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목이탄(木耳炭) + 시병탄(柿餠炭)
2) 伍用功能
목이는 黑色이고 炒炭하면 血分으로 작용하여 益氣活血, 凉血止血한다. 시병은 다른 이름으로 乾柿, 柿花라 하는데 質潤하고 영양이 풍부하여 健脾潤燥, 澁腸止血의 효능을 지닌다. 炒黑하여 이용하는 뜻은 止血의 효능을 증강시키자는 것이다. 두 약을 합하면 모두 血分으로 작용하는 힘이 강해지므로 止血의 효과가 증대된다.
3) 主治
腸風下血
痔漏下血
4) 商用量
목이 10~30g, 시병 10~60g
5) 經驗
목이, 시병을 이용할 때 시금묵선생은 두 약 모두 炒黑해서 止血효과를 증강시켰다. 下血의 病程이 오래되면 中氣不足症이 兼하게 되니, 인삼 황기를 같이 이용하고 淸氣下陷症이 생기면 黑승마(升麻炭), 黑형계를 같이 이용한다.
Ⓒ 2025.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90_XVI. 寧心安神療失眠類_養神, 補心安眠] 2. 복신(茯神) + 맥동(麥冬) (0) | 2025.01.30 |
---|---|
[新編 臨床藥對論_189_XVI. 寧心安神療失眠類_養神, 補心安眠] 1. 복령(茯苓) + 복신(茯神) (0) | 2025.01.29 |
[新編 臨床藥對論_187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3. 해표초(海螵蛸) + 천초(茜草) (0) | 2025.01.27 |
[新編 臨床藥對論_186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2. 애엽(艾葉) + 향부(香附) (0) | 2025.01.26 |
[新編 臨床藥對論_185_XV. 活血化瘀止血止痛類] 11. 월계화(月季花) + 대대화(代代花)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