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新編 臨床藥對論_114_X. 醒脾開胃類] 6. 매괴화(玫瑰花) + 대대화(代代花)

한의사 강세황 2024. 11. 14. 18:57

6. 매괴화(玫瑰花) + 대대화(代代花)

1) 單味功用

玫瑰花爲蒿薇科直立灌木玫瑰的花蕾. 味甘, 微苦, 性温. 入肝, 脾二經. 本品色紫, 鮮艷, 香氣濃鬱. 其氣淸而不濁, 其性和而不猛, 柔肝醒胃, 行氣活血, 宣通窒滯而絶無辛溫剛燥之弊, 實屬理氣解鬱, 和血散瘀之良藥. 用于治療肝胃氣痛, 新久風痺, 吐血咯血, 月經不調, 赤白帶下, 痢疾, 乳癰, 腫毒等症.

代代花().

매괴화는 장미를 가리키는 말로써 味甘, 味苦하고 性溫하며 , 脾經에 작용하여 理氣解鬱, 和血散瘀한다. 대대화는 理氣寬胸, 疏肝和胃, 開胃止嘔한다.

 

2) 伍用功能

玫瑰花理氣解鬱, 和血散瘀; 代代花理氣寬胸, 疏肝和胃, 開胃止嘔. 玫瑰花偏走血分, 以和血散瘀爲主; 代代花偏入氣分, 以理氣散結爲要. 二藥伍用, 一氣一血, 氣血雙調, 芳香化濁, 醒脾開胃, 理氣止痛的力量增强.

매괴화는 血分하여 和血散瘀하는 것이 가 되고 대대화는 偏入氣分하여 理氣散結하는 것이 요점이다. 두 약을 配用하면 一氣一血, 氣血雙調 작용으로 芳香化濁, 醒脾開胃, 理氣止痛力量이 증강된다.

 

3) 主治

(1) 肝胃不和, 氣機失調, 胸悶不舒, 心下痞滿, 兩脇脹悶, 疼痛, 痛引胃脘, 納呆, 不思飮食等症;

脾胃不和, 氣機失調로 인한 胸悶不舒, 心下痞滿, 兩脇脹悶,疼痛, 痛引胃脘, 不思飮食 등의 증상

 

(2) 婦女月經不調, 赤白帶下等症.

婦女月經不調, 赤白帶下 등의 증상

 

4) 商用量

玫瑰花 3~6.

代代花 3~6.

後下煎服.

대대화 3~6g, 매괴화 3~6g

 

5) 經驗

厚朴花, 代代花與玫瑰花, 代代花, 均可治療肝鬱氣滯, 脾胃不和諸症, 前者以氣滯爲主 後者兼見血瘀, 用時宜審.

施老經驗, 諸花入藥者, 均宜後下. 否則, 有效成分即被破环, 以致影響治療效果也.

후박화와 대대화, 매괴화와 대대화는 모두 肝鬱氣滯, 脾胃不和 諸症을 다스린다. 前者氣滯主症이 되고, 後者하여 瘀血症을 보이는데 이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꽃잎을 약재로 이용할 경우에는 다른 약재보다 나중에 넣어 끓이는 後下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유효 성분이 파괴되어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