣香하여 理氣寬胸, 疏肝和胃, 開胃止嘔한다. 두 약을 配用하면 相互促進하고 香氣濃鬱되어 生發하는 성질이 가 되어서 芳香化濁, 理氣寬中, 醒脾開胃, 增進食慾하는 능력이 강해진다.

 

3) 主治

肝鬱氣滯, 脾胃不和, 胸脇脹痛, 胃脘脹滿, 疼痛, 惡心嘔吐, 不思飮食等症.

肝鬱氣滯, 脾胃不和로 인한 胸脇脹痛, 胃脘脹滿, 疼痛, 惡心嘔吐, 不思飮食 등의 증상

 

4) 商用量

厚朴花 3~6.

代代花 3~6.

後下煎服.

후박화 3~6g, 대대화 3~6g

 

5) 經驗

厚朴花爲木蘭科植物厚朴或凹葉厚朴的花蕾. 代代花爲云香科植物代代花的花蕾. 前者爲悰紅色. 後者爲黃白色. 二者均是香氣濃鬱之品, 具有生發之性, 相互爲用, 芳香化濁, 理氣寬胸, 醒脾開胃, 增進食欲的力量增强. 施老生平善治胃腸病, 每遇臨證處方之際, 常常運用厚朴花, 代代花, 或取攻瑰花, 代代花, 以起畵龍點睛之妙用.

후박화는 후박의 꽃 봉우리이고 대대화의 지각나무의 꽃 봉우리이다. 前者棕紅色이고 後者黃白色이다. 두 약물 모두 香氣濃鬱하고 生發하는 성질이 있다. 施今墨선생은 위장병치료에 뛰어났는데 臨床시 항상 후박화, 대대화 또는 玫瑰花(장미), 대대화를 이용하여 畵龍點睛하는 를 발휘하였다. 두 용법 모두 肝鬱氣滯, 脾胃不和諸症에 이용하는 방법이지만 前者氣滯이고 後者血瘀症할 때 이용한다.

모든 花藥을 이용할 때는 마땅히 後下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