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마보(馬寶) + 침향(沈香)
1) 單味功用
馬寶爲馬科動物馬的胃腸道或膀胱中的結石. 味甘, 鹹, 性平. 入心, 肝經. 本品旣能淸肝鎭驚, 以治高熱動風, 癲狂等症, 又善于化痰, 用于治療咳嗽痰多等症.
沈香爲沈香樹含樹脂的木材. 本品氣香, 置于水中則下沉而得名. 味辛, 苦, 性溫. 入脾, 胃, 腎經. 沈香辛苦芳香, 功專行散, 能醒脾開胃, 祛濕化濁, 行氣止痛, 用于治療脾胃虛寒, 呃逆, 嘔吐等症, 又因本品質體沉重, 落水不浮, 性專下降, 可直達下焦, 入于腎經, 而引上逆之氣歸之于下, 善治虛喘氣逆等症. 另外, 還能溫中散寒, 理氣止痛, 用于治療氣滯胸腹悶, 疼痛等症.
마보는 말의 胃腸管이나 膀胱중의 결석이다. 淸肝鎭靜, 化痰, 解毒, 平上逆之氣한다.
침향은 降氣平喘, 溫腎助陽, 溫中止痛한다.
2) 伍用功能
馬寶淸肝鎭靜(驚), 化痰, 解毒, 平上逆之氣; 沉香降氣平喘, 溫腎助陽, 溫中止痛. 馬寶鎭靜平上逆之氣爲主; 沉香善于下降, 直達入腎, 能引逆上之氣歸于下爲要. 二藥伍用, 降逆之功倍增.
마보는 鎭靜平上逆之氣위주이고 침향은 下降하여 直達入腎, 引逆上之氣歸于下가 요점이다. 두 약을 配用하면 降逆의 效能이 배로 커진다.
3) 主治
(1) 呃逆諸症;
呃逆諸症
(2) 可試治食道癌諸症.
食道癌諸症에 사용가능
4) 商用量
馬寶 0.3~0.9克, 硏爲細末, 呑服.
沈香 1.5~3克. 入煎劑時應予後下爲宜, 以免有效成份的揮發而降低藥效. 硏爲細末呑服, 每次服0.6~0.9克.
마보 0.3~0.9g 硏細末 呑服, 침향 1.5~3g 硏細末 呑服
5) 經驗
根據施今墨先生的經驗, 臨床上習慣于馬寶, 沉香各等份, 硏爲細末, 每服0.9~1.5克, 白開水冲服, 日服二次.
施今墨선생의 경험에 의한 것으로 臨床에서는 마보와 침향을 各等分하여 硏細末 후에 0.9~1.5g씩 하루 두 번 溫水에 冲服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마보와 침향을 配用하면 胃氣上逆을 치료한다. 선복화대자석탕과 같이 이용하면 효과가 더욱 좋다. 식도암 치료시 施今墨선생은 항시 선복화, 대자석, 행인, 천초근, 우슬 등을 같이 이용하였으며, 더욱이 백화사설초, 등리근 등과 같이 이용하면 效果가 더욱 높아진다고 하였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32_XII. 瀉下通便類] 2. 현명분(玄明粉) + 과루(瓜蔞) (0) | 2024.12.02 |
---|---|
[新編 臨床藥對論_131_XII. 瀉下通便類] 1. 대황(大黃) + 망초(芒硝) (0) | 2024.12.01 |
[新編 臨床藥對論_129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5. 창출(蒼朮) + 백지마(白脂麻) (0) | 2024.11.29 |
[新編 臨床藥對論_128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4. 귤피(橘皮) + 죽여(竹茹) (0) | 2024.11.28 |
[新編 臨床藥對論_127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3. 정향(丁香) + 시체(柿蒂) (0)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