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반하곡(半夏麯) + 침향곡(沈香麯)
1) 單味功用
半夏麯(略).
沈香麯由沈香, 木香, 厚朴, 砂仁, 豆蔲, 鬱金, 靑皮, 枳殼, 穀芽, 麥芽, 白芷, 防風, 葛根, 前胡, 桔梗, 陳皮, 烏藥, 檳榔, 藿香, 檀香, 羌活, 甘草等藥組成, 諸藥共硏細末, 用麵粉20~25%打糊, 與藥粉充分拌攪和勻, 用模型壓成小塊備用.
沈香麯能疏表化滯, 舒肝和胃, 用于治療肝胃氣滯, 胸悶脘脹, 胸脇作痛, 嘔吐呑酸等症.
2) 伍用功能
半夏麯和胃止嘔, 燥濕化痰, 消痞散結, 下氣寬中, 沈香麯疏肝和胃, 行氣消脹, 化滯, 止痛. 二藥伍用, 疏肝和胃, 健脾燥濕, 行氣止痛, 化滯消脹益彰.
반하곡은 和胃止嘔, 燥濕化痰, 消痞散結, 下氣寬中한다. 침향곡은 침향, 후박, 사인, 백두구, 울금, 청피, 지각, 곡아, 맥아, 백지, 방풍, 갈근, 전호, 길경, 진피, 오약, 빈랑, 곽향, 감초 등의 약물로 조성되는데 細末후 밀가루와 섞어 만들어진다. 疏肝和胃, 行氣消脹, 化滯消脹하는 효능을 발휘한다. 配用하면 疏肝和胃, 健脾燥濕, 行氣止痛, 化滯消脹이 이로워진다.
3) 主治
脾胃不健, 消化不良, 氣機不暢, 脘腹脹痛等症.
脾胃不健으로 인한 消化不良, 氣機不暢, 脘腹脹痛 등의 증상
4) 商用量
半夏麯 6~10克.
沈香麯 6~10克.
同布包煎.
반하곡 6~10g, 침향곡 6~10g
5) 經驗
半夏麯, 建神麯與半夏麯, 沈香麯均可治療脾胃虛弱, 健運無權, 消化不良等症. 但前者健脾和中力勝; 後者健脾消脹力强, 用時宜審.
반하곡, 신곡과 반하곡, 침향곡은 脾胃虛弱, 健運無權, 消化不良 등의 증상을 治한다. 단지 前者는 健脾和中 능력이 강하고, 後者는 健脾消脹이 강하니 구별하여 이용하여야 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19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5. 지실(枳實) + 백출(白朮) (0) | 2024.11.19 |
---|---|
[新編 臨床藥對論_118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4. 백출(白朮) + 계내금(雞內金) (0) | 2024.11.18 |
[新編 臨床藥對論_116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2. 반하곡(半夏麯) + 건신곡(建神麯) (0) | 2024.11.16 |
[新編 臨床藥對論_115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 창출(蒼朮) + 백출(白朮) (0) | 2024.11.15 |
[新編 臨床藥對論_114_X. 醒脾開胃類] 6. 매괴화(玫瑰花) + 대대화(代代花)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