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대황(大黃) + 형개수(荊芥穗)
1) 單味功用
大黃(略).
荊芥穗(略).
2) 伍用功能
大黃苦寒, 其性重濁, 主沉降, 力猛善行, 爲攻下之要藥; 荊芥穗味辛芳香, 性温不燥, 氣質輕揚, 長于升散, 入手太陰足厥陰氣分, 其功用長于發表散邪, 祛經絡中之風熱. 大黃以降爲主, 荊芥穗以升爲要. 二藥伍用, 一升一降, 相互制約, 相互促進, 清升濁降, 共收淸熱通便之功.
대황은 苦寒하고 性重濁, 主沈降, 力猛善行하여 攻下의 要藥이다. 형개는 味辛芳香, 性溫不燥, 氣質輕揚, 長于升散, 入手太陰足厥陰氣分하여 發表散邪, 祛經絡中風熱을 治한다. 대황은 降위주, 형개는 升위주이다. 配用하면 一升一降으로 相互制約, 相互促進하여 淸升濁降, 淸熱通便의 效能을 발휘한다.
3) 主治
腹脹, 腹痛, 二便不通, 肛門腫痛等症.
腹脹, 腹痛, 二便不通, 肛門腫痛 등의 증상
眼腫疼痛諸症
4) 商用量
大黃 3~10克. 後下煎服.
荊芥穗 6~10克.
대황 3~10g 後下煎服, 형개 6~10g
5) 經驗
大黃, 荊芥伍用, 出自《赤水玄珠》倒換散. 方由大黃, 荊芥穗組成. 小便不通大黃減半, 大便不通荊芥穗減半, 二藥混合爲末, 每服10克. 治癃閉大小便不通, 少腹急痛, 肛門腫痛.
대황과 형개의 配俉는 <赤水玄珠>의 倒換散에서 나왔다. 大黃과 荊芥穗로 조성되어 있다. 小便不通시에는 대황을 반으로 줄이고, 大便不通시에는 형개를 반으로 줄인다. 合하여 粉末로 10g씩 복용한다. 癃閉大小便不通, 少腹急痛, 肛門腫痛을 治한다.
Ⓒ 2024. stork_river All Rights Reserved.
'의(醫)_아(我)_약(藥) > 약대(藥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編 臨床藥對論_135_XII. 瀉下通便類] 5. 잠사(蠶砂) + 조협자(皂莢子) (0) | 2024.12.05 |
---|---|
[新編 臨床藥對論_134_XII. 瀉下通便類] 4. 대황(大黃) + 육계(肉桂) (0) | 2024.12.04 |
[新編 臨床藥對論_132_XII. 瀉下通便類] 2. 현명분(玄明粉) + 과루(瓜蔞) (0) | 2024.12.02 |
[新編 臨床藥對論_131_XII. 瀉下通便類] 1. 대황(大黃) + 망초(芒硝) (0) | 2024.12.01 |
[新編 臨床藥對論_130_XI. 健脾和胃降逆止嘔類] 16. 마보(馬寶) + 침향(沈香) (0)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