乾漆
건칠
味辛, 入足厥陰肝經.
건칠은 신미로 족궐음간경에 들어간다.
專通經脈, 善破瘕癥.
건칠은 오로지 경맥을 통하게 하며 잘 가징을 격파한다.
《金匱》大黃蟅蟲丸(方在大黃.)用之治虛勞腹滿, 內有乾血, 以其化堅癥而破乾血也.
금궤요략 대황자충환(처방은 대황에 있다)에 써 허로 복통, 안에 건혈이 있음을 치료해 단단한 장기를 변화하고 건조한 피를 깨준다.
乾漆辛烈之性, 善破瘀血, 其力甚捷.
건칠은 신미로 맹렬한 약성으로 잘 어혈을 격파하며 힘이 더욱 민첩하다.
而尤殺諸蟲, 肝氣遏抑, 血瘀蟲化者宜之.
더욱 여러 살충에 간기가 막히고 눌려 어혈의 벌레로 변화한데 건칠이 의당하다.
炒枯存性, 研細.
볶아 말려 성질을 보존해 건칠을 곱게 가루낸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장사약해(長沙藥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沙藥解_卷二_37] 69. 패장(敗醬) (0) | 2024.12.19 |
---|---|
[長沙藥解_卷二_36] 68. 홍람화(紅藍花) (0) | 2024.12.18 |
[長沙藥解_卷二_34] 66. 삭조(蒴藋) (0) | 2024.12.16 |
[長沙藥解_卷二_33] 65. 토과근(土瓜根) (0) | 2024.12.15 |
[長沙藥解_卷二_32] 64. 도인(桃仁)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