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醫)_아(我)_약(藥)/약대(藥對) 207

[新編 臨床藥對論_78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1. 반하(半夏) + 귤피(橘皮)

11. 반하(半夏) + 귤피(橘皮)1) 單味功用 半夏(略). 橘皮(略). 2) 伍用功能 半夏燥濕化痰, 消痞散結. 健脾止嘔; 橘皮理氣健脾, 和胃化痰. 二者均入脾經, 兩藥參合, 相互促進, 故脾可健, 濕可去, 痰自化, 氣機通暢, 惡心嘔吐, 咳嗽自除. 반하는 燥濕化痰, 消痞散結, 健脾止嘔, 귤피는 理氣健脾, 和胃化痰한다. 두 약이 모두 脾經에 入하므로 合하면 相互促進하여 健脾, 祛濕하니 痰自化, 氣機通暢하여, 惡心嘔吐, 咳嗽가 스스로 없어진다. 담은 津液不化로 因한 것이고 氣機不運으로 結集되어 생긴 것이니, 氣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氣가 순조로우면 津液의 흐름도 따라서 순조로워지니 진피를 이용하는 이유이다. 또한 진피는 醒脾하는 작용으로 脾陽을 운행시키어 濕痰을 없애는 작용도 하니 脹滿을 없애고 嘔惡를 멈추게..

[新編 臨床藥對論_77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10. 백전(白前) + 백부(百部)

10. 백전(白前) + 백부(百部)1) 單味功用 白前(略). 百部味甘, 苦, 性微溫. 入肺經. 本品甘潤苦降, 温而不燥, 善于潤肺止咳, 對寒熱咳嗽, 新久咳嗽均宜使用, 尤爲善治肺勞咳嗽, 小兒頓咳(百日咳)等症. 另外, 又能殺蟲滅蝨, 用于治療蟯蟲病, 頭蝨, 體蝨等. 2) 伍用功能 白前淸肺降氣, 祛痰止嗽; 百部潤肺止咳, 滅蝨殺蟲. 白前突出一个降字; 伯父側重一个潤字. 二藥伍用, 一潤一降, 降潤相合, 故祛痰止咳甚效. 백전은 淸肺降氣, 祛痰止咳의 효과로 肺氣壅實한 痰咳를 전문적으로 치료한다. 백부는 溫潤苦降하는 성질로 勞咳를 치료하며 殺蟲의 효과도 있다. 백전은 “降”에 强하고 백부는 “潤”에 偏重된다. 合用하면 一潤一降으로 降潤相合하여 祛痰止咳의 효과가 아주 좋다. 外感咳嗽가 오래도록 낫지 않는 증상에 사용한다. 3..

[新編 臨床藥對論_76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9. 백전(白前) + 전호(前胡)

9. 백전(白前) + 전호(前胡)1) 單味功用 白前味辛, 甘, 性微溫. 入肺經. 本品長于瀉肺降氣, 益氣降痰自消, 咳嗽自止, 故爲肺家咳嗽之要藥, 用于治療肺氣壅實, 痰多咳嗽, 胸膈逆滿等症, 不論屬寒, 屬熱, 均可使用. 前胡味苦, 辛, 性微寒. 入肺經. 本品辛散苦降, 旣能宣肺散風清熱, 治風熱感冒, 咳嗽痰多, 氣急等症, 又能降氣化痰, 治肺熱咳嗽, 痰黃稠粘, 胸悶不舒, 嘔逆等症. 2) 伍用功能 白前淸肺降氣, 祛痰止咳; 前胡宣散風熱, 降氣消痰. 肺主氣, 外合皮毛. 肺氣宣宣, 肺氣宣降. 若外感風寒, 風熱, 或濁痰蘊肺, 均可引起肺的淸肅功能失調, 以致胸悶氣逆, 咳嗽多痰等症. 故以白前淸肅肺氣, 降氣化痰, 用前胡宣散風熱, 下氣化痰. 白前在重降氣, 前胡偏于宣肺. 二藥伍用, 一宣一降, 肺之淸肅功能恢復正常, 故痰可去, 嗽可寧. ..

[新編 臨床藥對論_75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8. 자완(紫菀) + 귤홍(橘紅)

8. 자완(紫菀) + 귤홍(橘紅)1) 單味功用 紫菀味苦, 甘, 微溫. 入肺經. 本品性温而不熱, 質潤而不燥, 色紫入走血分, 行于上能潤肺下氣, 化痰止咳, 瀉肺熱而止血, 用于治療咳嗽氣逆, 咯痰不爽, 以及肺虛久嗽, 虛勞咳嗽, 痰中帶血等症; 入于下能使氣化及于膀胱而利小便, 用于治療小便不利, 以及尿血等症. 另外, 還能治療驚悸及小兒驚癎諸症; 橘紅(略). 2) 伍用功能 橘紅散寒理氣, 燥濕化痰, 消食寬中; 紫菀潤肺下氣, 化痰止咳. 橘紅偏于燥濕化痰, 紫菀側重潤肺祛痰. 二藥伍用, 一燥一潤, 一化一祛, 痰可去, 嗽可寧. 귤홍은 귤피의 바깥부분 즉 황색부분이다.(안쪽의 하얀 부위는 귤락이라고 한다.) 散寒利氣, 燥濕化痰, 消食寬中의 작용을 하며 성격이 비교적 燥烈하고 화담효과는 진피보다 강하다. 자원은 淸泄肺熱, 潤肺下氣, 化痰..

[新編 臨床藥對論_74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7. 귤홍(橘紅) + 귤락(橘絡)

7. 귤홍(橘紅) + 귤락(橘絡)1) 單味功用 橘紅即橘皮的外層色紅部分, 或柚類果實的外層果皮. 味苦, 辛, 性温. 本品性較燥烈, 長于燥濕化痰, 亦能理氣健脾, 還有發表之意, 用于治療風寒咳嗽, 喉痒痰多, 胸膈脹悶, 消化不良, 噯氣, 惡心, 嘔吐清水等症. 橘絡爲橘子的果皮與內果皮之間的筋膜. 味苦, 性平. 入肝, 肺經. 本品長于行氣化痰, 通絡止痛, 用于治療痰滯經絡所引起的咳嗽不已, 胸脇作痛等症. 귤홍은 귤의 外皮부분으로 色이 있는 부분을 말한다. 귤락은 外皮와 內皮 사이의 筋膜을 가르키는 것이다.  2) 伍用功能 橘紅燥濕化痰, 理氣健脾; 橘絡行氣化痰, 通絡止痛. 橘紅善走肌表, 以下氣消食爲主; 橘絡善走經絡, 以順氣活血, 通絡止痛爲要. 二藥伍用, 理氣寬胸, 下氣化痰, 通絡止痛益彰. 效能을 살펴보면 귤홍은 燥濕化痰, 理氣..

[新編 臨床藥對論_73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6. 천축황(天竺黃) + 반하국(半夏麯)

6. 천축황(天竺黃) + 반하국(半夏麯)1) 單味功用 天竺黃系竹子受病後産生的分泌物凝結而成(即精氣結成). 味甘, 性寒. 入心, 肝, 膽經. 本品味甘氣寒 其粉形如竹節, 功專逐痰利竅, 淸熱巨豐, 凉心定驚, 用于治療中風痰壅失語, 小兒痰熱驚搐, 驚癎諸症. 半夏麯(略). 2) 伍用功能 天竺黃淸熱豁痰, 凉心定驚; 半夏麯燥濕化痰, 健脾和胃. 天竺黃突出一个清字, 半夏麯側重一个燥字, 二藥伍用, 一清一燥, 相互促進, 清熱除濕, 化痰止咳的力量增强. 천축황은 甘寒하여 淸熱豁痰, 凉心定驚한다. 반하곡은 性溫하여 燥濕化痰, 健脾和胃한다. 천축황은 “淸”자로 대표되고 반하는 “燥”에 편중된다. 合用하면 一淸一燥로 相互促進되어 淸熱除濕, 豁痰安神하고 化痰止咳의 작용으로 痰熱犯胃한 증상을 다스린다. 3) 主治濕熱內蘊, 咳嗽吐痰, 咳吐不..

[新編 臨床藥對論_72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5. 담성(膽星) + 선복화(旋覆花)

5. 담성(膽星) + 선복화(旋覆花)1) 單味功用 痰盛又名膽南星. 是將制天南星硏末, 浸入牛, 羊, 猪膽汁內, 以淹没爲度, 日晒夜露, 乾則繼加膽汁, 至變爲褐色時爲度, 再裝牛膽囊中, 懸挂陰乾備用. 南星苦温辛烈, 開泄走竄燥濕作用很强. 膽星則與它不同, 經膽汁制後, 其性由苦辛温變爲苦凉, 其燥烈之性大減, 它旣能減除燥熱傷陰之弊, 又能增强豁痰定驚之功, 善治痰熱蒙蔽清竅, 以致中風痰壅, 高熱痙厥, 驚癎, 癲狂等症. 旋覆花(略). 2) 伍用功能 膽星淸化痰熱, 祛風鎭驚解痙; 旋覆花消痰行水, 降氣止嘔, 宣肺平喘. 膽星突出一个淸字, 旋覆花側重一个宣字. 二藥伍用, 一淸一宣, 宣燥和化, 風可息, 痰可去, 嗽可寧. 담남성은 淸火痰熱, 祛風鎭驚解痙 작용으로 풍담을 치료한다. 온조한 성질이 반하보다 강하다. 선복화는 消痰行水, 降氣止嘔,..

[新編 臨床藥對論_71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4. 비파엽(枇杷葉) + 반하(半夏)

4. 비파엽(枇杷葉) + 반하(半夏)1) 單味功用 枇杷葉味苦, 性平. 入肺, 胃經. 本品蜜炙, 能淸肺潤燥, 化痰止咳, 下氣平喘, 用于治療風熱燥火所引起的咳嗽諸症, 亦可用于治療久咳不止, 咳嗽痰多, 氣逆而喘等症(慢性氣管炎可用); 枇杷葉生用, 可清胃熱, 降胃氣, 止嘔逆, 用于治療胃熱口渴, 胃氣不和, 胃氣上逆, 以致惡心, 嘔噦等症. 半夏(略). 2) 伍用功能 半夏偏于燥濕化痰而止咳; 枇杷葉重于潤肺化痰而止咳. 二藥伍用, 一燥一潤, 相互制約, 相互促進, 祛稀痰, 止咳嗽甚妙. 반하는 燥濕化痰에 치우치는 止咳藥이다. 비파엽은 潤肺化痰을 통하여 止咳시키는 藥이다. 두 약이 합해지면 一燥一潤으로 相互制約, 相互促進 효과로 祛稀痰, 止咳嗽의 효과가 奧妙해진다. 3) 主治咳嗽氣喘, 日久不愈, 仍吐稀痰等症.咳嗽氣喘 증상이 오래되어..

[新編 臨床藥對論_70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3. 대합산(黛蛤散) + 부해석(浮海石)

3. 대합산(黛蛤散) + 부해석(浮海石)1) 單味功用黛蛤散(略).浮海石(略). 2) 伍用功能 黛蛤散淸泄肝肺鬱熱, 化痰止咳, 凉血止血; 浮海石氣味鹹寒, 鹹能軟堅, 寒可清熱, 功專淸肺化痰, 軟堅散結, 消石通淋. 二者參合, 相得益彰, 淸肺熱, 泄肝火, 化老痰, 去頑痰, 止咳, 止血之力增强. 대합산은 海蛤殼과 靑黛를 10:1정도의 비율로 섞어 만든 散劑이다. 淸泄肝肺鬱熱, 化痰止咳, 凉血止血의 효과로 肝火犯肺로 인한 咳嗽症에 이용한다.(중국에서는 항상 준비해 놓고 하나의 本草처럼 이용한다.) 해부석은 氣味鹹寒하여 鹹能軟堅, 寒加淸熱하므로 淸肺化痰, 化老痰, 軟堅散結, 消石通淋한다. 合하면 淸肺熱, 泄肝火, 化老痰, 去頑痰, 止咳, 止血 능력이 강해진다. 3) 主治(1) 痰火鬱結, 胸脇疼痛, 咳嗽氣喘, 痰盛, 痰..

[新編 臨床藥對論_69_VIII. 化痰止咳下氣平喘類_化痰止咳] 2. 반하국(半夏麯) + 선복화(旋覆花)

2. 반하국(半夏麯) + 선복화(旋覆花)1) 單味功用 半夏麯爲半夏加面粉, 薑汁等制成的曲劑. 味苦, 辛, 性平. 本品能燥濕祛痰, 和胃止嘔, 消食化積, 散痞除滿, 下氣寬中, 治脾胃不健, 運化失常, 以致食欲不振, 納後不消, 心下痞滿, 濕痰咳嗽, 痰多淸稀等症. 旋覆花(略). 2) 伍用功能 半夏曲燥濕化痰, 健脾和胃; 旋覆花消痰行水, 降逆止嘔, 宣肺平喘. 半夏曲突出一个燥字, 旋覆花側重一个宣字. 二藥伍用, 一燥一宣, 相互促進, 祛稀痰, 止咳嗽甚妙. 반하곡은 반하와 밀가루, 생강즙 등으로 만들어진다. 燥濕化痰, 健脾和胃하여 濕盛痰多로 인한 苔膩하고 嘔惡症에 많이 사용된다. 선복화는 消痰行水, 降逆止嘔하여 宣肺平喘 작용을 한다. 반하곡은 “燥”가 특출하고, 선복화는 “宣”에 편중된다. 合用하면 一燥一宣, 相互促進하여 和..